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피함을 무릅쓰고 쓴 나의 실패기 - 빠지고 나서야 비로소 깨달은 인생의 함정
이상민.전한길 지음 / 타임비즈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벡(beck)의 『Mellow Gold』 앨범을 살피던 중 첫 번째 트랙 「Loser」가 눈에 들어온다. 『창피함을 무릅쓰고 쓴 나의 실패기』를 옆에 두고 있어서일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으면 ㅡ 뭐, 누구나 그러겠지만 ㅡ 이 말이 떠오른다.
경험 많다 자랑 말라, 한낱 실수들의 총합인 것을.
<인생의 오답노트>라 칭하는 저자의 이 책은, 하나도 틀린 게 없다. 게다가 이런 오답을 마킹할 수가 있나, 할 정도로 치명적인 것들도 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런 오답들은 대체 뭔가. 정답에서 빗나갔을 때에만 그것이 오답인 것을, 내가 실수한 것을 알 수 있지 않나. 어떻게 하면 성공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값싼 조언이 아니어서, 그래서 나는 더 반갑다. 특히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정신, 무모한 희망이라는 밑 빠진 독에 계속해서 물을 부어대는 것으로부터 빨리 포기하고 거절할 줄 알아야 한다는 대목은 여러 번 이야기해도 지나치기 쉽다. 나도 평소에 그런 때가 많으니까. 그때 미련 없이 손을 뗐다면……하는 생각이 들었을 땐, 이미 늦었다. 코미디언 박명수가 말하지 않았던가?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정말 늦은 거다.」라고! 본문에서 인용하고 있는 프란츠 파농의 말도 농밀하다. 「다리를 건설하는데 그 일을 하는 사람들의 의식이 질적으로 높지 못하다면 그 다리는 차라리 짓지 않는 게 낫다. 필연적으로 붕괴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부터 열까지 내용을 늘어놓을 수는 없으나, 일 년에 수억을 버는 소위 스타강사가 2년 만에 10억이라는 빚만 고스란히 안았다면 세간의 눈으로 보기엔 필시, 당연히, 말할 것도 없이 <실패>한 거나 다름없으며 그렇기에 자연스레 이 책의 제목에는 <실패기>란 텍스트가 들어있다. 하지만 먼저 그 창피함을 무릅쓰고라도 이 책을 써야만 했던 이유가 있다면 이것이 바로 인생의, 실패의, 좌절의 오답노트이기 때문일 것이라 여겨진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130/pimg_75958718371632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