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으로 교육에 말 걸기 - 공간, 시간, 소리, 색채에 관한 교육학적 성찰
송순재 지음 / 아침이슬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리뷰

  한국 공교육의 수준은 낮지 않다. PISA에서 나오는 성적만 보더라도 공교육은 자신의 임무를 상당히 잘 수행하고 있다이에 반박하고 싶은 사람들도 있겠지만 공교육에 문제가 있다는 말과 공교육이 자신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은 크게 다르다전자를 가지고 후자를 끄집어내는 것은 명확한 오류다.

  그러나 공교육에 문제가 있다는 말은 사실이다그 원인에는 여러 가지 있을 것이다사회문화적 시스템이 문제일 수도 있고대학 입시 때문일 수도 있다또는 교사의 열정이나 능력 부족일 수도 있고 사교육이 문제일 수도 있다.

  아무래도 좋다중요한 것은 공교육에 문제가 있다는 거 아니겠나그리고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냐는 것이다이에 대한 현재 가장 강력한 대답은 아마도 혁신학교가 아닌가 싶다.

  그러나 혁신학교 역시 한계가 있다전반적인 시스템 개선 없이 교사의 열정을 거의 유일한 동력원으로 하고 있으며 무늬만 혁신하는 학교도 있다그리고 학교 전보 체계상 계속 구성원이 바뀌기 때문에 혁신적인 시도들이 전통으로 남기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혁신학교를 넘어서 학교를 혁신한다는 구호도 있고 마을공동체를 학교로 끌어와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전자는 아직 실체가 모호하고 후자는 교사의 업무 폭증과 마을에 대한 너무 과한 환상에 사로잡혀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철학이다교육은 근본적으로 그 사회의 모습을 투영한다우리나라 사회는 교육에 적합한 집단사고를 형성하고 있는가골목길마다 즐비한 차들과 골목에서도 속도를 줄이지 않고 달리는 자동차들학벌로 차별하는 문화서로 믿지 못해 여러 검증시스템을 도입할 수 밖에 없는 사회문화 등을 볼 때 학교와 교사들을 닦달해서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철학이다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교육적 상상력이 필요하다아무리 좋은 철학을 갖추어도 이를 실천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으니까교육적 상상력은 아무렇게나 나오는 것이 아니다반듯한 철학을 토대로 다양한 경험과 반성을 통해 나온다.

  송순재 교수가 쓴 상상력으로 교육에 말 걸기는 그래서 선구적인 책이다공간시간소리색채로 나눠 펴낸 이 책은 기존의 교육에 대한 정의부터가 아닌 현실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다양한 이야기와 현재 대두되고 있는 대안교육 이론의 결합은 우리의 고정된 교육에 대한 이미지를 다시 한 번 움직이게 한다.

  다소 지루할 수도 있고 전문적인 지식이 조금 필요한 부분도 있지만 그렇게 읽기 어려운 책은 아니다특히 수업보다 그 수업을 둘러싼 여러 환경과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사유를 담았다는 점에서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물론 수업에 대한 성찰을 원했던 사람이라면 어울리지 않는 책이긴 하다.

  교사만 읽을 책은 아닌 거 같다다른 사람들도 읽었으면 좋겠다교사의 소신도 뒷받침해줄 사회문화적 토양이 있어야 싹틀 수 있는 거 아닌가우리 사회가 좀 더 교육적으로 변했으면 좋겠다.


2. 밑줄

20 또 다른 문제로 우리는 종종 소년들이 나무에 기어 오르거나 미지의 동굴을 탐험하려 드는 식의 행동을 볼 수 있는데부모는 이를 불안해하면서 억제하려 들지 말고 십분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

23 도시의 건물에서 무엇보다도 유감스러운 건 건물이 그 개성적 얼굴을 잃어버렸다는 것이다.

25 나는 그 까닭을 아름다움이라는 가치가 일상생활에서 돌봄을 받지 못하고 학교교육에서도 그저 별 볼일 없는 것으로 치부되어온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31 그 방향에서 독일의 한 직업학교(하노버 시)에서는 기회균등이라는 교육적 이념 아래 창문 없는 교실을 만들었다.

