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컷 논 아이가 행복한 어른이 된다 - 놀지 못해 불행한 아이, 불안한 부모를 위한 치유의 심리학 행복한 성장 1
김태형 지음 / 갈매나무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쩌면, 그리고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처럼 들리기도 한다. 실컷 논 아이가 행복한 어른이 된다고. 내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 혹은 신념처럼 믿고 있는 것은, 아이는 아이다워야 하고 어른은 어른다워야 한다는 것. 그런데 때때로 강제성을 띠듯 늘 불안감을 짊어지고 사는 아이들을 보게 되고, 흔히 그런 아이들은 편안하고 무사한 장래라는 미명 아래 부모들의 대리만족 속에서 지내기도 한다. 여기에 개입하는 가장 큰 명제는 현재의 즐거움인가 미래의 즐거움인가 하는 갈림길이 좌우하게 될는지도 모른다. 또한 그러한 사고방식의 차이가 아이들로 하여금 행복과 불행을 인식하게 만든다. ‘놀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동학대와 다름없다.’ 책의 소제목 중 하나다. 놀이를 빼앗은 사회가 비판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놀이가 아이들의 기본 권리의 상징이기 때문이고 동시에 인간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이 최초로 획득하는 자유 권리라는 점이다. 책에서 접한 우스꽝스러운 단어가 두 가지 있다. 바로 사이보그형 아이, 백과사전형 아이라는 말이다. 섬뜩하기도 하고, 어딘지 모르게 지적인 수준에서 어른을 모방하려고만 하고 그 나이 또래 아이들과의 관계에서 일종의 사회성 부족을 꼬집는 설명인 것만 같다. 조금 더 심각한 자세에서 보자면 장애라고까지 할 수 있을 듯하다. 흔히 부모들이 저지르는 그릇된 주입 중의 하나는 알지도 못하는 타인을 사례로 들며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것일 터다. 비겁하게도 특히 육체노동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면서 말이다. 공부를 못하면, 공부를 하지 않으면 훗날 어른이 되어 ‘저 사람처럼’ 살게 된다는 훈계. 백번 양보해 직업에 귀천이 있다고 치자(물론 이 사회를 돌아보자면 분명히 귀한 대접과 천한 대접을 받으면서 사는 사람이 많은 현실이다). 그렇다면, 공부와 관련지어 그것을 하지 않으면 장래에는 고난이 기다리고 있다는 말로 아이들을 현혹시킬 것이 아니라, 그런 식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다른 부모를 교훈 삼아 자신과 자신의 아이들이 조금은 더 넓은 사고방식과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 책에서 인용하는 어느 덴마크인의 말은 다음과 같다. 「우리 아버지 세대만 하더라도 직업의 귀천이 있었어요. 빈부 격차도 있었고요.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그런 것이 사라지고 덴마크 전체가 평등한 사회가 되었습니다.」 이 말이 전적으로 사실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이렇게 말한 이는 직업의 귀천과 빈부 격차가 사라진다고 느낄 만큼 그 사회가 개선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뜻이 아니던가. 부모가 아이들에게 해야 할 것은 그저 어른 흉내를 내라고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행복한 사회에서 행복한 어른이 되기 위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각성하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