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가 시작하라 - 변화하는 학교 ESBZ의 부추김
마르그레트 라스펠트.슈테판 브라이덴바흐 지음, 류동수 옮김 / 에듀니티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는 어떤 곳이어야 할까? 오늘날 학교는 19세기 교실에서 20세기 교사가 21세기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오명을 뒤집어 쓰고 있다. 내 세대를 생각하면 마냥 틀린 말은 아니지만, 또 전통적으로 내려온 교육법이 다 틀린 것도 아니겠지만 학교가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다. 


  학교가 이렇게 뒤쳐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입시로 대변되는 우리 사회의 경쟁구조 때문일까? 학교 역시 사회라는 거대 공동체의 일부일 뿐이니.. 그렇게 놓고 보면 학교에만 새로운 혁신을 요구하는 것은 부당해보이기도 한다. 


  이런 어려움 가운데서도 혁신을 외치는 교사들이 있다. 학교의 변화를 외치는 사람들이 있다. 계란으로 바위를 깨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의 행동은 어리석어 보인다. 입시로 인해 왜곡된 교육환경은 너무나도 공고하지 않은가. 이들의 행동이 의미가 있을까? 아니, 그 전에 정말 옳을까? 왜곡되었다 하지만 그것도 결국 사람들이 선택한 결과 아니겠는가?


  여러 어려움과 한계 속에서도 변화를 외치는 사람들에게 마르그레트 라스펠트와 슈테판 브라이덴바흐가 쓴 <학교가 시작하라>는 숨막힐듯한 갈망을 조금이라도 채워줄 단비와 같은 책이 아닌가 싶다. 이 책은 독일 ‘우리베를린학교’의 이야기이며 동시에 들불처럼 번져가고 있는 혁신과 변화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우리는 독일이 유럽 선진국이며 또 교육강국이라 알고 있다. 지식채널e에서도 나온 것처럼 아이들의 천국처럼 생각한다. 그러나 독일 역시 순위 경쟁이 있으며 사교육에 돈을 많이 쓴다는 이야기를 책에서 읽으면서 사람 사는 곳은 결국 다 똑같은 건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말이다. 


  그런 상황을 역전시키며 새로운 페다고지를 제안하는 학교가 ‘우리베를린학교’다. 이 학교는 아이들의 잠재력을 믿으며 이를 발휘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매개를 활용한다. 이들 매개는 그렇게 대단해보이지 않지만 오늘날 우리 한국 학교에서는 쉽게 하기 어려운 것이기도 하다. 어떻게 보면 작은 변화가 결국 큰 혁신을 가져오는 것 아닐까. 그렇다고 보면 입시 환경만 탓하는 것은 어쩌면.. 정말 어쩌면 무책임이라고 불러야 할지도 모르겠다. 


  저자들은 책에서 지금 즉시 착수할 것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책임’과 ‘용기’다. 무기력한 학교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결국 사람이 바뀌어야 한다는 이야기로 들린다. 닭이 먼저냐 달갈이 먼저냐 이 질문에 대한 답이 없는 것처럼 사람이 바뀌는 게 먼저인지 체계가 바뀌는 게 먼저인지는 사람마다 생각이 분분하다. 하지만 선의가 결국 생각을 바꾼다고 믿는다면 지금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할 것이다. 그게 당장은 무의미해 보여도 말이다. 


  학생이 스스로 공부하고 책임을 다하고 교사들이 이를 돕고 주변 교육환경이 조화롭게 받쳐주는 학교. 우리가 그리는 이상적인 학교의 모습이다. 이 이상은 멀게만 느껴졌지만 곧 다가오는 미래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