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가 휩쓸고 지나간 자리에서 지식 생태계에는 대격변이 일어났다. 승리, 생산성, 기쁨, 행복, 번영, 자본이라는 군림의 언어가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다정함, 안전, 우정, 친구, 슬픔, 반성, 후회 등 심리 자원의 근원을 파고드는 돌봄의 언어가 지식 갯벌 위로 고개를 들었다


한여름 저녁에 영화 <달콤한 인생>을 다시 보는건 이병헌의 목소리와 음악 때문이다.
인생은 달콤한가, 씁쓸한가, 아름다운가, 슬픈가, 나는 강한가, 다정한가, 잔인한가.
쏟아지는 물음표를 음표에 쓸어 담은 채 유키 구라모토는 피아노 건반 위를 유유히 나아간다. ˝삶엔 그 모든 속성이 다 있어요˝
손가락으로 속삭이듯


‘소심이‘는 나를 안전하게 지켜주고 ‘버럭이‘는 이용당하지 않게 보호해 주지만, ‘슬픔이‘의 힘은 더 거대합니다. 슬픔은 연민을 자극해 서로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느끼게 해주죠. ‘슬픔이‘가 없었다면 <인사이드 아웃>은 망했을지도 몰라요


수전 케인으로 인해 ‘슬픔을 공부하는 기쁨‘을 배웠다. 이제야 유년기 어린 지수가 왜 그토록 해질녘에 떠나고 싶어 했는지, ‘태어나기 전 세상‘을 고향처럼 갈망했는지, 영화 인터스텔라>에서 아버지와 딸 사이에서 뭉텅이째 사라진 시간과 블랙홀의 랑데부에 몸을 떨었는지, 나이 들수록 왜 ‘사무침‘이 용서의 단서가 되는지.. 비밀이 풀렸다. 땡큐, 슈전 케인. 그리고 단조 음악과 검은 옷을 사랑하는 나의 소울 프렌드, 모든 내향인들에게 축배를!


˝나를 키운 8할은 친구였다˝ 나에게 친구는 안전한 병풍이었고 신나는 유원지였다.
그래서일까.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나 <슬기로운 의사생활>을 볼때도 내 눈에 잡히는 부러운 장면은 죄다 훈훈하고 인심 좋은 친구들이었다. 서로의 목숨을 지켜내는 제주 해녀 삼춘들도, 바닷가 한집에 같이 살며 늙어가던 김혜자와 고두심도, 벼락 치듯 정신없는 생사의 틈바구니에서도 ‘슬의생‘의 5인방 의사 친구들도 한결같이 보여준다.
‘친구와 우정이 인생의 전부‘라고. 결국 다정한 인간이 살아남는다고

˝잠깐 통화할 수 있어?˝ 나의 외로움과 불안을 가감 없이 드러내며 SOS 칠 때마다 수화기 너머로 저벅저벅 조용한 장소로 이동하는 친구의 발걸음 소리가 들린다. ˝ 그럼. 얘기해 봐.˝ 나를 구하러 오는 이 도시의 앰뷸런스. 세상 금은보화를 다 준다 해도 더 나은 세상으로 함께 손잡고 나갈 모험심과 아량 넘치는 이 친구와 바꿀 생각은 없다. 다행히 신은 인간을 스스로 강해지도록 창조하지 않았다. 당신과 나는 ‘돕는 자‘로, ‘친구‘로 지음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