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천재가 된 홍 대리 - 딱 6개월 만에 중국어로 대화하는 법 천재가 된 홍대리
문정아 지음 / 다산북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어 천재가 된 홍대리>는 소설 형식의 중국어 학습서이다. 

이전의 외국어 교재가 학습에만 치중한 반면 <중국어 천재가 된 홍대리>는 홍대리가 회사 업무를 위해 6개월 안에 중국어를 배우는 과정을 이야기 형식으로 가르쳐 주는 중국어 교재이다. 

이 책의 저자인 문정아 강사는 현재 [문정아중국어] 로 유명한 중국어 전문 강사로 나 또한 1년 넘게 저자의 인터넷 강의를 듣곤 했지만 의지 박약으로 중국어를 중도 포기했었다. 

<중국어 천재가 된 홍대리>는  내가 저자의 인터넷 강의를 들으면서 저자가 수없이 강조했던 모든 것들이 이 안에 들어있다. 

나는 말이 다소 느린 아이를 위해 아이가  언어치료 교육을 받고 있다.
치료사 선생님은 아이에게 처음 단어를 수없이 반복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아빠', '책상', '뽀로로' 등을 반복해서 들려준 후 아이가 단어에 익숙해지면 간단한 문장을 만들게 해 준다. '물 줘'. '차 타', '엄마 가' 등등 어렵지 않은 단어를 말하게 한 후 차츰 조사를 붙여 '차에 타', '엄마랑 가' , '아빠가 좋아' 등등 문장을 확장해 나가는 교육을 한다. 

저자가 강조하는 패턴 교육도 결코 이와 다르지 않다. 
"~는 어디에 가니?" 라는  뜻의 기본 패턴인 '~ 哪儿?'에 앞에 
'伱', '他', '他们' 등을 집어넣어 '너는 어디에 가니?' '그는 어디에 가니?'등으로 문장을 확장시켜 주는 것이다. 
즉 문장의 기본 뼈대를 잡고 다른 단어와 연계시켜 확장해 나가면 결국 긴 문장도 어렵지 않게 말할 수 있다. 

3. 가르치면서 배워라 
동생에게 영어를 가르치려고 한 때가 있었다. 내가 배우는 것과 가르치는 것은 천지차이였다. 막연하게 알고 있던 것들도 남에게 이해가 되게 가르치기 위해서는 개념이 정립이 되어 있어야 하고 확실히 알아야 하겠기에 공부를 안 할래도 안 할 수가 없었다. 
저자 또한 배우는 단계를 넘어 제 3자에게 가르치게 될 경우 정확한 전달력과 감각 자극, 반복의 연장이기 때문에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언어의 목적이 '소통'이라고 강조한다. 
소통하지 못하는 언어는 아무 소용이 없다. 하지만 남에게 가르쳐주다 보면 결국 소통하는 법을 더욱 잘 배우게 된다. 내 머리 안에 있던 언어들이 타인에게 전달되고 이해시키는 과정을 통해 더 잘 기억되고 그 언어가 내 입에도 착착 붙기 때문이다. 
나 또한 아이의 언어 능력을 통해 아이에게 수없이 말을 들려준다. 긴 단어나 아이가 발음이 불분명할 때 내 입을 보고 천천히 또박또박 들려주고 따라하게 해 준다. 가르치면서 나의 한글 발음을 더 자세히 보게 되고 천천히 분명한 발음으로 말하고자 노력하게 된다. 
저자가 강조하는 가르치면서 배우는 법 또한 같은 맥락일 것이다. 

