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의 기쁨
박창희 지음 / 산지니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읽는 기쁨에 사는 기쁨까지도

_행복한 길 읽기 “걷기의 기쁨”>


시골에 살면

논두렁 밭두렁이며 산길 들길 따라

걷고 또 걸을 줄 알았다. 


아니었다.


어쩌다 한낮에 걸을라치면 

논밭에서 일하는 분들이

어디 가느냐고 묻곤 한다. 

땀 흘리는 분들 앞에서

‘그냥 걷는다’ 하면 왠지 죄송하고

‘일 보러 간다’는 거짓말은 싫어서

마을 길은 걷지 않게 되었다.


서울에 살 때처럼 

어둔 밤에라도 나가 볼까 싶지만

가로등이 없거나 드문 산골 밤길은 

칠흑처럼 깜깜하다. 

안 그래도 겁 많은 나는

혼자 나설 용기를 낼 수 없었다. 


그렇다면 산이라도?

에고야, 산골짜기랑 잇닿은 산길은

사람 발길이 거의 없는지라

야트막해도 험하디험하다. 

거친 길이야 헤쳐 나갈 수 있다지만

멧돼지라도 만날까(확률 높음!) 겁나서

도저히 홀몸으로 오를 자신이 없다. 


혼자 걷기를 참 좋아했던 나는

천혜의 자연에 둘러싸여 살면서도

자의 반 타의 반 ‘걷는 행복’에서 

멀어졌다. 안타깝게도, 슬프게도.  


그런 내게 뚜벅뚜벅 다가온 책 한 권,

<걷기의 기쁨>.


“걷는다는 것은 살아 있음의 박동이다. 두둥, 두 발이 지구북을 두드린다. 심장이 뛴다. 살아 있다. 걸어야겠다._(15쪽)” 


머리말 마지막 글귀가, 

이 짧고 간결한 문장들이

내 심장을 톡톡 건드린다.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부터 

걷고 싶은 마음이 생기니

난 정말 걷고 싶긴 했나 보다.   


“내가 걸어온 길이 잘못 걸어온 길이 아닌데도, 마음 한구석이 늘 아쉽고 허전하며 외로운 것은 웬일인가. 내가 꿈꾸었던 나의 모습, 나의 꿈에 닿지 않았음인가. 그럼에도 가야 하는 것이 삶의 길이다._(64쪽)”


“걷기는 글쓰기와 닮은 데가 있다. 뚜벅뚜벅 한 땀 한 땀 온몸으로 스스로 다독이면서 나아가야 하는 것이 그렇다. 걸어간 궤적과 지나간 자취를 스스로 갈무리해야 하는 것도 닮은 꼴이다._(92쪽)”


‘걷기의 기쁨’이라는 제목은 

그 품이 참 넓다.  

걸음마의 비밀부터 길의 어원과 역사, 

천태만상 걸음걸이, 돌아가는 길 황천길, 

영혼의 순례길, 살아가는 길, 

걷고 싶은 온갖 아름다운 길….


‘걷기’라는 짧은 말 속에

이토록 깊고도 너른 이야기가 

담겨 있다니, 담을 수 있다니.

재미와 놀라움과 흥미를 안고

‘책 읽는 기쁨’을 마음껏 즐겼다.  


“길에는 노래가 있다. 노래가 있어 길은 길다워진다. 노래는 길을 파고들고, 길은 노래를 불러낸다._(76쪽)”


6장 ‘길의 노래, 길 위의 시’은 물론이고

장마다 노래와 이어진 글이 많은 것도

마음에 아주 쏙 들었다.

(술 한잔 들지 않고는 

못 배기게 만드는 매력이 있었나니^^)


사는 ‘길’에 늘 있었고 꼭 있어야 하니까,

노래는! 그걸 놓치지 않고 ‘글’로

붙잡아 준 글쓴이에게 고맙다.


“우보천리(소 걸음으로 천 리를 간다)라 했다. 어슬렁어슬렁, 뚜벅뚜벅 가다 보면 어딘들 못 갈까. 우보천리는 우시호행으로 이어진다. 소처럼 신중하게 관찰하되, 결정을 내리면 호랑이처럼 단호하게 실행에 옮긴다는 뜻이다. 말을 뒤집어 호시우행이라 하면 어떤가. 호랑이의 눈빛을 간직한 채 소걸음으로 간다! 이거다. 호랑이의 날램에도 소의 덕성을 겸비하면 안 될 일, 못 할 일이 없을 것이다._(64쪽)”


“그렇게 사는 거다. 주저하고 머뭇거리고 갈팡질팡할 필요 없다. 자기의 보폭만큼, 걸을 수 있는 만큼, 가슴이 뛰는 대로. (152쪽)”


2022년은 소의 해. 

급하지 않고, 쫓기지 않으면서

무겁지도 서투르지도 않게

어슬렁어슬렁 소처럼 천천히

걷고 싶다, 살고 싶다. 


책을 덮으며  

노래 하나가 무척 당긴다.

이 책에서 무려 3쪽에 걸쳐

이야기가 펼쳐진 god의 ‘길’. 


“내가 가는 이 길이 어디로 가는지

어디로 날 데려가는지 그곳은 어딘지

알 수 없지만 알 수 없지만 알 수 없지만

오늘도 난 걸어가고 있네…ㅠㅜ” 


첫 소절이 흐르자마자 

뜨거운 눈물방울이 뚝뚝 뚝.  

술 한 모금 얼른 털어 넣고

몸에서 빠져나간 액체를 채운다. 

바로 눈물 뚝!

더 울면 서러워진다. 

여기까지가 딱 좋다, 

마음을 비우는 맑은 눈물은.

 

노래를 부르고 술을 부르고

잘 걸으며 잘 살고 싶은 마음까지 

한 아름 불러일으켜 준 책. 

<걷기의 기쁨> 덕에 책 읽는 기쁨을 넘어

‘사는 기쁨’까지 누렸다. 

역시, ‘책 속에 길이 있다’

그리고 ‘책 속에 기쁨도 넘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