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 ㅣ 세계문학의 숲 3
토머스 드 퀸시 지음,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아편 애호가>라고 봐야 할는지, <아편으로 흥한 자 아편으로 망하다>라고 해야 할는지. 나는 『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을 세상으로부터의 망각으로 빠졌다기보단 철저하게 즐기고, 괴로워하고, 고백하며, 정교한 스타일의 문체를 지닌 대단히 낭만적인 산문으로 본다. 작가는 아편이 주는 쾌락, 고통, 환상, 두려움, 정신적 쾌활함과 적극적이고 냉철한 사고思考를 논한다 ㅡ <아편>으로 말이다! 당시 맥주나 위스키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었고 법적 규제가 없어서인지, 시대를 잘 타고(!) 태어났다고 여길 수 있는 이의 고백. 그는 아편으로 인해 와해된 세계를 보는 것이 아니라 눈부신 장면과 신선한 즐거움을 느꼈다. 그래서 이 책은 고백하는 형식의 논문이라고도, 장르적 불안정성을 포함하고 있는 초장르적 산문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ㅡ 유목민적 언어의 사용이라 하면 지나친 비약일 수도? 휑뎅그렁한 콧잔등, 초점 없는 동공의 떨림, 퀭한 눈초리, 당장이라도 현실이 될 수 있을 법한 불안한 꿈들. 이것들이 한데 뭉쳐져 정확하게 삶의 반영이 된다. 물론 단속적이지 않은 문학적 영민함 ㅡ 단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ㅡ 과, 유머와 호기심이 축약된 작가의 문체도 한몫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