이 외에도 저자는 드라마나 중국의 SNS인 '웨이보', 리듬 중국어 등 다양한 학습 방법등을 자세히 소개해 준다. 
소설 형식이다 보니 어렵지 않아 가독성이 좋아 쉽게 읽힐 수 있었다. 
페이스북에 어느 유명한 번역가가 이런 글을 썼다. 번역가가 될 수 있는가의 기본 자질은 우선 자신에 대한 믿음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저자 또한 중국어를 공부할 때 '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시작한다고 충고한다. "나는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를 외치고 공부를 시작하라고 말한다. 
이는 단지 외국어 학습에만 국한되지 않는 우리의 모든 실생활에 적용된다. 자신에 대한 믿음에서 시작하면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결국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즐겁게 해내는 사람이 중국어를 통달할 수 있다.  
6개월 안에 중국어 독파하기! 불가능해 보이지만 할 수 있다는 믿음과 반복을 통한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그리고 그 과정에 <중국어 천재가 된 홍대리>의 공부법은 좋은 가이드가 되어 줄 것 같다.  


1. 글보다 말을 먼저 배워라 
저자는 아기가 말을 배우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해 준다. 아기는 글이 아닌 엄마의 입모양을 따라 하며 말을 배워간다. 
글을 알지 못해도 말을 할 수 있는 건 듣기와 따라하기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전 우리의 영어 교육이나 기타 외국어 학습은 단어 암기나 문법에 치중해왔다. 연습장을 까맣게 단어로 채운 일명 '깜지'가 대표적인 예이다. 읽고 쓰는 것은 잘 해도 외국인 앞에서만 서면 벙어리가 되어버리는 현실은 바로 이러한 글자 형식의 교육 때문이었다. 
한자나 단어를 몰라도 그냥 따라 하며 중국어가 입에 붙도록 하는 것이 먼저라는 것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2. 패턴을 통해 문장을 확장시켜라 

내 아이가  말이 또래에 비해 다소 느려 언어치료 교육을 받고 있다.

치료사 선생님은 아이에게 처음 단어를 수없이 반복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아빠', '책상', '뽀로로' 등을 반복해서 들려준 후 아이가 단어에 익숙해지면 간단한 문장을 만들게 해 준다. '물 줘'. '차 타', '엄마 가' 등등 어렵지 않은 단어를 말하게 한 후 차츰 조사를 붙여 '차에 타', '엄마랑 가' , '아빠가 좋아' 등등 문장을 확장해 나가는 교육을 한다. 

저자가 강조하는 패턴 교육도 결코 이와 다르지 않다. 
"~는 어디에 가니?" 라는  뜻의 기본 패턴인 '~ 哪儿?'에 앞에 
'伱', '他', '他们' 등을 집어넣어 '너는 어디에 가니?' '그는 어디에 가니?'등으로 문장을 확장시켜 주는 것이다. 
즉 문장의 기본 뼈대를 잡고 다른 단어와 연계시켜 확장해 나가면 결국 긴 문장도 어렵지 않게 말할 수 있다. 

3. 가르치면서 배워라 
동생에게 영어를 가르치려고 한 때가 있었다. 내가 배우는 것과 가르치는 것은 천지차이였다. 막연하게 알고 있던 것들도 남에게 이해가 되게 가르치기 위해서는 개념이 정립이 되어 있어야 하고 확실히 알아야 하겠기에 공부를 안 할래도 안 할 수가 없었다. 
저자 또한 배우는 단계를 넘어 제 3자에게 가르치게 될 경우 정확한 전달력과 감각 자극, 반복의 연장이기 때문에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언어의 목적이 '소통'이라고 강조한다. 
소통하지 못하는 언어는 아무 소용이 없다. 하지만 남에게 가르쳐주다 보면 결국 소통하는 법을 더욱 잘 배우게 된다. 내 머리 안에 있던 언어들이 타인에게 전달되고 이해시키는 과정을 통해 더 잘 기억되고 그 언어가 내 입에도 착착 붙기 때문이다. 
나 또한 아이의 언어 능력을 통해 아이에게 수없이 말을 들려준다. 긴 단어나 아이가 발음이 불분명할 때 내 입을 보고 천천히 또박또박 들려주고 따라하게 해 준다. 가르치면서 나의 한글 발음을 더 자세히 보게 되고 천천히 분명한 발음으로 말하고자 노력하게 된다. 
저자가 강조하는 가르치면서 배우는 법 또한 같은 맥락일 것이다. 