45 개인의 독자적인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다양한 공동체의 형태를 경험할 수 있는 책상의 형태와 유연한 배치

57 클라우스 몰렌하우어가 묘사했듯이 그렇게 학교는 일종의 분류기계’ 같이 학생들을 세세히 분류해냈으며 그들 각자를 위한 공간을 배정했다.

57 대형학교라 할지라도 학교 안에 학교를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서 출구를 마련하려 한다.

63 하나의 예술품으로서의 학교불가능한 요청일까?

68 리텔마이어는 학생들에게 호소력 있는 건축물의 범주 세 가지와 그 반대의 세 가지를 들었다. (1) 생산적 자극과 운동감(vs 지루함과 단조로움) (2) 자유감과 해방감(vs 협소함과 억압적 느낌) (3) 따스함과 부드러움(vs 차가움과 딱딱함)

73 서양의 경우그들은 나름대로 전통과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서 새로운 공간문화를 건설해가고 있다.

77 하지만 바로 그러한 심학적 공간이야말로 오늘날 현대적 진보에 지나치게 경도된 학교즉 마음을 위한 공부자리가 상실된 오늘날의 학교를 향해 또 다른 차원에서 말을 걸어올 수 있지 않겠는가 하고 생각해본다.

81 생태교육의 진정한 과제가 있다면 그것은 자연세계와 교류하고 대화를 나눌 수 있기까지 하는생명에 대한 감수성을 키워내는 것이다.

117 세상의 어느 것 하나 단번에 이루어지는 게 없고또 영원히 동일하게 남아있지 않다는 사실은 인간이 단적으로 시간적’ 존재임을 말해준다.

121 산다는 것은 시간을 어떻게 체험하느냐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122 어린아이들에게 과거와 미래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현재 여기서 놀이하며 보내는 시간이 전부다.

125 중요한 것은 일이 순리대로 흘러가도록 하되 매번 때에 들어맞게 하는 것이다여기서 요구되는 것이 바로 평정심이다이 평정심은 일이 예상치를 넘어서서 심한 굴곡을 보이게 되면 시험대에 오른다.

127 재능은 심리학적 지식을 동반한 교육적으로 조성된 환경 안에서 비로소 얼굴을 쳐든다는 말이다. ... 상상력은 개성과 재능에 대한 정당한 인식이라는 조건 속에서 비로소 나래를 펼 수 있다.

130 지혜를 좋아하면서도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그로 인한 잘못된 결과는 허황됨이며 ... 곧음을 좋아하면서도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그로 인한 잘못된 결과를 각박함이며 ... 굳셈을 좋아하면서도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그로 인한 잘못된 결과는 멋대로. <논어양화편

132 첫 번째 것은 내가 서있는 곳은 어디인가?”이고두 번째 것은 나는 어디를 가고자 하는가?“입니다이 두 개의 점을 알고 나면 우리의 삶의 방향은 자연스럽게 정해집니다.

133 판타지와 가치감각이것이 있은 뒤라야 삶은 아름답게 되고 그의 직업세계에 대한 구상도 믿음직스럽게 된다.

136 교육의 과제가 있다면 인생이 너무 일찍 막을 내려버리지 않도록 돕는 것이다.

138 학교의 시간구조라는 것이 바로 산업사회가 생산해낸 시간구조에 의해 규정된 것이었음을 비로소 알게 된다.

141 ”수도원은 생기 없는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파발꾼즉 우리의 시간 속에 영원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증하는 전령이다“ Gustav Thibon

144 사물의 불멸성에 만족하지 못하고한 번뿐인 인생인 양 자기만의 것별나고 특별한 것을 소유하려는 인간의 의지가 기이하게만 여겨지는 것이다.

148 정당한 의미에서의 학습이란 빠른 속도가 아니라, ’적절한 속도를 뜻한다.

