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6일
근원적인 믿음이 바다 속으로 가라앉아버린 날
그러므로 법이 침몰한 날
그날 이후 법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

˝저희가 간 게. 양심적으로 간 게 죄입니다. 그리고 두번 다시 이런 일이 타인에게 일어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어떤 재난에도 국민을 부르지 마십시오. 정부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저는 잠수사이기 전에 국민입니다. 국민이기 때문에 달려간 거고, 제 직업이, 제가 가진 기술이 그 현장에서 일을 할 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간 것뿐이지,
국가 국민이기 때문에 간 거지 애국자나 영웅은 아네요.... 고위 공무원들한테 묻겠습니다. 저희는 그 당시 생각이 다 나요. 잊을 수 없고 뼈에 사무치는데, 사회 지도층이신 고위 공무원께서는 왜 모르고 왜 기억이 안나는지.... 저희는 단순한 거예요. 기면 기고 아니면 아닌 거. 진실은 다를 수 있지만 상황은 정확히 얘기를 해야죠.˝

김관홍 잠수사
세월호의 민간 잠수사였다가 몸과 마음을 다쳤고 지금은 저세상으로 가버린 사람
차가운 바지선 위에서 담요 한 장에 의지해 잠을 잤고 바다 속 깊은 곳에서 아이들을
두 팔로 끌어안고 나왔던 사람
잠수사가 마지막으로 세상 에 남긴 말은 ‘뒷일을 부탁합니다’였습니다
그래서 잊지 않으려 오늘도 질문합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뒷일을 부탁’ 받았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