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살아 온 세월들이 행복했었나? 하는 생각들이 자꾸 든다.
응팔도 그렇고
최근에 읽은 공부중독이라는 책도 그렇고...
그렇다고 응팔을 재미없게 본 것은 아니다
다만 그렇게 아름답지만 않았다는 것이다
가난해서 비교할 수가 없어서 그렇게 살았었다는 느낌인데..
너무 포장한 느낌이 나서..
우리 택이도 있는데...

그래도 그때가 나았어 라고 말을 하는데
과연?
가난해도 행복했다? 정말?
그 세대들은 그래도 공부로 성공할 수 있는 세대였다고 이야기하고 그래도 공부를 하지 않아도 괜찮았던 세대라고 자꾸 하는데
왜 나는 자꾸 그 말들이 불편하고 억울하게 들리는 걸까?
경제적으로 팽창되는 시기여서 좀 더 나은 사회진출이 가능했던 때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 시절을 살아온 세대들이 공부에서 자유롭고 공부를 잘 하지 못해도 과연 지금 이야기되는 그런 인정을 받았었는지...

사실 그때나 지금이나 다른건 없는데
그때도 돈 없으면 공부를 잘 해도 좋은 대학을 못 갔고 과외가 금지되어 있어도 돈 있는 집은 과외를 했었고...심지어 학교선생님도 과외를 하고 있다는 공공연한 비밀도 난무했었고...

어쩔수 없는 경제적인 팽창으로 지금보다 좀 더 나은 취업을 할 수는 있었다고는 하지만
과연 그 경제적인 팽창이 사회적으로 잘 사는 만족스러운 사회였는지는 정말 모르겠다.

역시나 공부해야만 인정받았었고 잘 해야만 했었고..
아~ 그때는 지방에 살아도 서울대를 많이 갔으니 공부로 성공했고 개천에서 용난다고 하는 건가? 과연 몇명이나.. .
개인의 적성과 능력은 무시된채 무조건 서울대를 가야했었는데.. 다른 사립을 가고 싶어서 정보가 없어서 학교에서 써주지도 않아 갈 기회조차 가지지 못한 학생들이 얼마나 많았었는데...
공부의 폭력은 그때나 지금이나 별반 다를바가 없는데
사회조건이 달라졌다고 아니 경제조건이 달라졌다고 그 때는 그래도 지금보다 나아라고 하는건... 정말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이 사회를 이렇게 만든게 개개인이 아니라는 건 다 아는 사실인데도..

정말 화가 나고 억울하다
당신들이 공부로 나름 성공을 했구나...그래서 저런 이야기를 하는구나 하는 삐딱한 마음까지 든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이 주인이 번다는 말이 자꾸 생각난다
공부이데올로기로 돈 좀 벌었으니
이제 다른 판을 짜 보겠다는 소린가?
더 이상 공부라는 것으로는 팔아 먹을게 없다는 말인가?
억지를 쓰고 싶은 생각이 굴뚝 같다.

그래 니 * 굵다....
제대로 꼬여 버린듯...

스크류바가 먹고 싶다. .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16-01-28 17: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늘 뭔가 많이 먹고 싶은 날이에요 :-)

지금행복하자 2016-01-28 17:52   좋아요 2 | URL
달달하고 차가운 그런거요 ㅎㅎ

오거서 2016-01-28 17:3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삶 자체가 행복한 것이 아니라고 해요. 그러니까 우리의 삶이 꼭 행복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요. 이왕이면 행복하게 살면 좋겠지만. ^^

지금행복하자 2016-01-28 17:52   좋아요 1 | URL
맞아요. 삶자체가 행복하지 않아요. 그냥 사는 거지요~ 저땐 저렇게 사는것이 최선이었어요. 다 같이 가난했다고 해서.. 조금 이웃간에 정이 있었다고 해서 행복했던것이 아닌데... 자꾸 강요받는 느낌이 들었어요.. 이런 글을 보는 요즘 아이들은 무슨 생각을 하게 될까.. 꼭 지금 청년들하고 중년세대 이간질한다는 느낌마저 ㅎㅎ 제가 제대로 꼬였어요 ㅎㅎ

yureka01 2016-01-28 17:5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응팔 시리즈가 추억팔이거든요.

추억이란 계속 시간이 지날수록 미화되어져 갑니다.

시간이란 돌이킬 수 없는 절대성에 대한 그리움이었거든요.

만날 수 없는 과거의 그리움....

사진 찍어 보면 ..진짜 쩔도록 느낍니다.ㅎㅎㅎ

지금행복하자 2016-01-28 17:55   좋아요 3 | URL
ㅎ 그런 추억팔이가 불편한 저는 어쩌죠? ㅎㅎㅎ
응팔도 다 넘겨보고 택이 나오는 부분만 봤어요 ㅎㅎㅎ

쩔어보이는 사진... 언제 가져볼까요... 한 10년지나서?

