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잊고 지낸 것들 - 나만 위해 아등바등 사느라 무거워진 인생에게
니시다 후미오 지음, 박은희 옮김, 변종모 사진 / 에이미팩토리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Life is BEAUTIFUL, 인생은 아름답다. 영화 《브루스 올마이티(Bruce Almighty)》에서 시종일관 짐 캐리가 「B, E, A, utiful!」하고 외치지 않던가! 아스팔트에 붙은 껌에도, 구멍 뚫린 티셔츠에도, 퇴짜 맞은 결재서류에도, 희망이 있고 행복이 있으며 인생이 있다. 태어나서 죽음을 향해 달려가는 마지막 1분 1초의 그 순간까지도 누구에게나 마땅히 행복을 누릴 기회는 주어진다.
흐르는 물에는 얼굴을 비춰볼 수 없다. 얼굴만이 아니라 어떤 것도 제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누군가를 보면 마치 미친 듯이 전속력으로 경주를 하는 것만 같다. 그러다 문득 내가 목숨을 걸고서 아슬아슬하게 달리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흐르는 물에 내 얼굴을 내밀면 온통 찌그러진 모습만 보일 뿐이다. 그런데 때로는 내가 내 얼굴, 내 삶, 내 사람들을 놓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 내가 너무 빨리 달린 나머지 물을 잔뜩 흐려 놓아 어떤 것도 볼 수 없게 만든 것만 같기도 하다……. 타희력(他喜力). 저자가 이 책에 붙인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힘>이란다. 언젠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한 말이 생각난다. 그것은 이렇다. 「사회적 성공을 자신 개인의 성공으로 돌리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얼마나 당연한 말인지! 내가 이룬 모든 것은 나 혼자만의 힘으로 쌓은 것이 아니다. 그러니 당연히 그것은 나만의 성공이 아니며 나만의 행복이 아니다. 나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행복이다. 그런데 지금은 마치 give보다 take가 앞서는 세상이 된 것만 같다. 상투적인 말이 될 수 있겠지만, 자신만 바라보는 사람은 고작 자기 발등만 쳐다볼 수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