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섭의 식탁 - 최재천 교수가 초대하는 풍성한 지식의 만찬
최재천 지음 / 명진출판사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최재천 교수는 '통섭'이라는 개념을 우리나라에 들여오고 전파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진화생물학과 생태학 그리고 개미 연구에 명성이 자자한 분이다. 그분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글을 정말 잘 쓰는 교수로 알고 있었으나 직접 그가 쓴 책을 읽어볼 기회를 가지지는 못했다. 그러나가 통섭의 식탁이라는 책을 눈에 띄어 구입하여 읽게 되었다. 아니나 다를까 그의 명성을 입증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는 책이었다. 이렇게 술술 단 이틀만에 읽히는 책은 오래간만이다.

  책은 '만찬'이라는 비유를 사용하여 구조화되었으며 다양한 책들을 읽고 난 후의 그의 리뷰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 가지 기억할 점은 그가 '통섭'이라는 개념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데만 사용하는게 아니라 그의 삶이 통섭적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고 그 노력은 그가 읽은 다양한 책에서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 책을 보면 알겠지만 그가 자연과학자라고 해서 오로지 자연과학에 관련된 책만 있지는 않다. 인문학은 물론이고 공학 관련 책도 있다. 특히 마지막에는 여러 학문이 통섭된 내용이 담겨 있는 책들이 소개되어 있다.

  물론 그의 전공이 전공이니만큼 아무래도 자연과학에 대한 책이 더 많긴 하다. 그러나 그가 읽은 책들은 자연과학의 개념이나 이론을 설명하는 교재가 아니라 어떤 중요한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들이다. 그 메세지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지는데 하나는 '통섭', 다른 하나는 '환경보호'다. 그가 통섭학자이며 동시에 생태학자라는 점을 마치 보여주기라도 하는 듯 그가 읽은 책의 후기들은 하나같이 이러한 전언이 밑에 깔려 있다.

  오늘날 강조되는 것은 전문적인 지식도 지식이지만 그 이상으로 강조되는 것이 바로 창의성이다. 창의성이 없이 전문적인 지식만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뒤치닥꺼리만 하게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창의성은 어디서 나오는가? 다양한 학문이 접하는 경계선에서 튀어나온다. 자기 전공만 잘 알아서는 창의성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학문의 경계선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어야 하며 각 학문은 자신들의 울타리를 낮출 필요가 있다. 바로 이것이 통섭이다.

  오늘날 강조되는 것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자연환경이다. 굳이 생태학을 공부하지 않더라도 오늘날 인류의 문명이 자연에 엄청난 부담을 주고 있음을 모르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현실감 있게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그동안 해온 일을 계속하고 있다는데 있다. 

  인간의 과학기술과 문명의 발전은 60억을 넘어 100억에 가까운 인구의 생존을 가능하게 해주었고 야생동물의 공포에 몸을 숨기던 인간을 지구의 지배자로 만들어 주었다. 이러한 경험은 인류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큰 믿음을 가지게 해주었고 인간이 만들어낸 문명이 자연보다 더 효율적이라 믿게 만들었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최재천 교수의 글에 따르면 갯벌보다 더 효과적으로 환경을 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우리가 만들어낸 것들 상당수가 자연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찍찍이라고 부르는 벨크로 테이프도 도꼬마리라는 작은 식물에게서 힌트를 얻은 것이다. 최근에 생체모방학이라는 학문이 발전하고 있다 하는데 확실히 자연은 우리 인간의 스승이다. 아직도 인간은 자연에게서 배울 것이 매우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주적으로 보면 아주 작은 성과에 취하여 자연을 파괴하는 모습을 우리는 아직도 보이고 있다. 경제 성장이라는 환상에 취해서 말이다. 그런데 이미 전 세계 인구가 먹고도 남을 식량은 이미 존재하고 있다 한다. 그런데도 굶어 죽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경제성장이 과연 거기에 기대하는 사람들의 소망을 성취시켜주고 있는지는 고민해볼 일이다. 게다가 엔트로피의 법칙에 따라 경제성장은 공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이 가지고 있는 것, 그러니까 자연 자본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어떻게 보면 우리가 이룩하고자 하는 경제성장은 미래 후손들의 자연자본을 강탈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자기 자식에게 최선의 것을 해주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깨끗한 환경이야 말로 우리가 자손들에게 넘겨줄 수 있는 최선의 것이다. 나는 야생을 예찬하는 저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는다. 과연 야생이 인간이 추구할만한 것인지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연 없이는 인간도 없다는 이야기에는 동의한다. 인간 스스로를 위해서라도 자연보호는 해야만 할 일이다.

  통섭과 자연환경보호라는 주제 외에도 인생과 관련된 책, 진화론의 정수를 보여주는 책, 경제에 관한 책 등 다양한 책이 소개되어 있다. 책의 내용은 저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옆에서 이야기해주는 것 같은 느낌이 들도록 되어 있어 심오한 내용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된 다른 책들도 앞으로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