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야스, 에도를 세우다
가도이 요시노부 지음, 임경화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토 8주로 가시오!'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 통일을 이룩하고 이에야스에게 내린 명이다.
천하인에 오른 히데요시가 각 지역에 군웅으로 자리 잡고 있던 다이묘들을 견제하기 위해 전봉정책을 세웠다. 그들의 기반을 흔들기 위해 근거지가 되었던 곳들에서 강제 이주 시킨 것이다.

본래 미카와 지역의 성주였던 이에야스는 호조 가문이 멸망한 자리를 히데요시에게 하사받았다.
그것은 눈엣가시인 이에야스의 날개를 꺾으려는 히데요시의 의도가 담겨 있었다.
그렇게 이에야스는 에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 책의 이야기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우리나라에 출판된 일본 역사 소설들 중에는 대부분의 내용이 비슷하다.
소위 말하는 일본의 전국시대, 그중에 3대장인 오다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들의 일대기를 다룬 책들이 그것이다. 
그것도 그런 것이 일본 역사에 대한 반감이 있고 대중들이 전쟁사, 인물사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많기 때문이다. 나 역시 그런 사람들 중 한 명이다. 
때문에 전국시대를 보는 시각이 상당히 일 편 적이다.
역사의 주인공이 되었던 인물들의 시점에서만 살펴보게 된다.

이 책은 그런 나에게 신선하게 다가온 책이다.
먼저 전쟁과 인물사를 다루지 않는다. 
이에야스가 에도로 거점을 옮긴 후 그가 어떻게 에도를 변화시키는지 그것에 중점을 맞춘 책이다.
그간 봐왔던 전국시대와는 다른 시선에서 전국시대를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 책의 주인공은 이에야스가 아니라는 것이다.
제목에서 보면 이에야스가 중점이 될 것 같지만 이 책의 주인공은 이에야스가 아닌
그의 명에 의해 에도를 새롭게 바꾸어 가는 인물들이 주인공이다.
물론 이에야스의 비중이 없는 것은 아니나 엄연히 이 책의 주인공은 그 인물들이다.

책의 내용은 다섯 꼭지로 나누어진다.
치수(治水), 화폐, 식수, 석벽, 천수각 이렇게 된다.
각 꼭지에는 이에야스 또는 그의 가신이 기용한 인물들이 주인공이 되어 이야기를 꾸며나간다.
그들은 각각 다른 분야에서 일을 하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목표의식'이라는 것이다.
자신들에게 주어지는 일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을 다하려 한다. 그리고 결말에는 그 목적을 달성한다.
그렇게 그들은 에도의 역사에 녹아들어 갔던 것이다.

이에야스가 다시 한번 천하를 통일한 후 벌써 500여 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의 거점인 에도는 도쿄라는 이름으로 현 일본의 수도가 되었다.

우리가 그리고 미래가 기억하는 에도는 누구의 작품이라고 할 것인가?
그 물음의 답은 대다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기억했으면 한다.
그 '도쿠가와 이에야스'라는 이름 속에는 에도를 보다 살기 좋게 보다 발전할 수 있게 
노력했던 역사의 기록되지 않은 수많은 인물들의 노력과 결실이 있었다는 것을 말이다.

역사는 승자의 역사가 아니라 모두의 역사인 것이다!

"천수각의 외벽. 왜 흰색으로 하시는 건지."
.
.
"흰색은 죽음의 색..."
"나쁘다는 말이 아니다. 나는 그것을 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지금의 내가 있는 건 무수히 죽은 사람들 덕분이니까"
.
.
"그렇게 첩첩이 쌓인 시체 위에 내가 있고 너도 있는 것이다.
히데타다, 이 천수각은 그들의 혼령을 모시는 새하얀 묘석이니라,
정성을 다하여라" - 368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