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동훈의 그랜드투어 : 동유럽 편 - 사람, 역사, 문명을 찾아 거닐고 사유하고 통찰하는 노블레스 여행 송동훈의 그랜드투어
송동훈 지음 / 김영사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길을 직접 알려주는 친절한 콧수염의 노신사를 만나거나, 유럽의 안개 자욱한 아침에 비둘기들에게 모이를 주거나. 이런 여행이 아닌, 교양을 쌓고 배움을 찾는 떠나는 여행을 ㅡ 이 책의 제목인 <그랜드투어grand tour>라 한다. 나도 해외 ㅡ 일본에 ㅡ 에 나가서 1년 동안 여행 아닌 여행을 한 적이 있다. 여행이라 하면 우리는 인터넷 블로그를 뒤적여 꼭 방문해야 할 곳을 찾아보거나, 서점에 들러 여행 가이드 책을 구입하기도 한다. 그런데 여행 후에 남는 건 사진(뿐)일 지도 모른다. 여권에 스탬프를 찍고, 유명한 레스토랑에서 음식을 먹고, 사진을 찍고, 높은 곳에 올라가 야경을 바라보고. 내가 일본에서 경험했던 것도 이러한 일련의 패턴에 근접한 부분이 있었다. 여기서 『그랜드투어』가 제시하는 건, 같은 만남과 비슷한 행보, 반복되는 사진들로 점철되는 여행이 아니라 짜릿한 감동과 배움이다.

러시아, 오스트리아, 독일. 이 책에서는 세 나라에 대한 여행과 역사 이야기를 통해 흡사 세계사를 눈앞에서 보게끔 한다. 그러므로 『그랜드투어』는 초보자를 위한 여행 가이드가 아닌 우리가 흔히 놓치는 여행에서의 요소들을 각 테마를 통해  ㅡ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던 인물들, 도시들, 거기에서 끄집어내는 멋진 이야기들 ㅡ 생생하게 전해준다(베토벤이 산책하며 거닐던 하일리겐슈타트 숲길을 어디서나 볼까).

 

여행이란 참 사람을 무르고 나른하게 만드는 구석이 있다. 심지어 여행이란 단어조차도 그럴 때가 있다. 그러나 내가 걷는 길 모두에 입을 맞추고 감동하며, 내가 지금 <여기 있다>라는 걸 느끼는 순간은 그리 자주 오지 않는다는 걸 우리는 안다. <모든 여행길엔 인생의 중요한 의미들이 숨어 있다(머리말)>는 말처럼, 여행이 단순한 여가와 휴식의 일환이 아니라 사유하고 질문하는 계기가 된다면, 그것은 정말 (넓은 의미의)즐거운 여행이 되지 않을까. 러시아에서 가장아름다운 교회로 손꼽히는 성 바실리 대성당(미닌과 포자르스키 동상이 이 성당을 등지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슈테판 대성당(막시밀리안과 왕위를 잇는 결혼식 이야기를 품고 있는), 독일의 비텐베르크 성교회(마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과연 이러한 각 역사의 현장 ㅡ 러시아, 오스트리아, 독일을 여행하면서 이런 곳들에 눈을 댈 생각이나 할까. 장소나 시간에 구애되지 않는 언제라도 우리의 배울거리는 지천에 있다. 물론 도시들, 건물들이 다가 아니라 사람 또한 무척이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랜드투어>는 17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유럽, 특히 영국 상류층 자제들 사이에서 유행한 유럽여행을 말하지만, 오늘날 그리고 지금, 내 ㅡ 우리의 ㅡ 가슴을 뜨겁게 해줄 나만의 그랜드투어를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