이 외에도 저자는 드라마나 중국의 SNS인 '웨이보', 리듬 중국어 등 다양한 학습 방법등을 자세히 소개해 준다. 
소설 형식이다 보니 어렵지 않아 가독성이 좋아 쉽게 읽힐 수 있었다. 
페이스북에 어느 유명한 번역가가 이런 글을 썼다. 번역가가 될 수 있는가의 기본 자질은 우선 자신에 대한 믿음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저자 또한 중국어를 공부할 때 '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시작한다고 충고한다. "나는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를 외치고 공부를 시작하라고 말한다. 
이는 단지 외국어 학습에만 국한되지 않는 우리의 모든 실생활에 적용된다. 자신에 대한 믿음에서 시작하면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결국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즐겁게 해내는 사람이 중국어를 통달할 수 있다.  
6개월 안에 중국어 독파하기! 불가능해 보이지만 할 수 있다는 믿음과 반복을 통한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그리고 그 과정에 <중국어 천재가 된 홍대리>의 공부법은 좋은 가이드가 되어 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셜록 홈즈의 빨간 머리 클럽 The Red-headed League 책 먹는 몬스터 시리즈 2
아서 코난 도일 지음, 장계성 옮김 / 랭귀지몬스터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대만출장에 다녀왔다. 아시아권 출장이라서 영어 통역에 어려움이 없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나의 오만이었음을 절실히 깨달았던 출장이었다. 
국내파 영어 교육파인 내게 해외 유학파 파트너들은  나의 영어 실력이 그동안 제자리 걸음이였음을 절실히 느끼게 해 주었다. 
이번 출장을 계기로 다시 마음을 다잡아야겠다. 



예전과 달리 이번 공부에는 의역이 유난이 많은 것이 특징인 것 같다. 
영어 원서나 미드를 보지 않고서는 절대 알 수 없는 영어 표현을 많이 볼 수 있 있다. 

"My practice is never very absorbing." 
홈즈의 친구이자 조수인 Watson이 ' 흡수하다 absorb'을 써서 자기 진찰실은 절대 바쁘지 않다라는 표현이다. 
absorb라는 단어가 바쁘다 라는 표현까지 쓰인다라는 게 놀라웠다. 

main artery - artery가 대동맥이라는 용어인데 main을 함께 쓰면 '주요 간선도로'라는 새로운 뜻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표현들은 왜 영어 공부 20년째인 지금에까지 몰랐을까? 


새로운 표현도 많지만 의역에 대하여 공부를 많이 할 수 있었다. 
- a short walk took us to Saxe-Coburg Square 
직역 그대로라면 '잠깐 걷는 것이 우리를 색스코버그 스퀘어가로 데려다주었다' 라는 뜻이다. 
이 책에서는 ' 우리가 잠깐 걸었더니 색스코버그 스퀘어가로 나왔다' 라는 깔끔한 의역으로 번역을 해 주었다. 
매번 느끼지만 국어를 잘 해야 영어를 잘 한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는다. 

-German music is more to my taste than Italian or French. 
 "to one's taste"는 ~의 취향에 맞는 이라는 뜻이다. 
이탈리아나 프랑스 음악보다는 독일 음악이 내 취향에 더 맞아 

-for daring I am not sure that he has not a claim to be third 
직역 - '대담한 면에서는 저 친구가 세 번째가 아니라고 주장할지는 확실하지 않다'
의역 - '대담한 면에서는 세 번째라고 안 그러면 섭섭해 할걸' 

-abut upon ~과 맞닿아 있다. (처음 알게 된 표현 중 하나) 
They really abutted on the other side upon the faded and stagnant square which we had just quitted. 