150 그것은 이를테면 게으름‘, ’느긋함‘, ’욕심을 포기하기‘, ’자신을 제3자의 입장에서 지켜보기‘, ’효율성의 원칙의 지배를 받지 않는 삶의 구조‘ 등이다.

153 어렸을 때부터 생각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면느린 속도를 몸에 배게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155 가령 학생들 간의 폭력에서 전형적인 귀결은 나를 자극하니까나도 때릴 수밖에 없다는 식이다.

162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에 가면 학생들로부터 이런 인사말을 듣는다아침에는 맑았습니다.“ 점심때는 밝았습니다.“ 저녁때는 고요합니다“.

167 따라서 학교 시간은 결속력을 갖지 못하고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식으로 경험되기 일쑤다.

173 하루 종일 습격당하는 느낌으로 하루를 살아야 한다.

174 우리 핸드폰‘ 문화 중 가장 큰 문제는 지속적인 시간의 흐름을 무차별하게 단절시킨다는 것이다.

181 시간은 단순히 유한성이 아니라 그 안에 무한으로 통하는 길이 숨겨져 있는 신비로운 세계다. ... 근대기 유대교 평민 신비주의 사상인 하시디즘은 세계 안에는 신적인 불꽃이 숨겨져 있다고그렇게 가르쳤다.

196 배움은 노래와 춤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끌어내고좋은 시와 음악을 골라 날마다 백성들이 듣게 하는가 하면 자작시를 지어 학동들로 하여금 노래하게 했다는 것이다.

199 그곳(발도르프 학교)에서 아이들은 하루의 아침을 좋은 음악으로 열고 수업의 첫머리를 그런 음악으로 시작한다.

200 다만 개혁교육학적인 시각에서 말하자면 이미 만들어진 가락과 장단을 따라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그저 느낌이 오는 대로 치는 행위 자체아니면 단순한 놀이로 그저 치면서 노는 행위가 중요하다.

204 여전히 전통과 교재를 답습하는 음악수업대가로부터 전수 받기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정도가 높아질수록 특수한 전문가적 기예를 요하며 보통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엘리트 음악수업 구조라는 점에서 말이다.

205 하지만 아이들은 활발한 것과 크게 말하는 때가 필요한 것처럼뒤로 물러나고 조용히 하는 법도 배워야 한다.

206 한 걸음 더 나아가 아이를 향하여 부르는 선생님의 목소리를 이런 영롱한 소리에 비추어 닦도록 하면 어떨까?

209 소리 내어 글 읽는 행위는 그 자체 생명의 약동을 표현한다이에 비해서 오늘날 일반화된 독서법은 때로는 너무 메말라 보인다공부 또한 너무 개인화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228 바겐샤인은 학교가 어린아이들이 이해할 수 없는 것을 성급하게 가르치려 듦으로써 일종의 죄를 짓고 있다고 고발하면서 왜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세계의 근본적인 현상을 보여주지 않는가라고 물었다.

246 이 제안은 실상 기계음에 익숙해진 현대적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요청한 것이었다.

250 사회 공동체성을 기르기 위해 합창 연습은 좋은 방도가 될 수 있다.

255 하지만 이렇게 꺼져버린 것은 실은 음악이 아니라 이 아이의 마음이었던 것이다.

262 그 색들은 수줍은 자태로 내게 다가와서는일상에 쫓겨 잿빛으로 물든 나의 마음을 한없이 부끄럽게 울렸다.

268 색채는 아름다운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276 다채로운 자연세계를 사진기나 영사기로 세밀하게 관찰한 영상자료는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에게도 특별한 체험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277 아이들은 이런 인공적 색채의 세계와도 의미 깊게 교류할 줄 알아야 한다.

303 화장술은 미학적으로 인간학적으로 중요한 문제로서이 기법은 가정에서부터 그리고 학교에서도 가르쳐야 할 생활의 기법임에 분명하다이때 중요한 것은 청소년과 젊은이들의 미적 체험이 자유롭게 전개될 여지가 있어야 한다는 점과한편 대중소비사회가 지정하는 기법으로부터 어떻게 자유롭게 화장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도울 수 있겠는가 하는 물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