요즘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사람들과 만나는 것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지만 몇몇 제한된 사람들과의 만남에서도 속 터지는 경험인 아주 없는 건 아니어서 때로는 '이 사람들이 지금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동시대의 인물이 맞나?' 하는 의심이 들 때가 더러 있다. 그것은 대개 정치인에 대한 개인적 혹은 일부 지지층의 평가를 대신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말하자면 이런 것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독재와 무수히 많은 반헌법적 행위에 대해 비난할라치면 그들의 주장인 즉, "누구나 자신의 인생에서 공과가 있게 마련이고 한 사람을 평가함에 있어서는 그의 공과를 함께 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일견 일리가 있는 주장인 듯 보이지만 이 말보다 더 허무맹랑한 말도 다시없을 것이다. 예컨대 나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과를 지적했을 뿐이고, 그가 정권에 있을 때 독재정치를 펼침으로써 자신은 처벌조차 받지 않았을 뿐 아니라 국민들도 그의 죄를 따져 물을 수 없었던 역사적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것인데, 말하자면 공을 말하는 자리가 아니었음에도 이런 논리를 들고 나오는 것이다.

 

세상을 살면서 모든 것을 잘못한 이도, 무결점의 삶을 산 사람도 있을 수 없다. 인생은 우리의 생각보다 길기 때문이다. 공과를 함께 논한다면 수많은 사람을 학살한 히틀러나 일본의 A급 전범들, 심지어 곧 출소하는 조두순에게서도 과만 발견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공도 찾을 수 있다. 그렇다면 그들 역시 그 공에 의해서 영웅 취급을 해야 하는가 말이다. 죄는 죄대로, 공은 공대로 그때그때마다 그에 합당한 대가를 받아야 마땅한 것이다. 그러나 권력자라는 이유로, 경제적으로 부유하다는 이유로 죄에 대해 처벌을 받지 않았다면 후손들은 그에 합당한 욕을 하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한 일 아니가. 당대에 그는 자신의 공에 대한 대가를 누릴 만큼 누렸으니까 말이다.

 

‘하나의 악으로 그 선을 잊지 말고, 작은 흠으로 그 공을 덮지 마라(不以一惡忘其善. 勿以小瑕掩其功)’고 했던 당 태종 이세민의 조언은 일반인에 대한 평가나 지금 현재 살아 있는 자에 대한 평가에는 유효할지 모르나 권력자로 살았던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에서는 적절치 않다. 이미 그는 살아생전에 공에 대한 대가를 누릴 만큼 충분히 누렸기 때문이다. 사후에는 이제 그에 대한 과가 들추어질 뿐이다. 그것이 공정한 역사가 아닌가.

 

다행스럽게도 전두환 씨나 이명박 씨에 대한 공과 과는 당사자가 살아 있을 때 진행되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지금 현재 진행 중에 있지만 그들 모두가 죽고 난 뒤에는 후세인들이 그들의 공과를 함께 평하게 될 것이다. 처벌받지 않은 자의 과를 사후에 논할 때 '한 사람을 평가함에 있어서는 그의 공과를 함께 보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참으로 한심하기 그지없는 논리가 아닐 수 없다. 21세기를 사는 현대인이, 그것도 대학까지 나온 사람이 그런 무식한 말을 입에 담는다는 건 부끄러운 일이다. 인생은 길고, 살다 보면 누구나 선과 악을 오갈 수밖에 없는 게 인생이다. 그러니 그런 어처구니없는 논리로 사람들을 현혹시키지 말자. 날씨가 차다. 오늘은 대입 수능일이자 세계 장애인의 날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테레사 2020-12-03 1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 꼼쥐님은 좋아요를 안 누를 수가 없네요

꼼쥐 2020-12-09 18:28   좋아요 0 | URL
테레사 님이 저의 글을 너무 좋게 봐주신 게 아닐까요?
기분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