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의 피크닉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5년 9월
평점 :
이 책의 저자는 온다 리쿠이다. 나는 이 저자의 다른 책을 읽어 본 적이 있다. 빛의 제국 시리즈인데 이 저자는 특이한 느낌을 주는 책을 쓴다고 생각했다.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일본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와는 달리 반전의 매력보다는 잔잔하게 밑에서부터 올라오는 감동을 느끼게 해준다는 것과 그런 감동에 한 번 빠지게 되면 다음 작품에서는 그와 또 다른 잔잔한 감동을 느끼게 해준다는 것... 그래서 온다 리쿠의 매력에 빠지는게 아닌가 싶다.
지금 소개하는 책은 온다 리쿠의 장르 중에 청춘소설에 해당하는 책이다.
바로 밤의 피크닉이다.
개인적으로 청춘소설을 그닥 좋아하지 않는다. 내 나이가 이미 청춘소설을 느끼기에는 사회의 물이 들어서일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이 책은 참으로 오랜만에 청춘의 느낌을 또는 사춘기의 느낌을 살려주었던 책이다. 앞으로 이런 청춘류를 다시 읽을 지는 모르겠으나 이 책은 꽤 오래 기억에 남을 책이라 생각한다.
책의 줄거리는 이렇다.
일본의 한 고등학교인 북고 (北高)에는 특이한 행사가 있다. 학생들이 수학여행을 가는 것이 아닌 1년에 한 번 전학년이 모여서 하루동안 행군을 한다. 이른바 '보행제'라는 것이다.
대략 거리는 40Km 정도 시작은 단체보행으로 각 반에 소속되어 걷게 되나 돌아올때는 자유보행으로 자신이 원하는 사람과 같이 올 수 있다.
고등학교 3학년인 주인공 니시와키 도오루와 고다 다카코는 이복 남매다. 그러나 그들은 그것을 부정할 수 밖에 없다. 사회에 대한 편견,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배신감 등 복잡한 감정들이 얽혀 그것을 자신의 친구들에게 말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에 그 둘은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면서 밀쳐내려 하는 어쩔 수 없는 학교 생활을 반복한다.
그러나 보행제에서는 그것을 벗어보려 한다. 고등학교 생활의 마지막... 지금이 아니면 다시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그들을 붙잡는다.
시작되는 보행제...같은 반이기에 단체보행에서는 서로가 같은 그룹에서 시작하지만 그 둘은 서로의 존재를 의식할 뿐 말조차 걸 수 없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밤이 찾아오고... 밤은 이들에게 어떤 감정을 선사하게 되고 이윽고 아침이 밝아온다.
이 책의 큰 줄거리는 이렇다. 그러나 그 안에 다양한 에피소드들이 등장한다. 주인공들을 중심으로 그들뿐만 아니라 친구들의 이야기까지 담아낸다. 사춘기의 청춘들이기에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사건들이 펼쳐지며 보행제가 진행된다. 그들은 걸으며 때로는 같이 때로는 따로 만난다.
비단 이것은 보행제에 해당하는 일은 아니다. 단체 견학이라든지 여행에서 우리들은 같이 걷다가도 앞에서 또는 뒤에서 친구들을 만나면 이내 다른 화제로 이야기로 펼치곤 한다. 그리고 그 만남이 헤어질 쯤 또다른 무리들과 만나기도 한다.
여기의 보행제도 마찬가지다. 주인공 도오루와 다카코는 다양한 인물들을 만나며 그들의 사건에 개입하게 된다. 그러다가 다른 화제로 이야기를 돌린다.
여기서 저자인 온다리쿠의 청춘류의 대한 느낌을 받는다. 그 사람은 고등학교 청춘들이 가질 수 있는 일상의 고민들을 잘 풀어냈다고 말이다.
보행제는 다양한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큰 줄기인 도오루와 다카코의 이복남매의 갈등과 화해는 계속 진행된다.
마치 중심이 되는 큰 에피소드에 자잘한 에피소드들이 연결되어 있는 나뭇가지 같은 형식으로 말이다.
그렇게 밤이 찾아오면 이들의 감정은 한껏 고조에 달한다. 그렇다. 밤은 사람을 관대하게 만든다. 나도 그렇고 다른 사람들도 많이 겪어봤을 것이다. 밤이 어떤 낌세도 없이 우리들의 마음속에 들어와 우리의 감정을 흔들어 놓았던 일들을 말이다. ( 때로는 오글거리기도 하지만 말이다.)
이 책은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 보행제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끝나는 다음날까지... 제한된 시간속에서 주인공들은 어떻게든 그들의 고민을 해결해 나가려 한다. '보행제가 끝나고 있어.. 그 전에 말을 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말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우리는 더욱 주인공들에게 이입하게 되는 것이다.
보행제의 시작은 학교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돌아오는 곳도 학교다.
이것은 주인공들과 친구들이 보행제 시작 전 갈등을 가지고 있었고 보행제가 끝날 시점에 갈등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심적 변화는 있으나 현실적인 변화는 없다는 것이다.
즉 그들이 출발한 곳도 도착할 곳도 결국 현실이라는 말이다. 그들은 청춘이지만 고3이라는 현실을 잊어서는 안되는 사람들인 것이다.
그렇기에 주인공들과 지인들은 졸업이라는 표현을 쓴다. 보행제가 끝나고 그들의 관계가 현실적으로 개선되는 것이 아닌 졸업을 하고 나서 현실적인 관계가 발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보행제가 끝나는 시점에서 마무리 된다. 즉 저자는 청춘들의 고민과 갈등은 제한되어 있는 청춘이라는 시간내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닐까? 보행제라는 제한된 시간은 단순히 걷기 축제가 아닌 우리들의 청춘이라는 시간을 말하려는 것은 아닐까?
여기서 사람들은 반박할 수 있다. 청춘은 시작도 끝도 없는 것이라고 말이다. 그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말이다. 글쎄.. 그것은 맞는 말이나 여기서 말하는 청춘은 현실의 청춘이 아닌 그 시간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의 청춘이 아닐까 한다
책을 덮고 나서 나의 청춘은 어땠을지 생각해본다. 이런말은 우습지만 나의 청춘도 보행제와 같이 제한된 시간이 있었을 것이다. 그 보행제의 시간내에서 풀었어야만 했던 일련의 갈등과 사건들이 말이다.
다시금 생각해보면 그때도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감정에 충실했던 그때로 말이다.
나의 청춘을 다시 생각해봤던 밤의 피크닉 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