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기대되는 책. [소립자] 와는 어떤 다른 느낌일까?
오랜만에 설레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김연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김연수,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중 하나이고 한번도 나를 실망시킨 적이 없는 소설가다.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역시 그의 문장력은 꿈에서도 진저리 치던 꼰대(?)가 되가고 있는데도, 나만 모르고 있는 민폐 캐릭터 40대 중반 아저씨한테도 가슴 뭉클함을 주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뭐랄까... 너무 말랑 거린다. 작가의 말처럼 세상은 심연으로 가득하지만 가끔은 날개를 달고 심연을 넘어 서로 연결되는 신비로운 순간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날개가 작가는 소설이라 말하고 싶은 것 같다. 소설속의 '윤경'이 등장하는 부분에서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으로 모든 세상이 연결되고 소통되고 있다고 착각하지만 그것은 그들의 외로움을 숨기고자 하는 헛된 몸짓일 뿐이다. 나도 혼자 있을 때 쓸때 없이 스마트폰을 보는 것이 습관화 되고 있다. 오죽하면 엘리베이터 타는 10초를 참지 못해서 스마트 폰을 보고 있으니...   

 

고독과 외로움이 없으니, 생각이 없고, 생각이 없으니 세상은 한없이 가벼워져만 간다. 오해는 하지 말자. 고독하고 외로운 사람을 이해하는 것은 내가 고독과 외로움을 깊이 사유해 봐야 가능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끄적거리다 댓글 읽고 공감 백번 누르고, 페이스북에 좋아요 누르는 것은 나의 외로움과 고독을 달래고 있을 뿐이다. 타인과 나 사이에  심연을 건너 서로 만나는 신비한 순간을... 작가는 우리시대에게 기대한다. 소설을 통해서, 아니면 시 - 책에 나오는 에밀리 디킨스의 [Hope is the thing with Feathers] - 를 통해서..

 

이런 생각까지 다다라 보니 그의 말랑거리는 문장이 이해 안되는 바도 아니지만 나는 소설의 '윤경'처럼 '마흔 살 이후에는 완전히 다른 호르몬'이 흐르는 40대 중반을 넘어섰다. 아름다운 문장으로 혹한 마음에 신비로움에 빠져 있기에는 좀 낯 간지러운 나이다. 하지만 다시 한번 작가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세상과 소통하고 연결되어 있다는 허상에 빠져 있는 현대인들에게 느리지만 깊은 여운을 가진 '생각' '고독' '외로움' 이라는 자극제를 주고 싶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김연수 답지만, 어느 순간 도가 지나쳐 김연수답지 않은 너무 말랑거리고 감수성 과잉의 문장들과 상투적인 인물과 플롯 - 최성식 선생과 그의 아내 신혜숙 교장, 김미옥과 정지은의 관계, - 은 요즘 한창 스마트폰에 빠져 허우적 되는 10-20대를 위해 의도적으로 시도한 설정이 아닌가 싶다. 물론 나만의 생각일 뿐이지만...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은 내 취향도 아니고 내 기준으로는 김연수의 작품 중에서 수작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 하지만 한 가지 바람이 있다면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이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너를 생각하는 것은 나의 일이었다'라는 문장으로만 기억되지는 않았으면 한다. 마지막 '2012년의 카밀라, 혹은 1984년의 정지은'의 신비로운 심연이 연결되는 만남의 체험을 위해 책을 끝까지 읽어 보기를 권한다.

 

마지막으로 이 소설은 영화화 되면 좋을듯 싶고 작가가 충분히 이를 의식하고 소설을 쓰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뜬금 없지만 이 글을 쓰는 순간 장혜진의 '1994년 어느 늦은 밤'이 흘러 나온다. 이 소설과는 아무 연관이 없을 뿐만 아니라 말랑거리기 그지 없는 가사와 멜로디의 값싼 감상일 지 언정 이 역시 신비로운 순간이다. 내 마흔 살의 완전히 다른 호르몬이 잠시 회춘하고 성장 - 아니 노화라고 해야 겠지요 - 울 멈추는 순간도 있나 보다. 그래도 다행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름 별장, 그 후 민음사 모던 클래식 70
유디트 헤르만 지음, 박양규 옮김 / 민음사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요즘 독일에서 주목받고 있는 신예 작가라 해서 좀 기대를 갖고 읽었는데 별 감동은 받지 못했다. 난 해외 유명작가들의 단편을 읽고 나면 뭔가 작품이 끝났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 실망감이라고나 할까, 아니면 허탈감 같은 것을 느낀곤 했는 데 이 단편들 역시 좀 김 빠진 사이다 맛 같았다.

 

옮긴이는 작가 유디트 헤르만이 "말하지 않는 것, 볼수 없는 것,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아름답고 슬픈 언어로 표현하는 생락의 힘"을 가진 작가라고 하는 데 나한테는 생략이 너무 강해서 말하지 않는 것, 볼수 없는 것이 말 그대로 말하지 않으니 들을 수 없었고 볼 수 없으니 느낄 수 없었다. 너무 직설적인것도 문제지만 너무 에둘러 표현하는 것도 답답하긴 매한가지다.

