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500개 키워드로 익히는 역사상식
휴먼카인드 역사문화연구소 지음 / 휴먼카인드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 선생께서 하신 말이다. 당시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의 역사와 정신을 잊지 말고 바로 세우고자 하신 것이다. 그때는 이 말의 의미가 무척이나 강하게 느껴졌을 것이다. 실제로 나라를 잃은 설움을 겪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2014년 현재... 우리는 또 다시 이 말을 꺼내고 있다. 광복 이후 다시는 안 들었으면 했던 이 말이 조금씩 들려오면서 어느새 대한민국 전역에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일제가 점령하던 시대는 지났다. 우리를 억압하고 굴복시키려 하는 외압이 전혀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이 들려온다는 것은 우리 스스로에게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로 통탄할 일이다. 교육과정에서 역사가 조금씩 비중이 낮아지고 올바른 역사를 배워야 할 어린 학생들은 역사를 그저 구닥다리 외부과목으로만 여길뿐이다. 국,영,수 중심의 교육만을 배우는 것이다. 이것은 물론 아이들의 잘못이 아닌 우리 어른들의 잘못이다. 그렇기에 부끄럽고 미안하게 생각한다. 

또한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왜곡된 역사인식을 가지는 각종 모임과 사이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변질된 인터넷 문화가 역사를 만나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우리는 단재 신채호 선생의 말씀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한다. 역사는 우리의 뿌리이기 때문이다. 역사를 알고 배워야만 과거와 미래를 연결할 수 있으며 현재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역사의 기초를 배우는데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책 제목도 신채호 선생의 말씀을 그대로 딴 책이다. 역사에 대하여 강한 자부심과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제목이다.

 

책의 두께가 상당하여 꽤 많은 내용을 수록했을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구성은 매우 심플했다. 500가지 되는 역사적 사건 또는 키워드를 하나씩 집어놓고 이것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하는 구성이다.

솔직히 꽤나 어려운 책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쉽게 되어있어 역사에 대해서 기초적인 부분을 배울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쉬운 점은 구성이 심플하다는 것인데 이런 구성으로 했다면은 굳이 이렇게 두껍게 만들어 왜 소장하기 어려운 형식을 취했을까? 정도라 하겠다. 이런 구성은 포켓북 형식처럼 조금 작게 만들어 휴대하기 편하게 했더라면 더욱 소장가치가 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앞서 말했지만 이 책은 역사 공부에 있어 쉽게 설명되어 있어 청소년들이나 역사 공부를 하는 수험생들에게 좋은 책일 것 같다. 

비단 그들뿐만 아니라 역사 상식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누구나라도 이 책을 통해서 기초적인 역사를 배울 수 있을 듯 하다. 

이렇게 시작하여 역사를 배워나간다면 책의 제목처럼, 신채호 선생의 말씀처럼 되지 않는 우리 민족에게는 밝은 미래가 있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