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도서관이 세상을 바꾼다
이소이 요시미쓰
내가 꿈꾸는 공간이 있다
어떻게 이름 지어야할까
책도 읽고
배고프면 라면도 끓여먹을수 있고
떡볶이도 먹을수 있고
순대. 김밥 다 좋다
그날 메뉴는 주인장 맘이다.
정해지지도 않는다
수제비에 꽂히면 그날은 수제비가 주 메뉴가 된다.
주인장이 카레가 먹고 싶으면 카레를 먹어야 한다
음~ 간단한 요기정도는 해결할 수 있는 공간.
책읽다 술이 땡기면 술을 마셔도 된다.
소주도 좋고 맥주.
아마 나는 술을 담그고 그 술을 팔아야겠다
복분자주. 매실주. 석류주.
잔술로 팔아야지~
얼음 듬뿍 넣어서 칵테일로도 좋겠다 ㅎㅎ
물론 왁자지껄 술집처럼은 안 된다.
만화책도 많이 있고
자유롭게. 자연스럽게.
맛있는 커피를 내려 줄수도 있고
좋은 차. 맛있는 차. 있을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ㅈ
한 쪽 구석탱이에서 낮잠도 잘수 있고
다른 한 쪽 구석탱이에서 그림을 그려도 되고 ..
이야기해도 되고.. 책 읽어도 되고..
당연히 먹을것 가지고 와서 포트락 파티를 해도 된다..
단 장소 사용비는 줘야한다
문 닫을 수는 없으니까.. ㅋㅋㅋ
만든 물건 팔아달라고 하면 팔아 줄수도 있다.
인형만들어 팔고 파우치 만들어 팔고..
귀찮으면 안 하고.. ㅋ
이게 무슨 공간일까..
ㅎㅎ
나는 책이 있는 창고라 부를 것이고
누군가는 카페라고 부를수도 있고
식당이 되기도 하겠지..
뭐로 부르든 중요한것은
자연스럽게
그 공간에 대해 당연하게 생각 되어지는 것.
외로울 때 올수 있고
심심할 때 올 수 있고
배고플 때 올 수 있고
재미있게 놀고 싶을 때 올 수 있는 곳.
물론 책 읽으러도 와야지~
이런 곳이 내가 꿈꾸는 그런 공간이다.
<동네도서관이 세상을 바꾼다>에서 보여주는 도서관의 형태들.
이 책에서는 작은 도서관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동네도서관.
동네 한 모퉁이와 사람의 의지만 있으면 가능한 도서관.
절도서관. 교회도서관. 꽃집 도서관. 사진 스튜디오의 한 구석에 만들어지는 도서관.
치과병원에도 도서관. 죽은 아내의 책으로 만든 도서관
매일 열지 않아도 책이 많지 않아도
모여서 책 읽고 이야기하고 토론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이 바로 도서관이라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서비스가 가득 찬 도서관이 아니라
사람들의 소리를 들어주는 도서관
작은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도서관
만들어지는 도서관이 아니라 함께 만들어가는 도서관 목표보다 과정을 즐기는 도서관.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도서관이다.
빈둥거릴 수 있는 공간. 한 눈 팔수 있는 공간.
즐거운 놀이로서의 공간으로 도서관을 이야기하고 있다.
마을의 휴식처. 가프게 숨 돌릴 수 있는 곳.
이야기를 들어주고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곳.
그 곳이 도서관이다
* 동네도서관이 지향하는 것은 `배움`이다. 세대와 성별을 초월해 지속가능한 배움을 나누는 일. 깊이 있는 교류를 나눌수 있는 배움의 인연인 새로운 `학연`을 만드는 것이 동네도서관의 꿈이며 역할 이다. - 57 p
* 도서관 가족은 피를 나눈 가족과 지역 커뮤니티의 중간쯤에 위치하는 존재이다. 감성이 통하고 분위기가 맞는 사람들이 책으로 이어져 서로의 생활과 장래에 관심을 두고 도움을 주는 관계가 형성된다. ... ..
누구든지 자유롭게 출입하며 책을 통해 모두 하나 되는 모습을 보면서 IS동네 도서관이 도시생활에서 새로운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품는다. 그런 책과 사람이 한데 어우러진 아름다운 관계와 교류 안에서 생겨나는 것이 바로 `도서관 사람`이다.
- 75p
* `개인`은 `조직`보다 큰 힘을 만들어 낼수 있는 의지와 정열을 갖고 있다. `조직`으로 무언가를 하려면 합의가 필요하다. 사람마다 생각이 달라서 조정을 통해 결론을 끌어내야 한다. 이는 물론 중요한 과정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개인의 열정도 조정을 겪을 수밖에 없다. 타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개인`이 중심인 활동은 열정을 유지 할 수 있다. 뭔가 새로운 것을 시도 할 때는 열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열정을 갖고 자립한 `개인`이 연대하면 사회를 변화시키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참고로 마이크로 라이브러리의 상징 마크는 `개미`다. 처음 서밋을 기획할때는 동네 도서관을 `문어`로 하고 이 쪽을 `개미`로 하자고 가볍게 생각했었다. 개미는 발에 밟힐 만큼 작아도 쉬지 않고 일한다. 눈에 띄지 않지만, 숲의 생태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 점이 마이크로 라이브러리의 상징에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개인`의 힘을 믿고 앞으로 나가자!하는 의미다 -- -194p
나 고등학교 1학년때 장래희망란에 카페여주인 이라고 썼었는데..
부모님은 교수.
누구의 꿈이 이루어질까~~
https://youtu.be/MoaOlHFfm-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