 

해외 단편을 우리 언어로 번역 할 때 피할 수 없는 어떤 한계가 있지 않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가운 벽 트루먼 커포티 선집 5
트루먼 카포티 지음, 박현주 옮김 / 시공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중(또는 독자)들의 관심이 항상 창조의 결과물인 문학 작품에만 제한 되지는 않는다. 간혹 창조의 당사자인 저자의 개인사가 대중의 관심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나한테는 '트루먼 카포티'가 그렇다. 일단은 책보다는 영화 '카포티'를 통해서 그를 처음 알았기 때문일 것이다. 나한테 트루만 카포티는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이다. 둘의 공통점은 이름이 죽여 준다는 것이다. 사실 아무 근거 없는 순전히 개인적인 취향의 문제이지만 이 둘의 이름은 나한테는 너무 이국적이고 멋지게 들렸다. 또 이 둘은 모두 약쟁이(?) - 비하의 의미는 절대 아니며 단지 이 단어가 주는 짧고 강한 메시지를 대체할 만한 단어가 없기 때문에 사용할 뿐이다. - 이였고 끝내는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다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하여튼 난 영화를 통해서 카포티를 알았고 그래서 [인 콜드 블러드]도 읽었다. 하지만 영화만큼 소설은 인상적이지 못했다. 그래서 다시 한번 [차가운 벽]이라는 카포티의 단편선을 찾아 읽어 봤지만 실망스럽게도 결과는 달라 지지 않았다. 그래서 내린 결론은 그의 작품이 아닌 '트루먼 카포티'라는 인간 자체가 나의 관심이었다는 것이다. 물론 그의 명성에 어울리는 인상적인 문장은 여럿 만날 수 있었지만 그 순간일뿐, 감동이라던지 기억에 남는 단편은 찾을 수는 없었다. 이런 점에서 난 카포티의 단편이 시대는 틀리지만 F. 스콧 피츠제랄드의 단편과 닮은 구석이 많다고 생각한다. 뭐라 설명할 수는 없지만..... 뭔가 아쉽고 부족하다는 점에서 말이다. 

 

하지만 작가가 나랑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어서 반갑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다. 아니면 지금 생각해 보니 그 자신을 두고 한 말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어떨때는 작품 자체 보다 작품을 만든 창조자에게 더 흥미를 갖게 하는 그런 예술 작품들이 있다"

                                                                                          [머리없는 매] (p1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 서울의 삶을 만들어낸 권력, 자본, 제도, 그리고 욕망들
임동근.김종배 지음 / 반비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이라는 대도시에서 일상 생활이 되버린 '집과 땅' 을 둘러싼 탐욕과 욕망의 권력 지도를 정치 지리학적 관점에서 풀어낸 책이다. 솔직히 정치 지리학은 잘 모르겠지만 보통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지정학과 비슷한 것이 아닌 가 싶은데, 공동 저자 중 한 분인 임동근씨는 이 둘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고 한다. 하지만 일반인 독자가 이를 구태여 구별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우선 현재 서울시와 같은 지방자치 광역단체밑에 '구'라는 기초 단체를, 그리고 시읍면 체제에서 여전이 '군'을 유지되고 있는 것은 행정적인 편의상 목적이라기 보다는 중앙정부가 서울시 (광역 단체) 나 시 (기초단체)를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주장은 이 책을 통해서 처음 들어 본 것이지만 고개가 끄덕여 지는 설득력 있는 주장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요즘 옛 한전 부지를 두고 서울시와 강남구가 사사건건 부딪치는 걸 보면 임동근씨의 주장이 더 그럴듯하게 들린다.

 

그리고 정부의 대규모 주택, 토목 건설에서 건설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땅 주인들로부터 체비지를 확보하였으나 체비지가 잘 팔리지 않자 할수 없이 주위의 땅들을 그린벨트로 묶어서 자연스럽게 체비지에 민간투자와 개발을 이끌어 냈다는 분석 역시 그 타당성과 유효성을 떠나서 아~~ 라는 동의의 감탄사를 불러내기에는 충분했다고 본다.

 

노골적인 정부의 민간을 상대로 하는 땅 장사는 1977년 실시된 '특정지구 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은 민간업체가 아파트 지구의 체비지를 사면 6개월에 아파트 개발계획을 세워야 하고 이를 지키지 못하면 땅을 반납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법으로 내용을 따져보면 정부는 대기업에게 땅을 팔고, 대기업은 집 장사로 거액의 개발이익을 독점하는 정부와 대기업의 카르텔의 서막을 울리게 된다. 추가로 1980년 무조건 토지수용 을 주 내용으로 하는 '택지개발촉진법' (줄여 택촉법)의 실시로 토착 지주들은 개발이익에서 완전히 배제되었다고 한다. 한 마디로 정부의 땅 장사도 자연스럽게 경제의 규모를 따르게 된 것이다. 정부에서는 자잘하게 토지를 나눠 파는 것보다는 대기업에게 턴키로 토지를 판매하는 것이 이득도 크고 시간도 절약 되었을 것이다.        

 

위 내용 말고도 여러 재미나는 설명들이 많이 담겨 있는 장점 많은 책이다. 하지만 어짜피 팟 캐스트 방송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보니 내용은 어렵지 않지만 다루는 주제가 협소하고 논리적 흐름이 끊기는 단점은 숨길 수가 없다. 이 책을 읽고 흥미를 느낀 독자라면 비슷한 주제를 다루 지만 좀 더 학문적인 깊이와 농도를 가진 책으로 넘어가는 것이 현명할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