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그 누구도 고립된 섬에 살지 않는다. 그렇기에 살아감이란 언제나 '함께 살아감(living -with)'이다. 성찰하는 것이란 나의 삶만이 아니라 타자들, 그리고 우리가 몸담은 사회와 세계에 대하여 성찰해야 함을 의미한다. ㅡ질문빈곤사회, 강남순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읽다 말았었는데 <질문 빈곤 사회>의 프롤로그를 보니 이런 생각이 든다. 여러 사상가들에게 아직까지도 학문의 초석으로 여겨지는 그리스 철학. 그중에서도 정점에 있는 철학자 소크라테스. 그는 누구보다 질문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고 어쩌면 그로 인해서 죽음을 맞이했다. 개인적으로 그의 죽음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었는데 '질문'의 관점에서 보니 이건 상징적 사건인 듯 보인다. 문제의식을 갖는다는 것이 그로인해 질문한다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고 또 위험하다는 상징 말이다. 역사상 가장 지혜로웠다는 소크라테스도 그로 인해 죽음을 당했는데 일반인들에게 질문이란 얼마나 위험한 것인가, 하지만 질문은 사유로 가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사유는 그런 의미에서 무지의 불안으로부터 우리를 벗어나게 하는 뼈대가 아닐까.



한나 아렌트는 '악(evil)'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와 전적으로 다른 새로운 정의를 내린다. 아렌트에 의하면 "악이란 비판적 사유의 부재"다. (...) 소위 '선량한 사람'이 비판적 사유를 하지 않을 때, 왜곡된 정치적 이데올로기 또는 왜곡된 종교적 가치에 의해 '선동'됨으로써 자신도 모르게 '인류에 대한 범죄'에 가담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늘 상기해야 하는 중요한 점이다. ㅡ 질문빈곤사회



'질문하기'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인식 세계를 넓힘은 물론 타자와 세계를 보는 시각 또한 확장했다. 그 결과 다양한 의미의 '포용의 원(circle of inclusion)'을 확대 할 수 있었고 이는 질문하기를 통한 중요한 정신 세계의 발전이다. 이러한 발전은 사회정치적이고 제도적인 발전과 맞닿아 있다. (...) 노예제도의 폐지, 인종에 대한 제도적 차별의 폐지, 여성에 대한 제도적 성차별의 인식과 개선, 성소수자 차별을 넘어서는 제도적 평등의 모색 등 다차원적 변화가 일어난 것은, 새로운 질문을 묻기 시작하는 이들에 의해서 가능하게 되었다. ㅡp.8



한국은 가정교육은 물론 공교육에서도 질문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게 하는 문화다. 주입식 교육방식 그리고 그에 따른 입시제도는 질문을 봉쇄하는 문화를 지속시키고 강화한다. 더 나아가서 가족, 친척, 직장, 군대 등 도처에서 작동되는 '장유유서'의 변형된 관계관과 가치관은 가정, 학교, 직장은 물론 사람 간의 위계주의적 관계를 지배하고 있다. p.9





독서라는게 만능은 아니지만 책을 읽기 전에는 제대로 된 질문을 해 본 기억이 없다. 질문은 특정한 사람들, 뭔가를 가진 사람들이 하는 거라는 의식이 내 안에 있었고, 동시에 위압감 같은 것이 보이지 않지만 공기중에 떠 있다고 느꼈다. 지금도 완전히 달라졌다고 할 수는 없다. 문제제기를 하는 것, 어떤 것에 대해 내 나름의 생각을 글로 써 내는 것은 아직도 용기가 필요하다. 숨겨두었던 것을 사람들 앞에 전시하는 셈이니까. 비판받을 것을 어느정도는 감수해야 하고 이해받지 못함이나 오독도 감안해야 한다. 사람들과 섞여 살아가는 것도 마찬가지같다. 어떤 식으로든 충돌은 피할 수 없다. 많은 면에서 여성들은 그런 두려움이 더 강한것 같다. 감추는 것에 더 익숙하고 능숙하다. 그럼에도 우리는 말해야 하고 말 할 수 있어야 한다. 침묵은 때로 외부의 힘에 굴복을 의미하니까.





질문의 가능성은 위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아프고 경직된 사회일수록 그렇다. 권위적인 사람일수록 자기 기준 밖의 질문에 예민하다. 그들에게 '질문할 수 있는 사람들'은 정해져 있다. 그 경계에서 벗어난, 즉 권위가 없는 이들의 질문은 '도전'이고 그 자체로 '문제'시 된다. 하지만 좀 더 다양한 사람들의 질문을 통해서 우리의 세계는 확장될 수 있다. 사람들이 인지하는 세계는 '전부'가 아니니까. 인간은 볼 수 있는 것들만을 겨우 보고 인지한다고 하지 않나. 품고 있는 질문들이 밖으로 나와 모이면 어떤 일이 생길까...





