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 - 우리가 알고 있던 만들어진 아프리카를 넘어서
윤상욱 지음 / 시공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럴듯한 소설 제목이라 해도 믿을 정도다, 과거 MBC 다큐멘터리 ‘지구의 눈물’ 시리즈의 「아프리카의 눈물」처럼.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에는 영화 《블러드 다이아몬드(Blood Diamond)》(2006)와 《로드 오브 워(Lord of War)》(2005)가 언급되기도 하는데, 다른 얘기가 될는지 모르겠지만 《블러드 다이아몬드》에서 ― 소년병으로 끌려간 아들을 구하기 위해 강제노역을 하며 발버둥치는 ― 솔로몬으로 나온 디몬 혼수라는 배우는 《콘스탄틴(Constantine)》(2005)에서는 미드나잇이란 역할을 맡기도 했었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미드나잇을 떠올리며 솔로몬의 얼굴을 보면 왠지 더 슬퍼진다. 멋들어진 시가를 물고 테이블을 내리치던 카리스마가, 다이아몬드 광산에서 오로지 아들을 바라는 아버지의 모습으로 바뀌어 드러날 때 말이다 ― 물론 영화상에서의 이미지란 측면에서 느껴지는 것이긴 하지만. 각설하고, 어쨌든, 나는 아프리카에 대해 잘 모른다. 아는 바가 거의 없다. 시작하자마자 5쪽 분량의 프롤로그는, 그래서 나와 같은 이들의 정수리에 망치를 때린다, 가차 없이. 4D ― 죽음(death), 질병(disease), 재난(disaster), 절망(despair) ― 의 대륙? 이런 가혹한 시각은 아프리카를 핏빛으로 물들인다. 인간은 자신을 반성할 수 있는 이성적 존재라고 했던 데카르트에 반해 파스칼은 인간을 두고 허영을 가진 심정의 존재라 했다. 나는 후자에 속하고 또 그 말에 찬성한다(파스칼의 다른 논제들은 차치하고). 그가 말하는 허영은 사람의 마음속에 너무도 깊이 뿌리박혀 있는 것이다. 그래서 ‘피 묻은 다이아몬드’를 원하는 것일 테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했던 말을 상기해보자. 「전체에 이로운 것이라면 부분에게도 해롭지 않다. 전체는 그에게 이롭지 않은 것을 지니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그런 전체의 부분이라는 점을 기억하는 한, 나는 어떤 일이 일어나더라도 크게 만족할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전체 자연과 조화되는 방향으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럼 이 책은 왜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며 그것(그들)을 ‘세계사의 미아’라고 했던가. 빈곤, 피 흘림, 왜곡된 사실, 부패한 정부, 자원 강탈, 착취. 특히 전쟁으로 부모형제를 잃고 소년병이 되어 내전에 내몰리는 아이들은 다시 한 번 ‘솔로몬의 아들’을 떠올리게 한다. 아이들은 살인, 강간, 약탈, 폭력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며 성장한다. (이상한 말이지만)당연히 많은 전과를 올린 이는 반군의 지도자로 크게 되고,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총알받이가 된다. 사실 이런 ‘아프리카의 혹독한 겨울’에 대해 말하자면 수많은 예가 인용될 수 있다. 그중 하나는 지금 말한 독재와 폭력의 희생자인 소년병들, 그리고 아프리카인들에 비해 빈곤하지 않은 아프리카 땅 ― 의 자원 ― 을 노리는 세계의 기업들, 마지막으로 그런 아프리카를 잔뜩 왜곡하며 보는 우리의 눈이 있겠다. 그런 의미로 보자면 책에서도 잠시 언급되는 남아공의 두 번째 민선 대통령인 타보 음베키의 연설 「나는 아프리카인이다(I am an African)」는, ‘African’이란 단어 자체만으로도 아프리카 땅을 그들의 아프리카로 오롯이 밝혀주는 느낌이다……! 400쪽이 조금 못 되는 텍스트로 가려졌던 세계를 얼마나 다시 볼 수 있겠냐만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라는 뜨끔한 문장 하나로 시작되는 과거와 현재의 아프리카는 기존의 패러다임과 우리의 스펙트럼을 뒤틀기에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