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터와 기름통을 들고 여성의 집에서 서성이는 남성, 가스배관을 타고 여성의 집에 들어가 폭력을 행사한 남성...이런 일들은 여성 집단에게 언제든 나에게도 저런 일이 있을 수 있다는 공포와 두려움, 위축을 심어주고 남성 집단에게는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그런것들이 가능하다는 힘과 여성과 사회의 무력함을 상징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빈번하게 영화, 드라마를 통해 그런 인식을 습득한다.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이 너무 많이 다치는 세상에서 살아가는 것이 한 인간의 마음과 정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런사람은 자신이 살해당하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자신이 살해당하는 일을 끊임없이 상상해보아야 합니다. 설령 자신이 공식적인 피해자가 되지는 않더라도, 여성에 대한 폭력이 성적이고 성애화된 방식으로 묘사되는 것을 늘 영화에서 보고 책에서 읽으면, 여성이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끔찍한 일을 겪었다는 소식을 늘 신문에서 보면, 그런 일이 언제고 자기 주변의 여자들에게도 자신에게도 벌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면, 그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수 없습니다. - P9
포르투갈 시인 페르난두 페소아FernandoPessoa의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길에 돌이 있다고? 나는 그것을 일일이 주워 간직한다. 그랬다가 언젠가 성을 지을 것이다." 이 책은내가 걸려 넘어진 돌들로 지은 성입니다. - P9
젊은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자신의 소멸을 수많은 방식으로맞닥뜨리는 것, 혹은 소멸로부터 달아나는 것, 혹은 소멸을 깨닫기조차 회피하는 것이다. 혹은 이 모두를 동시에 겪는 것이다. "아름다운 여인의 죽음은 의심할 나위 없이 세상에서 가장 시적인 주제다"라고 말했던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는 죽기보다 살기를 바라는 여성의 관점에서는 생각해보지 않았던 게 분명하다. - P15
자신의 패배가 아니라 생존을 노래하는 시를 찾으려고 애쓰는 일, 이를테면 스스로 목소리를 냄으로써 그렇게 하거나 설령 그렇게까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자신이 지워지고 실패하는 것을즐기는 세상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찾는 일, 이것은 많은 젊은 여성이, 아마도 거의 모든 젊은 여성이 마주치는 과제다. - P16
감독이자 작가이자 배우인 브릿 말링 Brit Marling은 최근에 이렇게 말했다. "우리 여자들이 힘 있는 남자의 추행이나 학대를 꾹 참으면서 그 방에 그 의자에 계속 앉아 있는 것은 여성이 다른 결말을 맞는 모습을 본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동안 읽은 소설에서, 본 영화에서, 태어난 후 줄곧 들어온 이야기들에서여자들은 너무나 자주 비참한 결말을 맞았다." - P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