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황모과 지음 / 래빗홀 / 2023년 8월
평점 :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사람에게 자주 하는 말이 있다.
"이별은 사랑으로 치유된다."
새로운 사랑이 헤어진 옛 사랑을 잊을 수 있게 해 준다고 말한다.
이 논리는 역사의 큰 재난에서도 똑같이 되풀이된다.
경제 위기, 또는 다른 이슈가 있어 국내에 분열의 조짐이 보일 때마다 늘 상부의 사람들은 대중의 분노를 표출할 적을 만들어 해결하곤 했다. 역사 속 임진왜란 또한 일제의 국내 분노를 다스리기 위한 일환으로 조선을 공격했고 대한민국 또한 빨갱이라는 명목으로 지역분쟁을 일으켜 서로 적으로 돌리게 했다. 히틀러 또한 유태인을 명목적으로 적으로 돌리며 유태인 학살에 대한 명분을 당당히 내세웠다.
가상의 적을 만드는 것. 그것이 바로 대중의 관심을 가장 효과적으로 일으키는 수단이었다.
그리고 바로 여기 또 다른 적으로 만들며 대규모 학살을 한 사건이 있다.
황모과 작가의 소설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의 배경인 1923년 9월 1일 발생한 관동 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사건이다.
소설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는 관동 대지진 이후의 상황을 독특한 형식으로 풀어낸다.
조선에서 일본 아라카와강 대형 인공 방수로 작업에 착출된 식민지 노동자
평세, 달출, 태안
또한 일본인이지만 하층민 부락민 출신에 장애인으로 차별을 받고 살아온 미야와키.
그리고 2023년 싱크놀로지 과학 통신을 통해 과거 관동 대지진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타임머신 한
민호와 다나카.
민호는 관동 대지진의 피해자로 알려진 행방불명인 달출의 행방을 찾기 위해 이 조사에 참여했고
다나카는 일본 우익단체의 장학금을 받으며 일본인 미야와키를 찾기 위함과 동시 이 대지진 학살을 끝맺기 위한 목적으로 이 조사에 들어왔다.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이 조사에 참가한 이 둘은 계속되는 타임 루프 속에서 평세, 달출, 태안 그리고 미야와키의 행방을 쫓으면서 사건을 파악해간다.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는 지진 사건을 자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그 이후의 배경에 집중한다.
대지진으로 모든 터전은 파괴되었고 이를 통제할 공권력은 제 구실을 하지 못한다. 약탈과 두려움만이 공존하는 그 곳. 일본인들은 어느 누구 쉽게 믿지 못하고 낯선 이들을 무조건 경계한다.
이 끔찍한 재난 앞에서 공동체의식은 함께가 아닌 낯선 이들을 공격하는 방식으로 향한다.
낯선 이들은 명확하다.
낮고 힘없는 자들. 일본에 건너 와 그들을 위해 힘들게 일한 조선 노동자들.
그리고 일본인임에도 같은 국민으로 인정 받지 못하고 천한 취급을 받는 일본의 부락민들이다.
소설의 제목인 말 없는 자들은 바로 역사 속에서 인간 취급을 받지 못했던 낮은 그들이였음을 나타낸다.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에서는 있는 자들의 목소리와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가 극명히 대비된다.
조선에선 백정 출신으로 손가락질을 받아야했고 일본에서는 식민지 노동자로 힘들어야만 했던 달출.
그는 말 못하는 농아 평세를 위험에서 건져내며 말한다.
부락민 출신으로 남편을 잃고 힘들게 살아가는 일본인 임산부 사요 또한 말한다.
반면 말 있는 자들의 목소리는 철저히 남을 향해 있다.
"너 신흥 종교지?"
"아까 얼쩡거리던데, 어디 사람이지?"
"조선인이 밭에서 작물 훔쳐 가고 상점 약탈하고 강간하는 거 본 사람이 수두룩해."
"좋은 조선인도 나쁜 조선인도 죽여라."
그들에게 진상의 진위 여부는 중요하지 않았다. 이들을 없애는 게 지진 이후의 삶에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거늘 그들은 조선인들을 증오하고 분노를 표출하기에만 바쁘다.
아수라장. 이 극한의 아수라장을 이 소설은 한 문장으로 일축한다.
자기 아이와 여자를 지킨다는 자경단원들은
타인의 아이와 여자들까지 거침없이 살육했다.
내가 살기 위해서 남을 쳐내야 한다. 그들에게 자신이 아닌 남은 적이었고 그들이 없어야 했다.
반면 달출과 평세 그리고 일본 부락민 출신 미야와키와 사요는 달랐다.
자신들이 받았던 차별이 부당하다는 사실을 그들은 오랜 경험으로부터 알고 있었다. 그 차별을 주위에 이끌려 남에게 전가할 수 없었다. 그것이 또 다른 차별과 비극을 만들어낸다는 걸 알고 있었다.
극한의 상황 속에서 그들은 함께 살아야 함을 택했고 목소리를 멈추지 않았다. 결국 자신들의 마지막이 쓸쓸한 비석 하나로 남고 끝내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로 묻히겠지만 자신의 신념에 따라 살아가기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다시 2023년 타임 루프로 관동 대지진을 타임 루프를 통해 관찰해 가는 민호와 다나카 역시 그들의 선택을 보며 그들의 선택 또한 바뀌어간다. 그들의 삶이 미래의 민호와 다나카에게 말 없는 자들이 아닌 큰 울림으로 다가오게 된다.
소설은 읽는 내내 묻는다.
끔찍한 재난 속에 과연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가장 천한 신분이었던 달출, 평세, 태안, 미야와키, 사요를 통해 소설은 독자들에게 말한다.
같이 살장게.
억울하지 않게 말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