이 도로의 한 편이 우리가 지나온 우중충하고 가라앉은 것 같은 색스코버그 스퀘어가와 진짜로 맞닿아 있었다.

마지막은 항상 뒷 부분에 나오는 원문을 mp3 음원과 함께 따라 읽기. 
언어 고수들은 자신의 음성을 녹음해서 들어볼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나의 볼품없는 영어 발음을 들을 자신이 없어 몇 번씩 반복해 보는 것으로 만족하려고 한다. 
영어 원서 읽기. "빨간 머리 클럽"으로 끝까지 화이팅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 - 인생의 중간항로에서 만나는 융 심리학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이 마흔은 쉽지 않은 나이이다

어린 시절과 반항기로 가득했던 10무엇이든 도전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 20기반이 잡혀가며 아직은 즐길 수 있는 30... 


그에 비하면 마흔은 인생의 중년으로 접어드는 시기인생의 무게가 갑자기 무거워지는 시기다.  직장에서는 2-30대의 젊은 혈기에 밀리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심리적으로는 우울증과 부담감 스트레스 등 고독함으로 힘들어진다이러한 급격한 인생의 무게를 감당해 낼 수 있도록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의 저자 제임스 홀리스는 이 마흔의 위기에 대한 해결책을 [융 심리학]을 제시한다


 저자는 우리가 유년 시절부터 부모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받은 투사와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만든 페르소나(가면속에서 살아가지만 결국 이러한 가면 속에서 감추고 살아가는 것에도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이 위기가 닥쳐왔을 때 우리는 기존에 해 오던 방어체계는 작동하지 않는다이 때가 바로 중간항로(middle passage)로 들어가는 단계이자 진정한 나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저자는 대안책으로 나 자신의 모든 것을 감추지 말고 정면대응 할 것을 제시한다나 자신의 단점외로움그림자 이 모든 것을 감당할 사람은 결국 나 혼자이며 어느 누구도 대신 해 줄 수 없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 결국 타인의 중재 없이 자신의 의존성, 콤플렉스, 공포를 직면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가 짊어져야 할 몫을 타인 탓으로 돌리는 일을 그만두고 자신의 

   육체적, 감정적, 정신적 안녕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서로 도와가며 함께 살아야 한다는 것이 아닌 나 자신의 모든 것을 홀로 감당하도록 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잔인한 것처럼 들릴 지 모른다
의지하며 살아가기도 힘든 상황인데 나의 모든 것을 타인에게 바라지 말고 나 홀로 책임을 떠맡겨야 하다니... 부부관계에서도 아내와 남편이 서로 상대방에게 의지하려 하고 바라는 게 많을 때  부부생활은 어긋나게 된다스스로가 자신의 삶과 발전을 책임질 때 부부관계가 오래 갈 수 있다
 주위에서 종종 "네 몸 어느 누구 하나 챙겨줄 사람 없다남편도 책임져주지 못하니 네 몸 네가 알아서 챙겨라안 그러면 너만 병난다."하며 내게 충고한다이러한 충고들이 어쩌면 저자가 말한  대안과 일맥상통한 것이 아닐까

내가 피하고 싶었던 모든 그림자와 대면하고 받아들임으로 인해 진정한 나 자신을 만날 수 있다고 조언한다이제까지 미처 알지 못했던 나를 만날 수 있게 되고 진정한 나를 찾는 개성화를 이룰 수 있다
우리의 내면아이와 대면함으로 내면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내면아이와 대면하고 내면을 충족시켜 줄 때 우리는 마흔의 우울감과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다

