쌤통의 심리학 - 타인의 고통을 즐기는 은밀한 본성에 관하여
리처드 H. 스미스 지음, 이영아 옮김 / 현암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른 사람이, 다른 사람이 한 일이 잘되거나 못됨에 따라 내가 느끼는 바도 달라진다. 다소 과장되게 말하자면 내가 성공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망해야 한다는 것. 상대가 선하든 악하든 상관없다. 물론 그/그녀가 위선자, 불의를 조장하는 자,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자라면 쾌감은 배가되겠으나, 그렇지 않더라도 상대방의 몰락에서 내가 느끼는 것은 이루 설명할 수 없는 기묘한 쾌감이다. 이러한 감정은 질투, 우월감과 열등감, 적대감 등에서 기인한다. 사실상 내가 어떤 대상을 부러워한다면 그것은 동경심이 아니라 질투심을 동반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쪽에 가깝다. 그렇기 때문에야말로 내가 질투를 느끼는 상대가 몰락하고 고통을 당한다면 바로 이 책에서 이야기되는 ‘쌤통 심리’가 발동하게 되는 거다. 운동 경기를 보자. 내가 응원하는 팀이 라이벌 팀과 맞붙었다. 우리 측 응원단과 상대 응원단은 볼 때마다 으르렁거리며 적개심을 드러낸다. 결과는 무승부. 하지만 경기 도중 상대 팀의 어떤 선수, 유망하거나 실력이 좋은 선수가 심한 반칙을 범해 퇴장을 당했다면. 비록 경기의 내용과 결과가 팽팽했다손 치더라도 왠지 모르게 나와 우리 응원단은 속으로 쾌재를 부를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이어지는 연전에서 퇴장당한 바로 그 선수가 뛸 수 없기 때문이다(비슷한 다른 경우도 있는데, 결과는 똑같고 상대 팀의 실력 좋은 선수가 심각한 부상을 당해 다음 경기에 출전할 수 없을 때가 그렇다). 남의 부족함을 ‘즐긴다’고 해서 사디스트라 단정할 수 있을까? 글쎄, 그럴지도, 아닐지도. 다른 사람이 실패를 맛본 뒤 좌절한 경우 우리는 쉬 그/그녀에게 위로의 말을 건넬 수 있다. 그러나 그/그녀가 무언가 성공의 과실을 얻었다면 우리가 진심을 담아 그들에게 축하의 인사를 건네기란 여간해서 어려워 보인다. 왜 그런가. 우리 인간이라는 족속은 은근히 타인의 고통을 즐기는 ‘쌤통 심리’를 지니고 있는 까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