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 - 원형 심리학으로 분석하고 이야기로 치유하는 여성의 심리
클라리사 에스테스 지음, 손영미 옮김 / 이루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의식 탐구는 이론과 경험을 두루 적용하면서 나오는,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가 주는 깊은 울림과 그동안 이해하지 못하던 심리현상에 대한 참신한 설명이 묘미라고 생각된다.

융심리학은 의식영역에서 설명하고 해결하지 못하던 심리현상을 주로 무의식 특유의 상징언어 분석을 통하여 이해를 높이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무의식에 각인된 고대 원형 이미지는 인간무의식에 깊은 영향을 끼친다고 보는데, 저자는 여성의 무의식속 다양한 원형들 중 늑대와 관련된 원형들이 서양문명 속에서 자취를 감췄다고 보고, 자신의 의견을 풀어낸다.

성급할 수 있지만, 짧게 얘기하면, 저자의 글은 그렇게 인상적이지 않다. 이 글의 덕목은 아마도 늑대 원형이미지를 강조했다는 점뿐인 것 같다. 전문 분석심리학자들이 보여주는 풍부한 경험과 깊은 이론이해에서 오는 차분한 태도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저자의 말을 두둔하더라도, 원형이 의식영역으로까지 부각되는 과정이, 심리영역별로 지형도를 그리듯이, 엄밀하면서 방향을 잘 잡은 성과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여성들의 무의식 탐구는, 남성들의 무의식 탐구와는 결을 달리 하며, 오히려 무의식을 다루는 방식은 남성의 것보다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런 면도 좀처럼 마주치기 어렵다. 여성들이 야성의 힘을 되찾자는 저자의 바램은 빈번하게 나오지만, 그 바램을 수긍할 배경설명은 만족스럽지 않다. 내게는 아니무스에 기인한 여성특유의 감정적인 글쓰기로 보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으로 읽는 뇌과학의 모든 것 - 뇌과학 전문가 박문호 박사의 통합 뇌과학 특강
박문호 지음 / 휴머니스트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과학책을 보면서 저자들이 해부학 지식을 바탕으로 자기 주장을 내세울 때, 그 주장의 설득력을 눈으로 확인하고 참조할 수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전통문화도

구중회 선생이 하시는 일

중국 전통 문화도

영국이 아닌 유럽 문화도 모두 모두 갖고 있는 적당한 이미지와는 다르다.

현재와 과거를 가르는 방식으로 이해하는 틀은, 보수와 진보라는 틀과도 다르고, 한때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역사심리(각 시대의 시대정신 정도), 모두 모두 다르고, 이는 또 아카데믹 공동체에서 논증하는 이유를 살피는 것과도 통한다.

지금까지 다른 저자가 탐구했던 방식을 확인하는 것

 

김상섭 선생님이 하시는 중국주역학의 깊이와 다양성을 소개하는 일처럼, 인도불교와는 전혀 다른 중국불교를 소개하는 일은 단순한 역사적 변천을 수용하기보다는 그 생동감과 중국스러움을 전달할 수 있는 몇몇 흐름이 있을 것이다.

과거를 다루는 방식의 1순위는 남아 있는 문헌연구다. 어느 분야건 중국과거를 다룰 때는,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남아 있는 문헌의 전모를 이해하는 일이 우선일 테다.  

 

중국 역사

중국 경전 흐름(번역

중국 선종의 탄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로운”무의식 - 정신분석에서 뇌과학으로
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지음, 김명남 옮김 / 까치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름만 무의식이고, 실제로는 기능 중심의 뇌 이야기. 뇌에관한 책을 좀 봤다면, 별다른 시사점없는 개성없는 무익무해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도유럽인 고향에 대한 연구에는 깊은 역사가 있다. 성서가 모든 것의 기준이었을 때는, 성서기술에 맞춰 인도유럽인의 기원을 탐구하려는 시도들이 있었고, 비교언어학이 유행을 할때면 어휘의 유사함을 추적하는 가설이 주류를 이뤘다. 그리고 고고학으로 접근한 유적을 통한 인도유럽인 이동을 탐구하려는 시도 중 하나가 쿠르간 유목민의 이동에 주목한 방식이다.

 

 

 

 

 

 

 

 

 

 

 

 

 '인도유럽인, 세상을 바꾼 쿠르간유목민'은 인도유럽인 고향문제에만 초점을 맞춘 책은 아니다. 훨씬 더 폭넓게 인도유럽인 기원부터 오늘날 인도유럽인 분포에 이르는 통시적 과정을 모두 주목한 책이다. 그러니까 인도유럽인 기원문제는 첫부분을 장식하고 이내 다음 시대로 넘어가고 만다. 책에 실린 분량만큼, 자세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는 듯 보인다. 쿠르간 유목민에 초점을 맞춘 인도유럽인 고향문제기술은 가능한 여러 가설 중 하나로, 고고학연구를 통한 연구결과 중 일부분일 따름이다. 신석기, 청동기 시대 유럽과 소아시아, 중앙아시아, 인도아대륙 등 여러 지역의 인도유럽인 유적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제시하지 못하는 거 같다. 아무래도 저자가 책을 쓴 의도가 유럽대륙에서 인도유럽인의 유입과 변화를 설명하려다 보니 그렇게 된거 같다.

인도유럽인 기원문제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들이 잘 정리된 책으로 J P Mallory의 책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