 저자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해결책은 온전한 나 자신을 만남으로 나 의 모든 것을 사랑할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차 성인기(12~40)까지 우리는 우리의 단점을 모두 감추고 살기 바쁘고 때와 상황에 따라 가면을 쓰기 바빴다나를 위한 삶이 아니라 남에게 맞추어지는 삶을 살아왔고 진정 나와 대면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았으며 우울감과 지루함은 항상 꼬리표처럼 따라왔다
중년마흔은 위기 속에서 나를 온전히 바라볼 수 있는 시기이다
나의 모든 것을 끄집어내어 나와 대화하며 나의 모든 것을 사랑하라
그리고 과거의 나보다는 현재의 나에게 집중하며 현재를 살아가야 한다

워킹맘으로 살다보니 처음에 힘들다는 말을 습관처럼 내뱉었다다른 사람들이 나의 힘듬을 알아주고 위로해주기 바랬다하지만 사람들에게 기대함으로 나의 좌절감과 분노는 커져갔고 어느 순간부터인가 속으로 삼키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실망도 분노도 일지 않았다어쩌면 저자가 말한 대로 내 자신의 힘듬과 외로움은 나 스스로 감당해야 할 몫이라고 느끼고 난 후부터 그랬던 것 같다

어쩌면 이 책이 힘든 상황에 있는 사람들에게 더 외로움을 자극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하지만 결국 자신의 인생을 남에게 기대는 것이 아닌 나 자신이 책임져 갈 때 인생의 항로가 더욱 의미가 있어지는 것은 분명하다나를 바라보는 연습...우리는 너무 나에게 인색해 왔다

나를 알지도 못한 채 시간을 보내 왔다이 책은 그런 우리들에게 나와의 대화를 할 것을 요구한다진정한 나 자신을 마주보고 사랑하라답은 바로 나 자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셜록 홈즈의 빨간 머리 클럽 The Red-headed League 책 먹는 몬스터 시리즈 2
아서 코난 도일 지음, 장계성 옮김 / 랭귀지몬스터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셜록 홈즈의 The Red-headed League>로 공부한 지 3주째. 
추리물은 일반글과 달라서 그 글의 문맥보다도 느낌을 잘 살려 읽는 게 중요한 것 같다. 드라마를 보듯 책을 읽으면서 그 광경을 상상하며 읽는다면 책의 느낌이 더 잘 살아날 것이다. 


1. 영어 원문 읽기

이번 주도 어김없이 영어원문을 먼저 읽는다. 한글 해석부분을 먼저 보게 되면 영어 원문을 볼 때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 되어 버려 오히려 독해력이 약해지는 것 같다. 영어문장은 자꾸 반복해서 읽는 게 독해력에 도움이 된다.  옆에 기재된 단어장의 도움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려고 노력한다. 
오히려 mp3 파일을 들어서 문맥을 파악하는데 집중한다. 

2. 영어 표현 공부하기 

외국 업체들과 이메일 corres를 하는 직업이지만 아시아권 사람들과 영미권 사람들과 이메일을 주고 받으며 깨닫는 건 바로 영어 표현이 차이가 난다. 우리와 같은 비영어권은 주로 격식이 갖춰진 교과서적 표현인 데에 비하여 영미권 사람들은 간결하면서도 핵심만 이야기한다. 

이 표현은 쉽게 얻어지지 않는다. 미드나 원서 등으로 많은 표현을 수집하는 수 밖에 없다. 

1. Because he was handy, and would come cheap. 
   - come cheap : 싸게 먹히다. <-> come expensive. 
    한글 표현과 영어 표현이 흡사해서 매우 놀랬다. 

2. That will do. 
  - 그걸로 충분합니다. 

3. dropped asleep 
- 자다의 뜻인 sleep은 너무 잘 알지만 잠이 들다를 쓸 때 drop asleep을 쓰는 건 이 원서책을 통해 또 배웠다. 

4. Grave enough. 그럼요, 심각하고 말고요. 

5. count for a good deal 아주 중요하다 
  _ㅡMr. Wilson's assistant counts for a good deal in this mystery of the Red-headed League.

