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H 더 패스 : 세상을 바라보는 혁신적 생각 - 하버드의 미래 지성을 사로잡은 동양철학의 위대한 가르침
마이클 푸엣.크리스틴 그로스 로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윤리 수업을 들으면 항상 따분하게 생각했습니다. 

옛 현자들의 목표로 추구했던 가치들은 지금 21세기에는 전혀 다른 가치라고, 그들이 살았던 세상과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시점의 세상은완전히 다른 것이라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연장선이 되어 철학, 인문학 등등도 기피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나이가 조금 더 들고 사회에 나오게 되면서 학교라는 특수한 집단에서 형성되었던 인간관계, 가치관등이 조금씩 달라지게 되고 현실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조금씩 늘어가면서 점점 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비단 저만의 경험이 아닐 것입니다.

현실 속에서 겪어야만 했던 좌절감, 열등감등 부정적인 감정들이 물리적으로는 해결할 수 없기에 정신적으로나마 위안을 받고자 이런 형이상학적 학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죠.


다양한 인문학 책을 읽어봤지만 이 책은 조금 특이한 책이였습니다.

대개 인문학에 관한 책들은 그 분야의 전문가들 특히 동양고전은 동양인이, 서양고전은 서양인이라는 인식이 강했는데 (알게 모르게 이런점이 상당히 보수적입니다.) 이 책은 서양인이 바라본 동양고전을 다룬 책이기 때문이였습니다.

아무리 세계화가 되고 지구촌이 되었으나 그들만이 가진 성장배경 오랜 시간동안 가져왔었던 의식과 관습이 있었을 것인데 어떻게 서양인이 동양고전에 관한 책을 쓰게 되었는지 무척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지적호기심을 가지고 책을 읽어보았는데 읽으면서 많은 부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자가 확실히 동양고전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이 책이 추구하는 목표는 고대 동양고전의 사상을 통해서 현재 나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것입니다. 

모든 인문고전들을 읽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기도 하지요.


책을 읽으면서 공자, 맹자 등등 친숙한 인물들의 이야기와 사상이 나옵니다. 

이미 많은 인문학 책을 통해 알고 있었던 내용인지라 익숙한 책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고전을 소개하는 내용보다는 중국 고대 사상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오해를 다룬 내용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고대 중국 사상이 씌여진 시대는 계급사회입니다. 당시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존재했었던 시대지요.

대개 사람들은 이 시대와 현재를 비교했을때 현재는 자유로우며 과거 시대는 폐쇄적인 시대라 생각합니다. 때문에 그 시대에 등장했던 사상은 지금과는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윤리과목을 싫어했던 저의 생각이기도 합니다.)

허나 저자는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라 말합니다.

현재 시대도 과거 그 시대에 못지않은 사회라 주장합니다. 자본에 따라 정해지는 신분, 능력의 한계등이 그 시대와 다를 것이 없다고 말이죠. 때문에 그 때의 사상은 지금 우리에게 알맞은 가르침을 줄 것이라 말합니다. 


책을 끝까지 읽으면서 느꼈던 것은 책의 제목이였습니다. 

왜 'THE WAY' 가 아닌 "THE PATH'였던 것일까? 말이죠.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다면 지금의 저보다는 보다 나은 저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