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삼월의 붉은 구렁을>은 온다 리쿠의 재능과 한계가 동시에 엿보인다.
이 작품은 ‘삼월의 붉은 구렁을’이라는 가상의 책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네 편의 중편 소설(총 4장)로 구성되어 있다. 책에 관한 흥미롭고 공감할 만한 이야기는 놀랄 만큼 큰 즐거움을 선사한다. 하지만 정작 독자를 놀라게 만드는 것은 각 중편들의 수준 차이다. 사실 그간 읽어본 온다 리쿠의 작품들을 생각해보면 네 편 모두 고개가 끄덕여지는 작품이다. 이 책에 실린 좋은 중편 소설도 온다 리쿠답고, 실망스러운 중편 소설도 온다 리쿠다운데, 이것이 문제다.
가상의 책 ‘삼월의 붉은 구렁을’에 대한 직접적인 에피소드가 담긴 제1장 ‘기다리는 사람들’과 제2장 ‘이즈모 야상곡’은 그야말로 대단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책 읽는 사람’의 욕망을 파고드는 작가의 야심과 개성이 작품에 잘 드러난다. ‘책 읽는 사람’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동시에 작가 자신이기도 하고, 이 작품을 읽는 독자이기도 하다.
작가가 포착한 ‘책 읽는 사람’의 욕망은 가상의 책 ‘삼월의 붉은 구렁을’을 통해 재치 있게 증식하는데, 독자는 어린 시절 길고 긴 겨울밤을 수놓았던 어른들의 ‘이바구’처럼 아련한 즐거움이 피어나는 걸 지켜본다. 이런 즐거움을 느끼는 것은 비단 독자뿐만 아니라 작가와 이야기 속 인물도 마찬가지니 가상의 책 ‘삼월의 붉은 구렁을’이 그 욕망을 얼마나 절묘하게 찔러대는지 알 수 있다. 가령,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태어나서 처음 본 그림책부터 자기가 지금까지 읽은 책을 순서대로 모두 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 없으신가요? 잡지 같은 것까지 모두 포함해서 말입니다. 그 책들이 죄다 책장 하나에 순서대로 꽂혀 있어서, 한 권 한 권 빼들고는 책장을 훌훌 넘겨보는 겁니다. ‘그래, 맞아, 이 시기에 SF에 미쳐 있었지’라든지, ‘이 무렵에는 우리 반 녀석들 모두 호시 신이치를 읽고 있었어’처럼 회상하면서요. 누구나 그런 도서관을 가지고 있다면, 다른 사람의 독서 역사를 엿보는 재미도 쏠쏠할 겁니다. (p.85)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위와 같은 보르헤스적인 생각은 ‘책 읽는 사람’의 보편적인 욕망과 습성을 매우 재치있게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이 작품에 실린 두 중편은 재미있다. 행복한 욕망의 노출을 추진력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이 작품의 제3장 ‘무지개와 구름과 새와’와 제4장 ‘회전목마’은 애초의 즐거움을 깎아먹는다. 가상의 책에 얽힌 신화를 다소 억지로 연계시키고(제3장 ‘무지개와 구름과 새와’), 작가의 자의식과 야심이 정제되지 않은 채 지면을 채우고 있고(제4장 ‘회전목마’), 앞선 두 장에서 구축한 신화를 지극히 사적인 욕망으로 끌어내린다.(제3장, 제4장). 이는 그만큼 제1장과 제2장에서 쌓아놓은 신화가 보편적인 욕망과 심리에 호소하고 있다는, 즉 성공적이라는 말이기도 하다.
그런데 제3장과 제4장이야말로 이전에 읽은 온다 리쿠의 작품과 가장 닮아있다. 이쯤되면 독자가 품었던 괜한 기대를 원망해야할 지 작가를 원망해야할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삼월의 붉은 구렁을>, 떠오른 생각들.
1. 제1장 ‘기다리는 사람들’에서 책읽기와 식욕을 병치한 것이 재미있다. 원하는 책을 실컷 읽으며, 간간히 입맛을 돋우는 음식을 탐욕스럽게 집어삼키는 등장인물이 부럽다. 그러구보니 제2장 ‘아즈마 야상곡’에서도 주인공 아카네와 다카코는 밤새도록 책이야기를 하며 먹고 마시는구나! 부럽다.
2. 제1장과 제2장을 읽는 동안. 이야기는 재미있으면 충분하지 않은가? 더 이상 무엇을 필요할까?
3. 제3장과 제4장을 읽은 동안. 가벼움은 이야기의 해악인가? 각 이야기마다 어울리는 최소한의 무게라는 것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