3. 영어 원문 다시 읽기뒷부분에 있는 영어 원문들을 처음부터 다시 읽어 본다. mp3 음원으로 듣고 다시 따라 읽기를 반복한다. 따라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말로 내뱉어야 우리 뇌가 기억을 더 잘한다고 한다. 이 책에서 다소 아쉬운 부분은 바로 뒷부분의 원문만 수록된 부분만이라도 한글 요약본을 수록하지 않았어도 좋았을 거란 생각을 해 본다. 영어 원문을 계속 읽어 뜻을 알아가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이 부분을 포스트잇으로 가리고 읽기를 시도해 보아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장의 온도 - 지극히 소소하지만 너무나도 따스한 이덕무의 위로
이덕무 지음, 한정주 엮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최고의 에세이스트이자 독서가이며 실학자인 이덕무의 글과 역사평론가이자 고전 연구가인 한정주씨의 번역과 해석이 담긴 글이다. 

<문장의 온도>에 비친 이덕무의 글은 왠지 그의 고뇌가 느껴진다. 
조선 시대 양반의 핏줄임에도 서자의 신분으로 인하여 미래에 대해 희망을 찾을 수 없는 이덕무의 고뇌와 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그의 노력을 느낄 수 있다. 

[선귤당농소]에서의 사람들이 '편안한 삶'이라고 말하는 것을 보고 우습다고 자조하는 듯한 이덕무의 글은 남들이 자신의 마음을 모른 채 쉽게 말하는 것에 대하여 서글픈 웃음을 짓는 것 같아 마음이 아려온다. 
또한 세상을 바꾸고 거역하고 싶어한 그의 마음은 이 잔인한 신분제도에 반기를 들고 싶어하던 그의 마음이 느껴져 이덕무의 고심과 절망이 얼마나 깊었는가를 보여준다. 

이런 현실 속에서 이덕무는 불평만 하는 대신 다양하고 폭넓은 지식으로 자신을 발전시킨다. 여러 사물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박물학에 박학다식하며 좁은 소견을 갖지 않기 위해 많이 읽고 배우고자 했던 그의 노력은 서자 신분에 자포자기할 수 있지만 자신을 다그치고 세워가려고 하는 이덕무의 의지가 아니였을까 생각된다. 

이덕무는 해답을 어린 아이에게서 찾았던 게 아닐까? 
어린 동생 종대의 꾸밈없는 모습과 해맑은 웃음소리에서 인간이 갖추어야 할 진정성을 보게 된 것 같다. 
나이가 들수록 혼탁해져가는 우리들이 아이들의 모습과 일상에서의 행복을 추구하고자 했던 이덕무의 글은 처음에는 쉽게 읽히지 않는다. 
하지만 곱씹고 곱씹을수록 문장의 의미가 다르게 느껴진다. 
그건 그의 글이 수많은 고뇌와 수련에서 쓰여진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좁고 편협된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넓은 배움과 독서의 길을 행했던 사람이었기에 현재까지도 사람들에게 울림을 줄 수 있는 글을 쓸 수 있었던 것 같다. 진정 글을 쓰는 사람은 끝없는 수련과 배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덕무를 통해 깨닫는다. 

동방삭은 세상을 조롱한 사람이다. 영균은 세상에 분개한 사람이다. 
그들의 고심은 모두 눈물겹다고 하겠다.
슬픔이 닥쳤을 때는 사방을 돌아봐도 막막할 뿐이다. 
다행히 나는 두 눈을 지니고 있어 조금이나마 글자를 알고 있으므로, 손에 한 권의 책을 든 채 마음을 달래고 있노라면 무너진 마음이 약간이라도 안정이 된다.
모름지기 벗이 없다고 한탄하지 말고 책과 더불어 어울리면 된다.
최하등의 사람은 가난을 부끄럽게 생각해 감추거나 숨기고 다른 사람들에게 가난을 호소하다가 가난에 짓눌려 끝내 가난의 노예가 되고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