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9 - 갇힌 여인 1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루스트 거꾸로 읽기' 9권>


10권을 읽고 9권으로 들어가자 주인공의 이런저런 행동과 선택들에 영향을 주게 된 자세한 상황들이 펼쳐졌다. 10권의 주요 이벤트라고 할 수 있는 베르뒤랭네 만찬에 가기 전 여자친구인 알베르틴과 나 사이의 미묘한 사랑의 줄다리기가 9권의 핵심 내용이다. 9,10권의 부제가 '갇힌 여인'인데 이는 주인공이 자신의 집착으로 동거중인 알베르틴을 세상과 어느정도 단절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알베르틴은 남자친구에게 능수능란한 거짓말을 하며 비밀스럽게 본인의 쾌락을 추구한다. 하지만 극도로 예민하고 관찰력이 좋은 그는 점점 거짓말의 모순과 그 근거들을 파악하기 시작한다.  

읽으면서 이정하의 시가 떠올랐다.


사랑이 깊어질수록-이정하

사랑이 깊어질수록 그(녀)와는 멀어지도록 노력하라.

좁은 새장으로는 새를 사랑할 수 없다.

새가 어디를 날아가더라도 당신 안에서
날 수 있도록 당신 자신은 점점 더 넓어지도록 하라.


사랑이 깊어질수록 대개의 사람들은 소유와 집착에서 비롯되는 

의존의 아픔을 느끼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것이 진정한 사랑의 의미는 아닐터

구속하거나 사로잡는 것이 사랑의 전부는 아니기 때문이다.

진정한 사랑은 어떤 것도 원하지 않으며

모든 애착으로부터도 자유로와 지는 것이다.

참으로 신비하게도 사랑은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아야 스스로 가득 찰 수 있다.

만일 지금 당신이 진정한 사랑을 하고 있다면

더 이상 바라지도 더 이상 가지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오로지 사랑 하나로만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연애사업에 몰두했을 때 내게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 것은 법정 스님의 '무소유'와 영화 '와호장룡'그리고 이정하 시인의 이 시(詩)였다. 모든 고통은 집착에서 비롯되고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도 어쩌면 오해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우린 사랑에 빠짐과 동시에 객관성을 상실하고 스스로 만들어낸 올가미에 갇힌 채로 때로 상대에게도 나에게도 오래남을 상처를 남긴다. 

시가 압축한다면 프루스트는 확장한다. 시인들이 우주적인 관점에서 사랑을 비롯한 모든 것을 압축하고 은유한다면 프루스트는 양자역학처럼 모든 관계와 관념을 확장해 자세히 들여다 본다. 예를들어 그는 사랑에서 비롯되는 여러가지 역학의 비 논리성을 간파하면서도 그 안에서 유영(泳)하듯 행복만이 아닌 고통도 즐기고 만끽한다.  


P.242 그녀는 뭔가 사랑의 상념에 잠길 때면, 또 우리의 존재가그녀를 귀찮게 하고 짜증 나게 할 때면 휘파람을 불지 않았던가? 그녀는 이런저런 사람을 알거나 알지 못한다고 지금 우리에게 단언하는 것과 모순되는 말을 과거에 하지 않았던가? 
우리는 그 사실을 알지 못하며 앞으로도 결코 알지 못한 채, 꿈의 일관성 없는 파편들을 찾으려 애쓰며, 그동안에도 우리 애인과의 삶은,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알지 못하게 하고 어쩌면중요하지 않은 것에만 주의를 기울이게 하며, 그리하여 우리와 실제 연관이 없는 존재들에 대한 악몽만을 꾸게 하는 우리의 방심한 삶, 망각과 균열과 공허한 불안으로 가득한 삶, 꿈과도 흡사한 삶은 계속된다.


p.297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존재, 아니 거의 모든 존재에게는 어느 정도 야누스 같은 면이 있어서, 그 존재가 우리 곁을 떠나려고 할 때는 상쾌한 얼굴을, 그 존재가 영구히 우리 소유 아래 있음을 알 때는 침울한 얼굴을 보여 준다.




야누스의 두 얼굴 <이미지 출처:국제신문>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5-29 15:19   좋아요 8 | 댓글달기 | URL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존재, 아니 거의 모든 존재에게는 어느 정도 야누스 같은 면이 있어서, 그 존재가 우리 곁을 떠나려고 할 때는 상쾌한 얼굴을, 그 존재가 영구히 우리 소유 아래 있음을 알 때는 침울한 얼굴을 보여 준다.] 프루스트는 연필을 쥔 심리 학자라고 생각합니다.
프루스트 기억의 알베르틴의 애교점은 어느 순간에는 턱에 있다가 입술로, 입술에서 눈 아래 광대뼈로 옮겨지는데
우리가 사랑하는 이의 어떤 순간 어떤 모습을 기억 하는지 그시절의 마음, 심리 상태 마다 점의 위치가 바뀌듯 미묘하게 변하고 있다는것!
우리 안의 야누스적인 모습을 프루스트가 일깨워주네요.
미미님이 한권씩 읽어나가시는 프루스트의 잃시찾
알랭보통씨 글보다 공감할 점이 많습니다. ^ㅅ^

