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의 종말, 그 너머의 세계
사카키바라 에이스케.미즈노 가즈오 지음, 김정연 옮김 / 테이크원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인류 역사가 진행되면서 수 많은 정치, 경제체계 등이 제시되어 왔습니다.

생산력의 증가 및 잉여 생산물로 인해 등장하게 된 계급제도, 20세기 이후 실질적인 계급이 사라지면서 대두되었던 사회주의 및 자본주의

에 이르기까지 그 흐름은 가히 대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많은 정치 체계 중 가장 완벽에 가깝다고 일컬어지는 것이 자본주의 입니다.

모든 재화가 가격이 형성되어 있고 사유재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그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그러나 '자본'이라는 것에 중점을 두다 보니

많은 사회적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빈부의 격차'입니다.

빈부의 격차로 인하여 계층간의 불균형이 형성되고 각종 갈등이 발생하는 등 현재의 자본주의 체계에 많은 비판이 존재하고 있으나

많은 전문가들이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정치 체계를 탄생시키지 못함으로써 자본주의는 마치 필요악 처럼 자리잡고 있습니다.


4차산업혁명 등의 이유로 기존의 자본주의에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하면서 이 책은 그 변화의 원인과

이유를 다룬 책이라 하겠습니다. 

책은 크게 3부로 나누어지는데 저자인 사키카바라 에이스케, 미즈노 가즈오가 각각 1부씩 맡아서 과거의 정치와 경제 그리고 지금의 자본주의에 대해서 의견을 제시하고 3부에서는 이들의 의견에 대해 수렴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내용을 살펴본다면 자본 또는 화폐에 의한 성장이 과거에는 고성장으로 이루어져 그것이 완벽한 체계라고 생각해 왔었는데

점차 저성장으로 들어서고 자본의 축척에 따른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면서 자본주의의 문제점이 심화되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이것을 대안할 수 있는 새로운 체계를 찾아본다는 것인데...


사실상 아직까지는 자본주의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 시스템이 없는 실정입니다. 단순히 하나의 지역, 국가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죠.

이 책은 그러한 점에서 솔루션을 제시한 책은 아니지만 지금의 자본주의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책인 것 같습니다.


변화의 흐름이 점점 빨라지는 지금의 시대에서 과연 자본주의는 살아남을 수 있을지 아니면 변화에 순응하여 다른 대안이 나올 수 있을지

기대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