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석세스 에이징 - 노화의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뇌과학의 힘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이은경 옮김 / 와이즈베리 / 2020년 5월
평점 :
품절
인류 최대의 숙제이자 관심사인 노화를 신경과학, 심리학, 뇌과학이라는 복합적인 구조와 관점에서 조명해 노화의 바이블이라고 불려지는 책 [석세스 에이징]은 신경과학자이자 인지심리학자인 대니얼 J. 레비틴의 새로운 책이다. 그는 사실 그 자체로도 유명하지만 말콤 글래드웰 덕에 더 유명해졌다. 말콤 글래드웰의 책 [아웃라이어]에서 말했던 '일만시간의 법칙'을 과학적으로 연구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는 노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룬 이 책에서 '바람직하게 나이를 먹으려면 성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습관, 자극을 피하는 방법을 반드시 배워야 한다'고 충고한다. 이 책은 노화에 접근하는 방식을 크게 바꿔 그 균형을 우리에게 유리하게 기울이고 건강 수명을 늘리기에 늦은 시기가 없음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새롭게 알게 된 것은 노년기를 서서히 기능이 멈추는 쇠퇴기로 여겼던 기존의 패러다임을 바꿔 노년기 역시 고유한 성장기라는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년을 바라보는 색다른 시각은 인생 말년을 꽃피우는 시기이자 세월이 가져다줄 수 있는 선물을 받아들이는 부활의 시기로 여긴다.
즉 노화는 짐이 아닌 자원이자 종말이 아닌 정점으로 본다는 것은 단연 획기적이며 이럴 수만 있다면 지구인이 그동안 노화를 두려워하고 해결해야할 대상으로 여기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을 보여주는 것이다.
저자 대니얼 J.레비틴은 이 책에서 발달신경과학과 개인차 심리학에서 얻은 통찰로 노화를 우리가 지금까지 생각해오고 인식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다. 노화를 다룬 책이기에 책에서는 다양한 사례들이 제시되고 있다. 줄리아 허리케인 호킨스는 75세에 육상 경기를 시작했고, 103세에 50미터와 100미터 경주에서 금메달을 딴 사람이다. 안드레스 세고비아는 93세에 연주 투어를 했고, 모지스 할머니는 101세까지 그림을 그렸으며, 알마 토머스는 75세에 첫 번째 미술전을 연 화가였다. 62세에 새로운 식당을 열었던 할랜드 샌더스는 KFC의 창업자였고 90대까지 계속 활동했다. 나이란 숫자만 생각한다면 정말 대단하다.
저자는 노화의 최대 적을 스트레스로 꼽고 있는데 특히 이 부분이 많이 와닿았다. 평소 스트레스 관리가 취약한 나이기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기로 선택하거나 적어도 그 방법을 학습하여 생명을 구하라는 문장에 눈이 번쩍 띄였다. 또한 우리 여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호기심, 개방성, 관계성, 성실성, 건강한 습관을 코치라고 부르며 노화를 억제하기 위해 강조하고 있다.
어릴 적 뇌진탕을 경험한 사람은 나이 들어서 치매에 걸릴 확률이 2~4배까지 증가한다는 사실도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다. 노년을 잘 보내기 위해서는 성실성, 다양한 자연 환경에서 하는 운동, 사회적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는 이 책은 '나도 늙는가보다'라고 생각해본 사람부터 읽기를 추천한다. 읽을수록 이 책은 다가올 노화를 깊이있게 생각하고 대처하며 슬기로운 노년을 보내는 데 도움을 받기 좋은 책이다. 건강한 노후, 지혜롭게 노년기를 보내고 싶다면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