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사냥꾼, 목동, 비평가>

 

 

 이 책은 독일의 철학자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고, 앞으로 추구할 방향과 그에 따른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해 철학적으로 때론 경제, 환경, 교육 등 다방면에 걸쳐 자신의 주장을 기술한 책이다. 무리인 줄 알지만 세 문장으로 간추려 보겠다.

 

1. 기술의 혁신, 자동화, 디지털화는 인간의 생업 노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것이다.

2. 그리하여 미래의 우리는 사냥꾼, 목동, 비평가가 되어야 한다(또는 될 수 있을 것이다).

3. 이를 위해서는 기본 소득의 도입, 개인 정보의 자기 결정권 보장, 디지털 기간 사업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일단 저자는 디지털화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아니 낙관적으로 만들려고 한다는 게 정확한 표현이다. 대부분 학자들이 미래의 노동환경은 지금과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는데 동의한다. 수많은 직업이 사라질 것이고 어떤 직업들은 유지되고 또 어떤 직업들은 새로 생겨날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변화의 핵심이 생업 노동 시간의 단축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먹고 살기 위한 노동 시간이 줄어든다는 말이다. 이러한 환경이 인간적인 유토피아를 만들기 위한 초석이라고 본다.

 

  이렇게 해서 인간의 시간은 재편된다. 직업인으로 사냥꾼, 목동, 비평가가 되는 것이 아니고, 그때그때 마음 내키는 대로 아침에는 사냥을 하고, 낮에는 가축을 몰고, 저녁 식사 후에는 비평을 한다. (중의적인 의미로 사냥은 생업 노동을, 목동은 주변인들의 돌봄을, 비평은 창의적인 활동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것이 인간의 진정한 삶이라는 것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삶의 충만함이란 생업 노동에 매몰되지 않고 자유롭고 한가한 시간에 스스로 취향과 자율성에 따라 자신의 욕구를 형상화할 때 이룰 수 있다. 지루하고 고되고 단조로운 생업 노동은 결코 삶의 의미를 가져다주지 않는다.

 

 이쯤에서 태클을 걸고 싶다. 노동의 본질 및 의미에 관한 것이다. 저자는 폴 라파르그나 오스카 와일드를 인용하여 생업 노동의 의미를 축소하고 비판하지만, 마르크스를 비롯해 많은 이들이 인간의 본질은 노동이며 노동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아 실현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둘 다 그럴듯하다. 관련된 책을 좀 더 읽고 생각을 정리해 봐야겠다.

 

 

 

           


폴 라파르그 <게으를 권리>

오스카 와일드 <사회주의에서의 인간의 영혼>

리차드 세넷 <뉴캐피털리즘>

토마스 바셰크 <노동에 대한 새로운 철학>

 

 

 저자가 노동에 대해 합의해야 할 가치 외에 현실적으로 국가나 정치에 가장 강력히 요구하는 조건인 기본 소득에 대해서도 좀 더 알아봐야겠다. 현재 여러 정치인의 입에서 오르내리는 핫한 아이템이 기본 소득인 만큼 이참에 공부하는 것도 좋을듯싶다. 참고로 책에서는 기본 소득의 재원을 금융 거래에 의한 과세로 확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최소 1,500유로 이상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말콤 토리 <왜 우리에겐 기본소득이 필요할까>

필리프 판 파레이스 <21세기 기본소득>

김종철 <기본소득은 틀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22598 2021-02-18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잊지말아야하는 것은, 자동화, 디지털화는 노동시장만 변화시는 것만 아니라, 우리의 여가활동을 포함한 전반적인 삶에 모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단순히 기술발전으로 인해서 노동시간만 단축되었다고 바라보는 것은 단편적인 생각인 것 같아요. 그리고 산술적인 잉여시간이 남는다고 해도, 그 시간들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선택과 결정도 한 흐름을 따르게 될 거라고 이야기 할 수 없을 것 같은데요.... 저는 이 분야에 대해서 아는 게 없는 사람이라 그냥 머리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적어봤어요.

noomy 2021-02-18 17:41   좋아요 0 | URL
맞아요. 제가 보기에도 좀 무리가 있는 주장인데 어쨌든 생각할 거리를 줘서 괜찮게 읽었어요~ 노동에 대한 생각도 좀 더 정리할수도 있었고요. 관련 책을 많이 읽어봐야 할듯요. 늘 애정어린 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