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우스 로마사 1 - 1000년 로마의 시작 리비우스 로마사 1
티투스 리비우스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의 고대 역사를 다룬다면 크게 두 나라의 역사라고 생각한다.

하나는 그리스, 다른 하나는 로마이다.
그리스는 그 역사가 로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지 않으나 그 기간에 이루었던 업적들이 
찬란하기에후세에 많이 거론된다.
후자인 로마는 천년이라는 엄청난 시간을 그리고 그 시간만큼 엄청난 기록들을 써왔기에 사람들에게 기억된다. 물론 어디에 더 손을 들어주겠노라 한다면 로마라고 생각한다. 
전 지구의 역사에서 이만큼 큰 영향력을 가졌던 나라가 있었겠느냐...라는 나의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로마의 역사에 관해서는 무수히 많은 서적들이 있다.
물론 우리나라에 정식 출간된 책들도 있겠으나 그 책을 저술한 사람을 본다면 
이 책은 상당히 이목이 쏠리게 된다.
바로 '티투스 리비우스'이기 때문이다.

리비우스는 로마시대의 인물이다. 
모든 경우가 그렇지 않겠으나 후세인물이 역사를 기록하는 책보다는 당대의 인물이 기록하는 역사책이 더 중요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와 비슷한 예가 바로 삼국지의 '진수'이다. 
(후세의 다른 삼국지들이 존재하나 정사라는 단어가 붙는 삼국지는 그 시대에 살았던 진수의 삼국지뿐이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리비우스 로마사는 그 어떤 로마서보다 사실적이고 생생하게 기록되었을 것이라 생각하면서 그 양이 무려 142권에 달한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출 수 없다.
그 모든 기록이 고스란히 지금도 남았더라면 더 가치가 있겠으나 현재 35권까지 밖에 전해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실망감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말이다.

1권은 트로이의 함락 이후 아이네아스, 안테노르의 이야기에서 출발한다. 이들이 여러 과정을 거쳐 어떤 곳에서 정착하게 되고 그 후손인 로마의 창시자 로물루스, 레무스가 탄생하는 이야기, 그리고 로마가 왕정을 거쳐 공화정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역사가 담겨 있다.
따지고 본다면 로마의 건국 이야기라고 할 수 있겠다.

로마의 역사에 관심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그것은 빙산의 일각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관심 있던 분야는 제정시대의 로마였기 때문인데 그 이전의 로마가 이렇게 많은 이야기가 있었다는 사실에 조금 어려웠다.
독서와 동시에 인터넷으로 로마의 역사를 뒤적거렸다. 나의 얇디얇은 지식의 폭의 한계를 느끼면서 말이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독서의 기간이 길어졌는데 덕분에 고대 로마의 역사에 대하여
어느 정도 길잡이를 만들어 놓을 수 있었다.

로마의 역사에 대해서는 초보자이기에 이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왈가왈부할 수가 없다.
단지 책을 읽는 독서가의 한 명으로서 본다면 꽤나 내용이 재미있다.
어느 나라의 역사든 건국신화는 재밌는 법이지만 이 책은 그것을 잘 표현했다고 생각한다.
로마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후회하지 않을 책이라는 생각이다.

우리 집에는 시오노 나나미, 콜린 메컬로의 로마 관련 서적이 컬렉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총 4권으로 출간 계획이 있는 이 책도 추후에 컬렉션으로 
우리 집의 책장 한 켠을 차지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