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를 한대 얻어맞은 기분이다. 요즘 방송되는 ‘금쪽이‘방송을 가끔 볼때마다 애매하게 생각했던걸 필리스 체슬러는 오래전에 이미 간파했다. ‘금쪽이‘에서 오은영박사의 분석은 날카로워서 볼때마다 감탄을 자아내지만 거기에 늘 뭔가가 빠져있다. 바로 ‘정치적 의견‘이다
아마 오은영박사가 모르지는 않을것이다. 이 모든 육아문제에 깔린 사회적 문제와 고질적인 역학관계를. 그러나 그녀는 언급할수가없다. 그래서 어딘가 늘 비어있는 느낌이었다. 어쩌면 개인상담에서 그녀는 좀더 정치적요소를 가미했을수도 있다. 상대에 따라 조절해가면서 말이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에 정치적요소가 지배적인데도 공론화할수 없다는게 결코 작지않은 문제임을 이제서야 실감한다.
이것을 방송에서 대놓고 문제제기하고 짚어줄수 있어야 사회는 근본적으로 변화할수있다. 너무나 영향력있고 도움이되는 방송임에도 남녀차별적 요소를 내세우고 지적할수 없다는게 답답하다.
예를들면 육아분담이나 외국의 사례를 끌어올수도 있을거고 이런 분석은 저출산문제의 보다 실질적 해결책을 위한 모색이 될수있다.
나는 텔레비전과 같은 매체를 통해서 이뤄지는 감정 호소에 반대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다. 텔레비전은 그것이 없었더라면 사실을 완전히 잘못 알거나 고립될 수밖에 없는 여성들을 교육하는 기능을 종종 하고 있다. 낮 시간대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초기 페미니즘 의식화 그룹의명맥을 잇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정치적인 관점은 없다. 이런 정치적인 관점의 실종이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 P48
보험회사와 제약회사가 의료 서비스를 좌지우지하고, 정부의 지출 삭감으로 질높은 정신과 치료는 대다수 사람들이 받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말은 이제 외상을 입은 환자들에게 무엇을 해줘야 하는지는 알게 됐지만 우리에게 페미니즘의 방식으로 가난한 여성들을 치료하고 교육하는 병원이나 치료 시설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물치료만으로는 결코 충분하지 않다. 임상적으로 볼 때우울증이나 신경증에 시달리는 여성들이 페미니즘 관점에서의정보와 지원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줄 필요가 있다. - P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