미미 2021-05-29 15:34   좋아요 8 | URL
‘연필을 쥔 심리학자‘정말 딱이네요!! 알베르틴 성격참 탐구대상입니다.ㅋㅋ 애교점 이동 재밌는데다 그녀답기도하고 상대적인 관점에서 심리변화를 은유한 걸 수 있겠네요! 프루스트를 많이 음미하고 계신 스콧님 칭찬에 저 훨훨 날아갑니당 마침 알랭드보통 좋아하는데 말이죠. 그책 다시 장바구니 상단에 킵! 헤헷~^^*♡

mini74 2021-05-29 16:41   좋아요 7 | 댓글달기 | URL
가끔 얼굴이 4개인 야누스도 있답니다. ㅎㅎ 시가 압축한다면 프루스트는 확장한다. 이 말에 무릎을 탁 치며 정조임금이 왜 문체반정을 했는지 눈곱만큼 이해가 가는 일인입니다 ㅎㅎ( 농담이에요) 미미님 거꾸로 읽어도 되는 군요. 전 매일 20페이지씩이라도 읽자 가 목표입니다 *^^*

미미 2021-05-29 16:55   좋아요 6 | URL
저 바로 문체반정 찾아보다가 ‘열하일기‘ 장바구니 넣었어요ㅋㅋㅋ기대이상으로 좋은 문장이 많아서 찾는 재미가 있네요^^*♡

그레이스 2021-05-29 16:57   좋아요 6 | URL
프루스트에서 문체반정으로 열하일기로^^;;;
이 흐름은 뭔가요?
미니님 문체반정 이야기 100% 공감 ㅎ

미미 2021-05-29 17:01   좋아요 6 | URL
정조의 과거 정책에 대한 저 나름의 쌩뚱반발입니다ㅋㅋㅋㅋㅋ

mini74 2021-05-29 20:36   좋아요 5 | URL
고미숙의 열하일기를 저는 재미있게 읽었어요. 박지원님 완전 개그캐릭터입니다 ㅎㅎ

미미 2021-05-29 20:43   좋아요 3 | URL
오 종류가 많았는데 고미숙님 버전으로 담아놓길 잘했네요! 그리스로마신화도 추천해주세요!😆

mini74 2021-05-29 20:50   좋아요 3 | URL
뉴욕에 헤르메스가 산다 가 전 가볍고 재미있었어요. 저는 첫 시작은 이윤기님 책으로 했어요 *^^*

미미 2021-05-29 20:55   좋아요 3 | URL
오 감사해요!! <뉴욕에 헤르메스..>는 첨 들어봐요!둘다 쏙쏙ㅋㅋㅋ

새파랑 2021-05-29 18:07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역순으로 읽어도 리뷰가 써지는 군요~!! <사랑이 깊어질수록> 시 너무 너무 좋아요~! 프루스트는 ‘확장‘에 너무 공감이 됩니다~ 전 2권 읽는중인데 아직까지는 주인공이 어린이에요 ㅋ

미미 2021-05-29 18:18   좋아요 5 | URL
강타의 노래 중 ‘북극성‘에도 초반 이 시의 일부가 나오는데 잘 어울려요.^^* 거꾸로 보기만의 장점이 있지요ㅋㅋㅋ

페넬로페 2021-05-29 20:29   좋아요 7 | 댓글달기 | URL
거꾸로 읽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특이하면서도 흥미로워요^^
제 성격상 전 이런 시도를 잘 못하는 사람이라 미미님의 프루스트 읽기가 재밌기도 해요~~
사실 리뷰가 내용의 줄거리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데 내용을 서술하지 않고 이렇게 압축적으로 책의 느낌을 잘 쓰시는게 참 대단하네요~~
이정하시인의 시도 좋고요^^
지금 읽고 있는 모라비아의 <경멸>과도 너무 일맥상통해서 감탄하는 중입니다~~

미미 2021-05-29 20:39   좋아요 6 | URL
아 페넬로페님 <경멸> 읽고 계시는 군요!!! 거기 오디세이 이야기로 주제를 암시하는 부분 너무 기발해요! 항상 그렇지만 오늘도 쥐어짜듯 써놓고 부끄러웠는데 좋은 점을 찾아주시니 북플의 에메랄드같은 페넬로페님 감사합니다~*^^*♡

나탈리 2021-05-29 21:2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완독하시고 거꾸로 읽으시는건가요????!!! 매년 제 새해 목표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완독하기.... 저는 늘 6권즈음에서 포시해서요 ㅠㅠㅠ
시랑 너무 잘 어울리는거 같네요! 저도 다시 프루스트 완독을 도전하고 싶습니다>.<

미미 2021-05-29 21:29   좋아요 2 | URL
ㅋㅋㅋㅋ이번이 프루스트 읽기 처음인데 1권에서 몇번이나 실패해서 거꾸로 읽기 시작했어요^^* 6권까지면 꽤 많이 나가셨네요! 작가들조차 언급을 많이해서 읽었는데 왜 그런지 점점 알아가고 있어요. 다읽음 1권부터 정방향도 도전해 보려구요.😆

나탈리 2021-05-29 21:59   좋아요 2 | URL
아하 ㅋㅋㅋㅋ 실패해서 거꾸로 읽기라니 신박한 방법인데요?!!!! 저도 또 실패하면 한번 써먹어야겠어요 ㅎㅎㅎ
오 사실 저도 프루스트는 작가들이 많이 언급해서 읽게 된건데, 똑같네요 ㅎㅎㅎ
처음에 지루한 부분만 넘기면 뭐랄까 점점 계속 곱씹게되는 부분들이 생기는 책인거같아요.
그런데 아무래도 서사가 장대하다보니 따라가기가 벅차는? 그래도 미미님 리뷰보니까 또 읽고싶어서 킵해두려고요, 미미님도 완독 기원합니다😉😉😉

미미 2021-05-29 22:04   좋아요 2 | URL
네ㅋㅋㅋㅋ감사해요! 모호한 부분은 대충 넘어가고 곱씹을 부분에 집중하니 읽어나갈수 있는 것 같아요ㅋㅋ나탈리님도 꼭 완독하시기를 응원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