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질문 - 의문문으로 읽는 서양 철학사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지음, 석기용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위대한 질문』을 펴낸 열린책들의 편집자 노트(웹 카페를 통해 확인)를 보면 이 책 자체를 놓고 <위대한 질문을 던진다. <나는 왜 이 책에 악행을 저지르는가?>, <이 책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가?>, <어째서 아무것도 없는데 무언가를 만들려 하는가?>, <최선의 편집 형태는 무엇인가?>가 그것들이다. 그럼 나도 질문을 던진다. <이 책을 읽는 나는 지금 여기에 실재하는가?>, <나는 이 책을 읽는 행위로써 행복한 것인가?>, <나는 이 책의 텍스트를 믿어야만 하는가?> 에픽테토스의 철학은 불교의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와 닮아있다. <하늘을 긍정하고 운명을 사랑하라>, 또는 <운명의 긍정>이란 하나의 구절로서 표현되는 그것이다. 그래, 이건 쉬이 생각할 수 있는 명제다. 그럼 고르기아스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고 헤라클레이토스(그는 코스모스cosmos를 말한다)는 <모든 것이 존재한다>고 했는데, 이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퀴나스, 데카르트, 스피노자, 칸트, 쇼펜하우어, 니체... 어쨌든 많다. 저자는 『위대한 질문』에서 30가지의 질문을 한다. 아니 30명의 철학자들이 (초빙돼) 질문한다. 하지만 나는 단 하나의 질문에도 답할 수 없다. 아예 답이란 건 집어치우고, 내가 보기에 나는 답을 들을 생각도 없어 보인다. 아니면 내가 그 흔해빠진, 부정의 부정은 긍정이라는 수식[~(~a)=a]에서 허우적대는 걸까? 사실 이게 기막힌 논리일지도. 이를테면 <허구의 허구를 통해 실재에>, <없음의 없음을 통해 있음에 도달한다>거나 말이다 ㅡ 그나마 최근 사람인 사르트르의 눈으로는 한심하기 짝이 없겠지만(데우스 엑스 마키나라 욕을 해도 대꾸할 수 없다).
 


어떤 이유에서든 나는 『위대한 질문』에 대해서, 그리고 위에 나열한 철학자들의 질문에 대해서 오랫동안 설명할 수 없고 그럴 자신도 없다. 내가 왜 그들의 질문에 답을 해야만 하는가(이것도 멋진 <위대한 질문>이다)? 『위대한 질문』은 총 30명의 철학자들의 입을 빌려 하나씩 질문을 해댄다. 그런데 등장인물(이라 표현하자)의 연대 순으로 19세기, 20세기까지 오다가 갑자기 마지막엔 플로티노스(204~269 혹은 205~270)가 나타난다. 대체 왜? 사실 이 양반도 일자一者를 이야기했고 아리스토텔레스나 스토아학파, 고대 그리스철학과 총체적 체계로서 엮여 있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갑작스럽다. 사실 이게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아닐까? 하고 생각하는 찰나, 이것은 <허섭스레기 질문>이란 걸 깨달았다.
 

▼ 『위대한 질문』의 저자인 폴란드의 소크라테스,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그는 작년 유有에서 무無로 되었다.
아니 원래의 무에서 변하지 않고 무 자체로 남아 있는 건가,
아니면 이제야 진정한 유가 된 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