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이 답이다 - 왜 평등한 사회는 늘 바람직한가?
리처드 윌킨슨 & 케이트 피킷 지음, 전재웅 옮김 / 이후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불평등은 사회를 좀먹는다.’ 서문의 타이틀이다. 그런데 참 애매모호한 것이, 대개 이런 사실은 누구나 다 빠르게 직감하면서도 실질적으로 우리의 눈에 잘 들어오진 않는다 ― 이 책의 원제 『The Spirit Level』은 그래서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하겠다. 인류는 지금까지 엄청난 풍요를 누려오긴 했지만 정신적으로는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다. 정치판에서도 이런 평등에 관한 쟁점은 와류에 휩쓸리며 오갈 데가 없어 보인다. 평등이란 단어만 나와도 불에 덴 듯 화들짝 놀라기만 할뿐이지. 많은 선진국이 물질적으로는 풍요롭지만 사회적으로는 실패하고 있다 ― 이 대조되는 두 현상은 중요한 이정표다(p.22). 특히 저소득층의 사회 구성원들이 더 많은 문제를 겪는 이유는, 그들이 처한 환경 자체가 문제를 일으킨다기보다 그들을 아래로 끌어내리는 문제들에 더 취약하기 때문에 사회 ‘밑바닥 계층’에 속하게 되는 것 같다. 수치나 가난이라는 낙인 없이 사회에서 스스로를 자신 있게 내세우는 일이 중요하다는 애덤 스미스의 강조가 빛을 발하는 순간이다(p.45). 불평등이 매우 강력한 사회 분열 요소라는 점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분명히, 불평등은 분열을 낳는다. 특히 시장 민주주의에서의 사회 이동성이란 얼마나 벅찬 일인지! 가정에 있는 물건들이 사회적 계급의 상징으로 사용되고(기호의 문제가 아니다) 고등교육을 받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은 그들을 따라 마찬가지로 고등교육을 받아 엘리트가 된다. 그럼 그렇게 자란 상위층은 무슨 일을 할까. 하위층이 상향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을 이용하지 않던가 ― 알량한 우월감을 느끼기 위해서. 엡스타인(Joseph Epstein)이 말하는 우월감이란 이런 것이다. ‘BMW 740i에 앉아 자신이 가난한 속물들보다는 낫다고 생각하면서 (...) 빨간 신호등 앞에 멈췄을 때, 내 차 옆에 선 촌티 나는 캐딜락에 누가 앉아 있는지를 조용히 음미하는 것이다. 또한 내 딸이 하버드에서 미술사를 전공할 때, 방금 인사 받은 여자의 아들이 애리조나 주립대학에서 포토저널리즘을 전공한다는 이야기를 기껍게 들으며 느끼는 조용한 기쁨.’(p.205) 이게 정서적 측면에서 볼 때 문학적으로 느껴진다면 그보다 확실하고 무섭게 실감할 수 있는 것은 그래프와 수치다. 여기서 가장 취약하고 부족한 것은 ‘평등해지려는 정치적 의지’라고 본다. ……일본이나 스웨덴을 보면 자꾸 슬퍼지는데, 정치판과 기득권(특권)층의 논쟁이 ‘문제’가 아니라 ‘해결책’을 놓고 벌어지는 것을 볼 때마다 더욱 더 참담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