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인문학 - 우리 시대 청춘을 위한 진실한 대답
정지우 지음 / 이경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청춘 그 뜨거운 단어!

사람들은 흔히 인생에서 가장 푸르른 시절을 청춘이라 부른다. 그것은 아름답고 소중한 시간이다. 그렇기에 청춘을 넘긴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자신의 그 시절을 되돌아본다. 그리고 그 시절을 그리워하고 다시 돌아가고 싶어한다.

인생의 시기에서 청춘은 어느 시기일까.. 20대 시기를 청춘이라 생각한다. 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고 어떠한 장애물도 넘을 수 있을 것 같고 황금빛 미래가 펼쳐지기를 기대하는 시기.

 

현실 속의 청춘

그러나 현실을 그렇지 못하다. 경제난 속에 취업조차 힘들어지면서 우리의 청춘세대들은 자신의 이상과 꿈을 좇기보다는 경쟁이라는 이 사회의 틀 속에 갇혀 살아간다. 각종 스펙쌓기, 토익, 토플 등.. 청춘과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들이 청춘들을 지배하고 이끌어나간다.

'청춘 인문학'은 이런 청춘들의 실태를 살펴보고 과연 진정한 청춘은 무엇인지를 우리에게 알리는 책이다. 인문학이라는 요소를 결합하여 청춘의 진정한 의미를 찾는다는 것이 이 책이 주제이다. 인문학이라는 요소가 자칫 독자들을 까다롭게 만들 수 있다. 인문학이 갖는 이미지가 고리타분하고 지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 역시 그런 점을 염두해 두었는지 전반적인 책의 내용이 어렵지 않도록 구성했다. 사회 문제와 인문학을 적절히 접목시켜 독자들의 관심을 이끈다.

전반적으로 이 책은 청춘예찬론적인 내용은 아니다. 청춘의 장점보다는 청춘세대들의 실태와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 사회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시중에서 흔히 보는 청춘들의 가슴 뜨거운 이야기는 이 책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에 더 진실되게 다가오는 것인지도 모른다. 청춘의 이상보다는 현실을 볼 수 있는 책이기 때문이다.

 

청춘에 대한 진실된 내용 그러나..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일단 책의 디자인이다. 목차, 책의 내용은 어느 책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구성이다. 이 책 역시 마찬가지이다. 때문에 책의 차별성은 본문의 구성디자인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마이너스이다. 딱딱한 디자인은 마치 사회학 전공서적 혹은 논문집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내용이 쉽게 구성되었다고 하나 디자인에서 독자의 관심을 끌기에는 힘들다.

또한 전체적인 분위기면에서 너무 비판적인 느낌을 받는다. 청춘들을 위해 긍정적인 메세지를 부각시켰더라면 청춘들에게 보다 긍정의 마인드를 심어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나 역시 이 책에서 말하는 청춘세대들 중 한 명이다. 또한 이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청춘의 이상을 좇기보다는 현실에 눈을 돌리며 살아가고 있다.

과거 청춘들세대들에게는 지금의 우리들에게는 없었던 청춘의 낭만이 있었을 것이다. 그들의 삶, 행동 하나가 청춘을 담아냈을 것이다.

그 시대로 돌아가지 못한다는 실망감이 들기는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청춘에 대해서 다시금 돌아 볼 수 있어 의미 깊은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