   


어디에서, 어디에서 당신의 영혼은 무너지나요? p .265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글쓰기에 관해 내가 들은 견해 중 가장 무용했던 말은 글을 쓸 때 자신의 목소리를 발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마치 우리의 목소리가 작동할 준비가 된 자동 피아노처럼 우리 내면에 숨어 있다는 듯이. 개성과 마찬가지로, 목소리의 존재야말로 세계와 나의 상호작용에 달린 것인데. p.23 . 세라 망구소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터라이프 2023-02-18 20:3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소크라테스의 변명‘은 저에게도 의미 있는 글인데요. 살면서 3번 정도 독서 모임에서 토론 책으로 집중해서 읽었음에도 머릿속에 하나도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 이건 마찬가지로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도 그러한데요. 역시 독서인들은 삶에서 책 내용을 그대로 자주 망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 보이네요.... ㅜㅜ.

미미 2023-02-18 21:06   좋아요 2 | URL
저도 점점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재독할때 새로운 책처럼 느껴지는 경우가 많아요ㅎㅎㅎ
베터님 3번이나 읽어보셨다니 조만간 나머지 부분 다시 도전해야겠어요! <사랑의 기술>은 <자유로부터의 도피>읽고 에리히 프롬에게 반해서 사두었습니다. 미드나 영화에서 기억력이 뛰어나 한 번 읽은 책 페이지까지 기억하는 천재들 보면 부럽기도 하고 얄밉기도 해요,^^*

페넬로페 2023-02-19 00:1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읽고 있는데 칼날같은 문장이 많더라고요~~
한국의 현실이 잘 정리되어 있어 좋았어요^^

미미 2023-02-19 09:36   좋아요 3 | URL
오~♡ 페넬로페님도 읽고 계시군요! 네~날카롭게 분석하고 있어 시원시원 합니다^^*

은오 2023-02-19 14:5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아 매주 질문 5개씩 만들어오는게 과제였던 교수님 수업이 생각납니다. 저는 그게 정말 괴로웠어요..... 진짜 다른 어떤 과제보다도 더 공부하게 만드는 과제 ㅠㅠ 열심히 읽고 생각해야 질문도 생기게 마련이니.... 대충 읽으면 또 그냥 책 내용만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게 되고. 질문 있는 학생? 했을때 아무도 대답이 없는건 빨리 수업을 마치고 싶어서도 있지만 공부를 안해서 궁금한 것도 안생겼기 때문입니다 교수님.... 결론: 읽고 머리에 든 게 있어야 질문도 생긴다! 생각하며 읽기 -> 질문 -> 깊은 사유!

미미 2023-02-19 15:46   좋아요 2 | URL
헉...5개씩이라면 적지 않은데요! 과제라면 질적으로도 적절해야 한다는 생각에 더 고통이었을것 같아요. 그래도 덕분에 지금의 은오님이 되신 것 아닐까요? 그 과제가 물론 전부는 아니었겠지만 은오님 나름의 방식으로 읽고 또 생각해서 써 올리신 글들 보면 감탄이 절로 나올때가 많았거든요. 저에겐 어려운 점인데 내 관점을 가지며 읽고 쓰기로 발전하고 싶어요^^*

새파랑 2023-02-19 16: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실 질문도


뭔가 알아야 할 수 있더라구요 ㅋ 전 무식(?)해 보이고 싶지 않아서 일단 잘모르면 가만히 있습니다 ㅎㅎ

아는게 힘인거 같습니다~!!

미미 2023-02-19 18:19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ㅋ그렇죠!!
새파랑님 은근히 핵심을 찌르십니다.^^*



난티나무 2023-02-19 17: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저 책 저 어제 샀어요!!^^

미미 2023-02-19 18:22   좋아요 0 | URL
난해한 편인데 해체적 글쓰기라고 할까요? 리스펙토르만의 색깔을 경험하실 수 있으실거예요.^^*
난티나무님 어떻게 읽으실지 궁금합니다!

난티나무 2023-02-19 18:33   좋아요 1 | URL
<달걀과 닭> 읽고 있거든요.^^ 두어 개 읽고 바로 주문! ㅋㅋㅋ 그런데 종이책이라 언제 받을지는 몰라요.🙄

미미 2023-02-19 18:56   좋아요 0 | URL
두어 개 읽고 바로 주문하셨다니 난티나무님 너무 멋집니다~♡ 이 난해함을 이해하셨다는 의미니까요!!
<달걀과 닭>이 급 궁금해지는걸요?^^* 저에게는 <G.H.에 따른 수난>이 있는데요. 부분적으로 읽어봤는데
이 책에도 인상적인 문장들이 있어요!

jtkk9004 2023-02-25 16: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RB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