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 Himalaya, where the wind dwell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는 영화를 만든건,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이고. 미친듯이 불어대는 바람때문에 통계상 정신병이 많이 발생하는 동네로의 '귀향'을 만든건 페도로 알모도바르였다. 그리고 히말라야에 바람을 주인공으로 찍은 이 영화의 감독은 전수일이다.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였던가. '검은 땅의 소녀와'도 보기는 했다. 절망 그 이상을 말해주지 않는 예술영화의 불편함. 유머없이 건조한 삶을 응시하게 만드는 잔인함. 세계 유수 영화제에서 그가 인정받는다는 것과 별개로, 탐미주의적 영상미학을 구현한다는 평가가 무색하게, 그의 영화는 몰입하기 쉽지 않았다. 적어도 내게는 그러하다.
제목외의 사전정보는 없었으면서, 당연히 다큐라고 생각했다. '히말라야' 그것 자체가 이미 하나의 거대한 서사인데, 다른 수식이나 장식이 필요있으랴. 그 땅에 대한 오래된 로망으로 망설임없이 애매했고, 아침부터 영화관을 찾았다. 관객은 달랑 세명. 혼자가 아니어서 다행이구나. 생면부지의 사람들일지언정, 말 한마디 나누지 않았을 지언정, 그 자리에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이 기뻤다.
친절한 대사로 자상하게 상황을 설명하지는 않는다. 그래도 우리는 주인공이 회사를 쫓겨난 기러기 아빠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무거운 트렁크를 셀파에게 맡기고도, 끝내 고산증으로 쓰러져 나귀등에 실려 가는 주인공 '최'는 어쩌다보니 구두를 신고 히말라야에 올랐을 따름이다.
장소가 장소이니만큼, 영상은 카메라만 올려놓으면, 명장면이 된다. 최민식은 그 위에 숟가락만 올려놓듯 그냥 서 있는걸로 충분했다. (물론 고산지대에서의 촬영이 쉽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만,) 내가 영화를 통해 견뎌야했던 그곳의 고요함과 평안에서 주인공 '최'는 오히려 거추장스러웠다. 죽은자를 위로하기 위해 바람에 흩날리는 천조각과 달그락소리를 내며 돌아가는 푸차레, 손에 피를 묻히고 난 후에야 양의 고기를 얻을 수 있는 정직한 살생, '라카(?)'를 마시며 이방인에게 노인들을 위한 일이 있냐고 묻는 할아버지들하며, 도르지의 생사여부와 상관없이 그의 부인과 뜨거운 밤을 보낸 인증된 아빠의 등장까지, 말로 설명되지 않은 상황들이 존재자체로 이야기가 되었다.
딱 한장면, 짧은 영어로 도르지의 아들과 나눴던 대화가 있기는 하다. 너무 갑작스러워서 제대로 기억해두지 못한게 아쉽지만, 저 산 너머 바람이 불어오는 곳, 그 곳에서 카르마를 닦는다고 했던가. 최가 히말라야를 오르는 내내, 바람이 불었다. 바람이 이끄는대로 흘러갔던 그가 만신창이가 되어서 돌아오고, 폐허가 된 한국 어느 골목에 버림받은 몰골로 꿈을 꾸고, 다시 도르지 아내의 보살핌으로 새로운 생을 얻게 될때까지 바람이 불어왔고, 바람이 불어갔다. 바람이 분다는데, 그래서 그냥 살아갈 따름인데, 왜 당신의 결론은 '희망'을 말해주지 않는다고 투정부려 무엇할것이냐.
반복된다. 그 꼬맹이가 불던 피리소리마냥, 미묘한 변화에 애써 귀기울여주지 않으면 지루하게 반복되는 일상이다. 한번도 가지 못했던 그 곳, 히말라야의 평화가 그립다.
--------------------------------------------------------------------------------------
그나저나, 죽어버린 그 네팔노동자는 그 좋은 땅 버리고 왜 이 험한 땅에 온것인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걸 감수하면서까지 필요한게 무엇인가. 영혼을 잃은 기러기 아빠나 몸을 잃은 이주노동자나 왜 인생의 덕목은 인내와 헌신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