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자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41
김은국 지음, 도정일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김은국의 <순교자>를 읽으며 무척 당황스러웠다. 한국인 작가가 쓰고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이 작품은 뜻밖에도 한국소설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김은국은 이 작품을 영어로 썼다. 하지만 그는 우리 땅에서 태어나 성장한 한국인이다. 젊은 시절 6·25전쟁을 겪었고, 휴전 직후 미국으로 건너가 9년만에 쓴 작품이 <순교자>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한국인이며, 6·25 전쟁 중 평양을 주요무대로 하고 있다. 그럼에도 <순교자>는 한국소설이 아니었다.

<순교자>에는 한국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들은 한국말을 하고, 한국인 성과 이름을 가진 인물들이지만, 그들에게서 한국 사람다운 무언가를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의 이름이 엘리엇, 웬트워스, 혹은 찰스, 스미스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해도 이상할 게 없다.(참 이 작품에는 비중 있는 여성 캐릭터는 나오지 않는다. 동시에 성역활도 중요하지 않다. 주제가 성을 초월한 것이기에 말이다!)

6·25전쟁 역시 마찬가지다. 이 작품의 전쟁은 ‘6·25전쟁’이라는 명칭보다 ‘한국전쟁’이라는 명칭이 더 어울린다.(물론 영어로 쓴 이 소설은 ‘Korea War’라고 표기했을 것이다.) 이 작품이 묘사하고 있는 6·25전쟁은 우리 민족에 깊은 상처를 안긴 그 전쟁이 아니다. 그냥 관념적인 전쟁일 뿐이다. 이야기를 위한 하나의 배경일 뿐이다. 베트남 전쟁이든, 포클랜드 전쟁이든, 걸프전이든 상관없다. 그 무대가 바뀐다해도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크게 변하지 않을 듯싶기 때문이다.

인물들의 시선도 간혹 놀랍도록 국외자(局外者)처럼 보인다. 가령 주인공 ‘나’에게 친구 박 대위가 보내온 편지에는 이런 대목이 등장한다.

   
  문제는 칠흑같이 어두운 밤인 데다 양쪽이 모두 한국말을 하고 있다는 점이었어. 우리가 어느 쪽을 죽이고 있는 건지 알 수가 없었네. 모두 똑같은 언어로 “누구야, 너 누구야?”만 외쳐대고 있었으니 말일세.(p.45)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 국군과 인민군이 육박전을 벌이는 상황을 묘사하는 이 대목은 철저하게 제삼자의 시선이다. 전쟁의 참상을 드러내는데 더 없이 좋은 설정이지만, 이는 마치 우리말을 모르는 외국인의 시선과 다를 바 없다.

이런 어색함과 이질감은 <순교자>를 읽는 내내 목안의 생선가시처럼 불편했다. 그리고 궁금했다. 작가는 미국으로 간지 9년만에 어쩌면 이렇게 완벽하게 타자의 시선으로 작품을 쓸 수 있었을까? 타인의 나라에서 살아남기 위한 의도였을까? 아무튼 김은국은 이 작품으로 한국인 최초의 노벨문학상 후보로 선정되었다.

다행히 책을 읽는 내내 나를 괴롭히던 의문은 책 말미에 실린 역자의 해설 덕분에 상당부분 해소되었다. 역자 도정일 역시 작품의 시선에 의문을 제시한다. 동시에 이 작품이 역사적 문화적 한계에서 벗어나 인간이라면 공감할 수밖에 없는 보편적이며, 동시에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순교자>의 성공요인을 분석한다. 동의한다.
정말이지 지극히 개인적이며 좀스러운 이야깃거리가 대장 먹는 국내문학의 현실을 생각하면, 무국적이지만 범세계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순교자>는 분명히 큰 그릇에 담긴 작품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이에자이트 2010-07-13 1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워낙 한국적인 냄새가 짙어서 보편성이 결여된 것이 한국소설의 단점이라는데 그런 점에서는 김은국의 소설도 필요할 거에요.소설가이며 번역가인 이윤기에 의하면 최근 소설가 중에서는 정찬의 소설(빌라도의 예수)이 외국인도 공감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lazydevil 2010-07-14 22:52   좋아요 0 | URL
<순교자>의 주제의식은 정말 부족함이 없습니다.
<빌라도의 예수>라... 제목부터 범세계적인 걸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7-19 14:14   좋아요 0 | URL
정찬은 줄곧 '영혼의 문제'를 다루어 왔죠.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유럽엔 이미 이승우와 함께 정찬은 알려지고 있구요. 두 사람의 소설이 비슷하기도 하구요.
<빌라도의 예수>에서 정찬은 예수와 빌라도를 정치적으로 읽어냅니다. 저는 때마침 김규항의 <예수전>을 읽고 있었는데 두 사람의 시각이 상당히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더랬습니다.

lazydevil 2010-07-20 17:16   좋아요 0 | URL
나무님 반갑습니다.^^
정찬도 그렇고, 이승우도 그렇고 꾸준히 작품활동을 하며 자기 세계를 넓혀가고 있나보군요. 한동안 우리 문학에 눈을 두지 않았더니.. 제겐 새로운 소식이네요.^^;; 암튼 두 작가 참 믿음직스럽네요.

2010-07-15 08: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7-15 17:1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