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의 뒷면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39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2년 4월
평점 :
내겐 괴상한 버릇(편견)이 있다. 국적을 불문하고 여성 작가가 쓴 소설은 읽지 않는다는 것. 그게 조금씩 깨지고 있다. 미야베 미유키로 시작해서 이제 온다 리쿠로도 넘어오는 중이다 ㅡ 이 『달의 뒷면』에서 인간의 수용이란 것에 대해, '정보의 취사선택' 운운하는 부분은 좀 진부하다고 느꼈고, 게다가 소재도 진부한 '현대인의 습성'에다가, 화장(火葬)을 하고 봤더니 유골이 없는 사람이 있다는 에피소드도 그랬다. 그런데도 이 소설, 재미있다……. 본문에서 사람이 실종되는 것을 '도둑맞는다'고 한 건 어째서였을까. 왜 피동의 형태로 표현된 걸까. 등장인물 교이치로처럼 일기를 써 자신의 1분 1초를 반추하지 않으면, 내가 나임을 오롯이 만족하지 않으면 무엇인가에 '당한다'는 뜻인지. 아니면 『달의 뒷면』을 지배하는 '텍스트(책)와 물'의 측면에서 봤을 때 자꾸만 편해지려는, 그래서 반대로 집(나) 안에서 나가려 하지 않는 '나르시시즘의 뒷면'을 보여주려 한 것인지. ……그나저나 소설 속에서 왜 하필 문학작품의 제목으로 끝말잇기하는 장면을 넣은 것일까. 왜 하필 물이 차오른 곳이 도서관이었을까. 왜 하필 교이치로의 창고에서 낡은 LP를 보여준 것일까. 내가 보기에 '달의 뒷면'이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보이지 않는 것'이다 ㅡ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존재하는 것.' 어쨌든 『달의 뒷면』을 지배하며 가장 크게 드러난 물질은 '물(水)'이다. 바슐라르(Gaston Bachelard)는 이 물을 두고 부드러움을 간직한 우월적인 것이라고도 했다가도, 물은 난폭하다며 '물 속에서의 승리는 바람 속에서보다 더 드물고 위험스럽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책에 이런 말을 써놓았다.
사람과 세계의 싸움에서, 도화선에 불을 붙이는 쪽은 세계가 아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세계는 나의 도발(挑發)이다'라는 공식을 선언함으로써, 쇼펜하우어의 교훈을 완전히 하고 (...) 나의 날카롭고 뛰어난 지도력으로써 세계를 '놀라게' 하므로 나는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ㅡ 가스통 바슐라르 『물과 꿈』
자, 그럼 다시 소설을 보자. 작품 후반에서 남겨진 세 사람은 스스로가 '도둑맞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려면 '도둑맞아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이른다 ㅡ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마을의 다른 사람들은 실종된(도둑맞은) 그 기간 동안만을 기억하지 못할 뿐이지 그에 대한 자각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그럼 남는(남겨진) 문제는 빤하다. 세상살이 하찮다면 하찮은 것이지만, 내가 아니어도 별 상관 없다는 듯 살고 있는 것에 대한 질타, 남은 교이치로 · 다몬 · 아이코를 내세운 정수리에 침 놓기, 비(非)활자화에 대한 아우성, '다수파'라는 것에 대한 동경과 거부감, 개인(個)과 공동체(共)를 모두 소망하는 이율배반……. 그런데 여기서 또 다른 반대급부의 문제가 등장한다. 이래서는 그저 편할 대로 생각하는 것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실은 이 소설은 정신병(혹은 편집증) 환자 몇의 소동극이었습니다, 하고 에필로그에 크게 써놓을 수도 있다는 거다. 이런 식이라면 앞서 '텍스트(책)와 물'이라 언급했던 부분도 확대해석에 지나지 않는다. ……『달의 뒷면』, 정체가 뭘까. 검은색과 흰 색의 정중앙에 서서 잿빛을 띠는, 어디로든지 튀어나갈 수 있는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