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능의 함정 - 똑똑한 당신이 어리석은 실수를 하는 이유와 지혜의 기술
데이비드 롭슨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20년 1월
평점 :

흥미로운 실험과 함께 심리학, 신경과학에서 나온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능이 가지는 오류와 함정을 적나라하게 파헤치는 책 [지능의 함정]은 지금까지 우리가 믿고 신뢰했던 IQ의 결과에 의문점을 달아준 책입니다. 이전에도 IQ가 답이 아님을, 지능의 척도를 담당할 수 없음을 말해주는 지표와 연구 결과가 나오긴 했지만 이렇게 자세하고 세분화하여 이야기해주는 책은 많지 않았지요. 이 책은 머리 좋은 사람이 왜 말도 안되는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지 다양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들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평균적인 사람보다 실수를 더 많이 하는가에 관한 이야기를 읽을 때는 너무 놀라워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 정도였어요.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 수 있는 사람들의 실수 사례를 이야기 한 후, 책에서는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우리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관한 이야기를 다뤄주고 있습니다. '똑똑한 사람일수록 오히려 특정한 종류의 어리석은 생각에 더 쉽게 빠져들 수도 있다'고 말하며, 지능이 주는 오류와 헛점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지요. 즉 지능이 높을수록 생각은 더 편향될 수 있다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책에서는 IQ 평가와 함께 다양한 지능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요. 그 예로 현실 지능, 문화 지능, 그릿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앤젤라 더크워스는 그릿을 '장기적인 목표를 향한 인내와 열정'으로 정의하며, 미래의 성취를 예측하는 도구로 그릿이 IQ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터먼은 1,000명이 넘는 재능 있는 아이들로 구성된 코호트(cohort , 통계나 실험을 위해 동일한 경험이나 동일한 특성을 지닌 사람들로 꾸린 집단)를 만들고 이들의 성장을 추적했습니다. 수십 년이 흐른 뒤 결과는 어땠을까요? 통계로 분석해보면 IQ가 30~40점 낮은 사람들보다 약간 더 성공했다는 것입니다.
일반 지능 테스트가 측정하는 능력은 우리 정신 체계에서 복잡한 추상 정보를 얼마나 빨리 처리하고 학습하느냐와 관련 있는 중요한 요소인데요. 터먼의 프로젝트 결과가 우리의 예상과 빗나가듯이 창의력이니 지혜로운 전문적 판단이니 하는 자질은 숫자 하나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전문가가 저지른 실수 중에서 코넌 도일의 이야기는 너무나 충격적이었습니다. 완벽한 추리와 관찰 기계인 인물 셜록 홈즈의 저자 코넌 도일의 터무니 없는 심령론 심봉 이야기가 그것이었는데요. 누구나 그것이 거짓이고 사기라는 걸 알 수 있었는데 코넌 도일은 죽기 전까지 깨닫지 못합니다. 아인슈타인이 편협한 추론에 빠져 생애 마지막 25년을 낭비한 이야기도 놀라웠지요. 애플의 스티브 잡스 역시 현실왜곡장이라 불리우며 췌장암 치료에 엉터리 치유법을 써서 결국 죽음에 더 빨리 이르게 되었다는 이야기에서는 안타까움에 몸소리가 쳐졌습니다.
머리 좋은 사람이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이유는 창의 지능이나 현실 지능의 부족, 편향된 직감적 판단에 따라 결정을 내리는 합리성 장애, 내 견해와 반대되는 증거는 무조건 무시하는 태도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논리 차단실을 만들어 더욱 더 왜곡되고 어리석은 함정에 빠지게 합니다. 또한 전문가들이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르는 것은 지나친 자신감 때문이기도 하다는 것을 많은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지능의 함정은 우리가 하나의 사회로서 그것을 평가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동안은 다들 소홀이 해왔다는 점에서 우리 모두와 관련한 현상이다'고 말하는 저자는 추상적 사고와 다른 여러가지 특성을 키우면 균형 잡힌 지혜로운 사고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지적 겸손이라는 해결책이 마음에 와닿았는데요. 지적 겸손은 더 많은 사람들이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겸손하게 인정하는 것으로, 그것만으로도 삶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게 해줍니다. 지능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세상을 바로 보는 안목을 가지게 해 준 책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