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비즈니스의 미래 지도 - 세계적 기업가들은 녹색 황금시장에서 어떻게 부를 창출하고 성공의 기회를 얻었는가?
도미니크 노라 지음, 문신원 옮김 / 김영사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타이틀이 <그린 + 비즈니스>인가. <그린>하면 녹색 성장, 녹색 환경, 녹색, 환경, 녹색, 환경……. 이런 것들만 떠오르는데, 여기에 <비즈니스>가 더해져 있다. 저자 도미니크 노라가 주장하는 건, <에너지 경제>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개인과 집단 모두가 해야 할 일이며 어느 한쪽만으로는 불가능한 일임에 틀림없다 ㅡ 개인은 영민하지만 집단은 우매하다는 논리는, 여기서는 접어두자.

-- 냉장고가 소비하는 전력량이 얼마나 되는지, 오래된 백열전구가 얼마만큼 쓸데없이 전력을 먹어 치우는지, 밤새 전원을 끄지 않은 VCR나 초소형 컴퓨터가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낭비하는지, 또는 지나치게 큰 화장실 물탱크에서 얼마나 많은 물이 낭비되는지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 본문

나는, 재생 에너지가 현재 세계 에너지 소비의 18%에 불과하다는 것을 모른다. 또한 녹색 성장의 패러다임의 파급효과에 대해서도 알지 못하며, <탄소 거식증carborexic 족>이라 부르는 사람들이 어떤 이들을 지칭하는지도 모른다. 오늘날 우리는 <에너지 부족>이나 <이산화탄소 배출량>, <온실 효과>와 같은 말들에 익숙해져 있다. 그러나 실제 이것들을 초래하는 것이 우리이며 그 피해자라는 것도 우리라는 것을 현실감 있게 자각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ㅡ 조금 다른 맥락일 수 있지만 얼마 전 추석 즈음의 수도권에서의 수해水害나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범람은, 이러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사례가 될 것이다.

  

미국의 45대 부통령이었고 환경운동가인 앨 고어albert arnold gore, jr. 하면, 다큐멘터리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이 떠오른다. 이 영화는 자연 생태계의 파괴를 주제로 우리에게 끔찍한 경고를 하지 않았던가.

국가를 막론한 기온 상승과 지구온난화가 초래하는 것은, 영화 타이틀처럼 우리에겐 <불편한 진실>일 수밖에 없다. 왜 불편한가. 우리가 만든 것이 우리의 적敵이 되었기 때문이다.

얼마 전 화제가 된 인문 서적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 what's the right thing to do?』를 읽어본 적이 있다면, 이 『그린 비즈니스의 미래 지도』 또한 우리에게 일종의 <딜레마>를 던져 줄는지도 모른다. 머릿속엔 할 수 있다고 믿고, 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당위성이 있지만 실제로 행동하는 게 어렵거나 귀찮은, 그런 것 말이다.

우리가 학교에서, 신문에서, 뉴스에서 지독히도 많이 들어왔던 <지속 가능한 경제>란 게 대체 무엇이고 그것이 정말 현실성이 있는 것인지, 경제라는 관점에서 <시장 경제>의 차원이 아닌 <재생 경제>로의 길이 가능한 것인지, 기업들이 <경제시장>에서 눈을 돌려 <녹색시장>을 지향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러한 명제들이 『그린 비즈니스의 미래 지도』에 담겨 있다.

                                                                                                                               

 그럼 우리는 여기서 <우리가 사는 세상>을 살리기 전에 <우리>부터 사는 게 중요하지 않느냐고 물을 수 있다. 그 의문은 신경유전학 및 진화의학 박사인 샤론 모알렘sharon moalem의 저서 『아파야 산다survival of the sickest』에서 풀릴 수 있다.

위 의문의 전자에 해당하는 것이 『그린 비즈니스의 미래 지도』라면, 『아파야 산다』는 후자다. 나는 위에서 <개인과 집단 모두가 해야 할 일>을 언급했는데, 이것이 그 <개인>에 해당한다. 한 마디로 <인간 몸의 진화>와 <인간 세상의 진화>를 말한다. 친환경 녹색 경영을 이룬 기업들의 노력과 과정을 여기에서 읽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