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자의 탄생 낭만픽션 3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리 오래되지도 않았다. 80년대 부랑인을 선도한다는 명목으로 사람들을 감금하고 강제 노역을 시킨 부랑인 수용시설이 한국에도 있었다. 『범죄자의 탄생』은 호적 장부에 이름을 올리지 못해 이리저리 떠도는 무숙자들을 주인공으로 삼은 단편집인데, 이들 역시 수감자와 같은 생활을 하며 중노동을 한다는 점에서만큼은 한국의 경우와 비슷할는지도 모르겠다. 역자 후기에선 이 단편집을 관통하는 키워드로 '도망'을 말한다. 총 열 편의 글에는 오로지 감금된 생활에서 벗어나고픈 무숙인들의 처지가 그려지고, 설사 그들이 도망에 성공했다 한들 그 뒤에 어떤 삶이 기다리고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그들의 신변 혹은 감옥이나 외딴섬, 광산에서의 이야기는 일종의 간수였던 자가 거꾸로 죄를 지어 감옥에 들어가 가다밥(네모난 틀에 찍혀 나오는 감옥 밥을 가리키는 속어)을 먹게 되거나(「특별 사면」), 힘을 모아 함께 탈출하려는 자들마저도 서로를 속고 속이며(「도망」), 형기 없는 유형자를 담당하는 관리의 업무 태만으로 평생 사면을 받지 못할 처지에 놓이는가하면(「유형지 탈출」), 감옥에서의 동료에게 속아 전전긍긍 마음 졸이며 사는데(「붉은 고양이」), 그중 특히나 「특별 사면」은 누구라도 무릎을 칠 만한 작품이겠다는 생각이 든다. 여기에는 이 년 만에 유배된 섬에서 돌아온 자를 어떻게든 궁지에 빠뜨리려는 관리가 등장한다. 그가 무숙자를 옥죄는 이유는 단 하나, 그와 살을 붙이고 지내는 여자를 얻기 위해서. 그런데 책에서 묘사되는 무숙인이란 뭔가. 호적이 없어 제대로 된 직업을 갖기도 어렵고, 에도 시중에 몸을 두기 위해선 누군가의 보증이 필요한데다가, 혹여 그자가 범죄를 저지르면 보증인들이 연대 책임을 지게 되는 거다. 관리는 그 무숙인이 어렵사리 일을 시작하기만 하면 찾아가 훼방을 놓고 결국엔 여자를 을러 안기 직전까지 간다. 하지만 평소 불법으로 주변 상인들에게서 돈을 우려낸 행실이 발각돼 외려 자신이 감옥에 들어가고 마는데, 감방 안에서 그의 직업이 들통나 '감방 신입에게 대접되는 특별한 저녁식사'를 먹을 위기에 몰린다. 자, 이 『범죄자의 탄생』의 원제는 '무숙인별장(無宿人別帳)'이다. '인별장'이란 에도시대 때 각 사찰에서 관리하던 호적 장부로, 농촌에서 도망 나온 탓에 인별장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자가 바로 무숙자다ㅡ단 '무숙인별장'이란 서류는 존재하지 않으며 세이초 자신이 만들어 낸 말이란다. 그런데 여기서 책 표지를 보자. 우타가와 히로시게가 그린 한겨울 이른 아침 참배하러 가는 사람들의 모습(<虎の門外あふひ坂>)이나 요시와라 유곽의 인산인해가 펼쳐지는 우타가와 구니사다의 그림(<北郭月の夜桜>)과 같은 다소 완만하고 평화롭다고까지 할 만한 우키요에가 있다. 하지만 책장을 넘기면 넘길수록 표지에서 보이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온데간데없고 온갖 아수라장, 욕망과 속임수가 판치는 암울한 사람/사람들의 몸부림뿐이며, 이자들을 빚어낸 책임은 바로 그 사회라는 것, 겉표지에 적힌 것처럼 '부조리한 사회, 사회가 범인이다!'라는 말이 더욱더 부각되기만 한다. 그리고 사회적 안전망에서 누락된 자들, 그들을 범죄의 길로 인도한 사회야말로 진짜 범인이라는 의미심장한 문구만이 가슴이 와 꽂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