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나는 책을 좋아하지 않았다. 생각해보면 대학교 졸업 때까지 책을 한 20권이나 제대로 정독했는지 모르겠다. 물론 교과서와 문제집이야 열심히 봤지만 그런 책들은 정말 하나의 수단일 뿐 학교를 졸업한 후 다 버려버렸다. 이걸 책을 읽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여튼 졸업 이전까지 나는 책을 제대로 선택하지도 보지도 읽지도 않았고 그럴 필요성 역시 하나도 느끼지 못했다.

이런 내가 책을 손에 쥐기 시작한 것은 발령 받아 처음 맡은 업무가 바로 '도서'였기 때문이다. 생전 별로 가보지도 못한 도서관이라는 곳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책을 찾아볼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학습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을 보면서 아무래도 교과 관련 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책을 손에 쥐기 시작하다가 만난 책이 여희숙 선생님께서 쓰신 '책읽는 교실'이다. 이 책에 나와있는 책으로 꾸려가는 학급 운영의 모습은 그 당시 내게 너무 이상적으로 보였다. 그렇지만 나와있는 교육활동을 바로 내가 하기에는 힘들거 같아 가장 쉬운 것부터 하기로 했다. 교사로서 근무하고 있는 동안 활용할 학급문고 만들기 말이다. 

그러나 난 '책읽는 교실'을 너무 내 식으로 받아들였던 모양이다. 직접 사비를 털어서 책을 모으는 것은 좋았지만 그런 책들의 종류가 너무 편중되어 있었다. 책을 읽기 시작한 시점에도 나는 소설 같은 문학에는 마음이 열리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내가 아이들을 위해 사는 책들도 동화와 같은 문학류는 거의 없었다. 있다 하더라도 교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나중에서야 내 오류를 알았지만 그때는 그랬다.

나에게 있어 책읽기란 하나의 내 자아를 성장시키는 수단이다. 공익 때도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보곤 했다. 그리고 서평도 쓰고 느낀 점도 쓰고 그랬다. 그러나 이러한 책읽기는 개인의 성장은 되었지만 교사로서는 갖추어야할 여러 자질을 골고루 키우기에는 내 관심사에만 너무 편중되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복직해서도 욕심은 있었지만 제대로된 독서교육을 해보지 못했다.

다행히 학교 안 독서모임에 참여하게 되었고 함께 독서모임에 참여하는 좋은 선생님들 덕분에 조금씩 변해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변화의 속도는 너무 느렸고 내 마음은 여전이 닫혀있던 모양이다. 그 당시에도 나는 그림책을 왜 읽어줘야는지, 그게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는 알지 못했다. 그저 하나의 학급운영 스타일 정도로만 생각했다. 

혁신학교로 지정이 되고 여희숙 선생님께서 주신 목록으로 본격적으로 독서모임을 하면서 내가 가진 문제가 무엇인지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게 되었다. 그림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모으기 시작했고, 아이들에게도 읽어주기 시작했다. 작년에는 잘 안됐지만 올해는 신기하게도 책을 읽어줄 때는 조용해진다. 놀라운 일이다.

이러한 작지만 소중한 변화는 나 혼자라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나 혼자서 독서를 한다면 일단 그런 책을 선택하지도 않았을 것이고 그 감동도 얼마가지 못했을 것이다. 그저 스쳐지나가는 한 권의 책에 불과했을 것이다. 그러나 함께하는 선생님들이 계셨기 때문에 그리고 그러한 분들과 함께하는 독서모임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나는 예전에 비해 한 단계 성장했다. 그리고 그걸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 있다.

앞으로도 독서모임은 계속될 것이다. 이제 이 모임은 우리 학교 전통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아직 미진한 부분도 있지만 이는 시간이 해결해줄 것이다. 다른 학교에 가서도 이런 모임을 꾸준히 해나가고 싶다. 학교를 벗어나 지역의 큰 흐름으로 나타났으면 하는 마음이다. 그리고 그 흐름에 나 역시 역할을 맡아 기여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