커피소년 2016-02-01 15:52   좋아요 0 | URL
응팔의 추억 팔이..ㅎㅎ진짜 과거와 현재 같은 동시간대에 비교 분석할 수 없으니..자연스럽게 미화가 되는 것 같습니다..

cyrus 2016-01-28 18:1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 책을 비판하는 분들이 있길래 책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궁금해요. 악평을 읽으면 저도 책을 까고 싶은 느낌이 들어요. ㅎㅎㅎ

지금행복하자 2016-01-28 18:29   좋아요 3 | URL
읽을 때는 그냥 그렇구나.. 그렇지 하면서 읽었었는데.. 뒤로갈수록 이게 뭐니? 느낌이 쎄해졌어요;; 핵심이 빼놓고 겉만 핱고 있는 느낌이....
약간의 괘변도 느껴지고...
저의 어휘력의 한계로 개인적인 감상문밖에 못 써서 좀 많이 아쉬워요 ㅠㅠ
사이러스님이 읽으시고 냉철한 서평을 빙자해서 돌려까 주실래요? ㅎㅎ

의외로괜찮은데~~ 하실수도 있어요 ㅎㅎㅎㅎ공감이 안가는 이야기들은 아니니까요;;

서니데이 2016-01-28 1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읽었습니다.
지금행복하자님 ,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지금행복하자 2016-01-28 19:05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 저녁식사 맛있게 하세요~^^

2016-01-28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택이는 바둑을 공부해서 그쪽의 절대강자가 됐죠. 공부란 걸 내 좋아하는 분야에 대한 탐구와 열정으로 바꿔볼래요. 바둑중독자 택이처럼 뭔가에 중독된 듯 살아보죠, 뭐. 지금행복하게요 ^^

지금행복하자 2016-01-28 23:12   좋아요 0 | URL
택이의 공부가 진짜 공부이고 중독되어야하는 공부일거라는 생각은 했어요.
스스로 선택한 자신만의 길..
최고의 자리에 있는 대신 겪어야하는 어려움까지 보여주는 유일한 캐릭터가 아니었나 싶어요.. 불면증에 두통에 예민함까지...
저도 그런 중독은 되고 싶어요.. ㅎㅎ
쉽지는 않을 듯 해요~^^

살리미 2016-01-29 00: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제가 너무 편협한 생각을 하고 있었나 걱정도 되네요.
저는 두 저자의 생각이 살짝 살짝 핀트가 안 맞는것도 좋았고 제가 어렴풋이 생각하던 것들을 확실히 말해 주어서 좋았는데...
저도 저자들의 결론은 맘에 안들었지만 사실 그게 어떤 대안이 있을 수 있을까 싶기도 해요. 저자들이 무슨 대안을 내놓은들 우리가 그 대안을 몰라서 해결 못하고 있었던가? 싶은거죠.
하지현 교수의 생각에 거부감을 느끼는 분들도 많으시던데.. 일부 극성 학부모들의 케이스라고 공감을 못하는 경우도 봤고..
근데 저는 주변에서 그런 일들을 흔히 보니까 정말 남의 일 같지 않았어요.
그리고 대담형식이다보니 급히 이야기가 마무리 되어버리는 경향도 있었던 듯 하고..
암튼 공부라는 것의 의미가 달라져야 한다는 내용의 책들도 많이 나왔잖아요. 이미 제대로 자기 길을 열심히 파는 아이들도 또 의외로 많고요. 그런 반면 저자들이 염려하는 경우도 심각할 정도로 많다고 저는 느꼈어요.

지금행복하자 2016-01-29 00:41   좋아요 1 | URL
뭐라고 표현해야 할지.. 그 대담의 내용들이 틀린것은 아닌데 부분으로 전체를 이야기한다는 느낌도 들고..
좀 충격인것이 대안학교나 대기업 생산직 이야기 나왔을때 실정을 모르는것 아냐? 하는 생각마저 들었어요..

제가 직접 사교육현장에 있어서 그런 케이스 정말 많이 보죠~ 정말 장난아니거든요.여기도 그런데 위쪽은 오직할까요.. 그런데 그렇게 해도 요즘은 서울로 학교를 못 가요.. 똑같은 조건에 학생수가 줄었는데도 대학을 더 못 가는건 개인의 잘못이 아닌건데..

솔직히 저희 애들은 그래서 혜택을 본 경우일지도 모르고요~ 저렇게 키우지 말자 하면서..

공부에 대한 책들이 나오는데... 결론들이 개인의 몫으로 돌리는것 같아 좀 불편했어요.. 부모가 변해야 교육이 변한다는 말 최근에 엄청 듣잖아요..그런데 제 생각엔 생각이 변하게 만들어 줘야하는 사회적 의무도 분명히 있거든요~ 좀 더 강하게 그 부분이 언급해줬으면 어쨌을까 싶기도 하고.....
좀 책을 읽고 맘이 복잡했어요 ㅎㅎ

좀 죄송하기도 하고요;;

살리미 2016-01-29 00: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은 워낙 개개인의 상황이 달라서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도 있겠군요. 하지현 교수가 보는 상황이 제가 처한 상황과 비슷한 점이 많은건 사실이지만 그걸 대한민국의 교육현실에 일반화하면 여러가지 오류가 나오겠어요.
저도 맘이 많이 복잡했던 ... 알지만 저부터도 실천이 안되니 답답했던 책이에요 ㅎㅎ


지금행복하자 2016-01-29 01:00   좋아요 0 | URL
쉽지 않은 현실이에요.. 자꾸 짐을 개인에게로 안 줬으면 좋겠어요.. 맘이 너무 힘들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