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의 낯선 길을 헤매고 있는 너에게 - 현실은 막막하고 미래는 불안한 서툰 청춘에게 보내는 희망의 편지
엘린 스프라긴스 지음, 박지니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인생은 서두를 필요가 전혀 없는 길고 긴 흥미로운 게임이다. 아무리 옆집 아저씨가 내일만 사는 놈은 오늘만 사는 놈에게 죽는다고 해도, 인생은 정말이지 길고 낯선 여정이다. 요즘 텔레비전을 켜면 어느 광고에 이런 카피도 나오더라. 신은 나에게 남보다 조금 부족한 환경, 실력, 시간을 주었지만 남들과 똑같은 가능성 또한 주었다고. 그러므로 역시 인생도 마찬가지로 남의 것은 곱빼기인데 나만 보통의 크기를 쥐고 있을 리 없다. 하……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고 하지만, 예술이 오래 가려면 <잘> 해야 한다. 하지만 인생이란 무수히 많은 오타를 기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 생각은 이렇다. 그 오타들을 얼마나 줄이느냐보다, 그것들을 빼놓지 않고 확실히 발견해내는 것이 인생의 맛이라고 말이다.
여기 『인생의 낯선 길을 헤매고 있는 너에게』에 등장하는 우리의 인생 선배들은 모두 여자들 뿐이다. 그러나 꼭 그들이 비단 여자들에게만 이 메시지를 주고 있지는 않다. 실로 여자가 가진 수천 가지 얼굴은 때때로 얼마나 강력한 무기가 되는가(그럼에도 나는 여자의 무표정이 가장 무섭다……)! 이 책에 실린 많은 여성들은 각각 자기 자신에게 편지를 썼다. 그런데 이 편지란 것, 키보드를 딸깍 하고 누르는 것 이상으로 많은 이야기를 지니고 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나는 이 말을 이렇게도 본다. 즐길 수 없으면 피하라. 물론 사람은 하고 싶은 것만을 하며 살 수는 없다. 하지만 피할 수 있으면 피하는 것도 좋다. 왜? 왼쪽 내리막길, 뒤로 나 있는 샛길처럼 우리에게 인생의 길이란 건 정말 많으니까. 『인생의 낯선……』은 그런 책이다. 성공을 파는 목적으로 성공한 것이 아닌, 먼저 넘어지기도 해보고 막막한 길에도 서 봤던 사람들의 이야기. 전기선이 꼽힌 모니터에서의 지식검색도 좋지만, 때로는 이 책으로 지혜검색을 해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