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로마법 수업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천 년의 학교
한동일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네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노예들이다. 그렇더라도 인간이다.Servi sunt: immo homin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예제는 인간을 때려도 된다고 말하는 제도입니다. 매가 약이라고 말하는 제도이지요. 강자가 약자에게 폭력과 폭언을 휘둘러도 된다고 여기는 모든 곳에, 지금도 노예제가 살아 있습니다.

-알라딘 eBook <로마법 수업> (한동일 지음)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로마법 수업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천 년의 학교
한동일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시 로마사회의 수많은 노예들에게는 피임이나 비혼의 개념조차 없었겠으나, 저는 로마사회의 교묘한 출산장려책들을 보고 있노라면 또다시 지금 우리 젊은이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엄혹한 현실이 겹쳐 보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보통 가정의 자녀들은 자라서 상당수가 서비스직에 종사하게 될 겁니다. 정당하게 대우받고 사명감을 느낄 수 있는 서비스직들도 많으나, 감정노동과 갑질, 박봉 속에서 박탈감을 느끼며 최저임금만 간신히 받고 일해야만 하는 젊은이들은 훨씬 더 많겠지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에는 이러한 배경이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건 아닐까요? 비단 지금의 현실이 어렵고, 거대한 사회시스템을 위해 복무하는 작은 톱니바퀴 역할을 감당해야 할지라도,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만 있다면 왜 젊은이들이 가정을 꾸리고 그 가정의 웃음인 아이를 갖지 않겠어요?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충족조건을 살피지 않고 국가를 위해, 미래의 우리 사회를 위해, 인적 자원의 충족을 위해 아이를 가져야 한다고 강변한다면, 그것은 과거 로마사회에서 노예가 자녀를 가져 주인의 부를 충족해주기를 바라는 마음과 뭐가 다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모는 아이의 주의를 어디로, 어떻게 이끌지를 포함해 아이의 뇌에 중요한 연결을 구축하고 강화하는 능력이 있다. 즉 아이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할 것인지, 미성숙한 뇌에 어떤 종류의 연결을 구축해줄 수 있을지 생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

뇌는 유연하고 변화할 역량이 충분하며 개인이 겪는 경험을 토대로 바뀌므로 통합성을 더욱 높은 수준으로 키울 수 있다. 이를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개념이라 하는데, 살아가며 변화하는 것이 개인의 마음이나 사고방식에 그치지 않고 그 이상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뇌의 실질적인 물리 구조는 개인이 보고 듣고 만지고 생각하고 연습하는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신경 경로를 만들어내고 자체적으로 재조직하면서 새로운 정보에 적응한다. 우리가 주의를 기울이거나 경험하고 상호작용하며 강조하는 것은 무엇이든 뇌에서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낸다. 주의를 집중하면 뉴런이 점화하면서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