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중을 유혹한 학자 60인 - 대중과 소통하는 '캠퍼스의 글쟁이들'을 만나다
박종현 지음 / 컬처그라퍼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매체의 발달과 사람들의 지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대중은 좀 더 높은 수준의 지식을 갈망해 왔다. 이전의 케케묵은 고(古)지식들은 대중들에게 외면당하기 시작했고 신(新)지식들이 대중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사회의 빠른 변화가 지식, 인문세계에 적용이 되면서 그 변화 속도는 더욱 빨라지기 시작했고 수를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정보들이 쏟아져 나오며 사회는 정보포화상태에 다다르게 된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넘쳐나는 지식과 정보, 시시각각 변하는 대중의 기호.. 복잡해진 사회 현실 속에 올바르게 발전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대중을 유혹한 학자 60인'은 이런 상황에 놓여있는 대중들에게 각 분야의 전문가라 할 수 있는 학자들의 의견을 들어 보다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해주는 책이다. 7가지의 주제에 걸쳐 사회현상, 문화,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자들의 의견을 인터뷰 방식으로 전개한 책이라 할 수 있다. 흔히 생각하는 학자는 고리타분하고 책에만 파묻혀 살 것 같은 이미지였지만 이 책 속에 존재하는 학자들은 누구보다 앞서서 사회 현상을 바라보고 개선해야 될 점을 찾는 능동적 인물들이라 할 수 있겠다. 책 속에는 다양한 학자들이 소개되는데 우리에게 잘 알려진 정운찬 전 국무총리나 안철수 교수에서 부터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까지 고루 등장한다. 학자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하면서 우리나라가 처해있는 상황,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개선책을 제시한다. 개선책이라는 것은 정책적으로 바뀌어야 할 정도로 큰 것부터 사회속에서 개인의 인식의 변화까지 다양하게 제시한다.
이들이 바라보는 대한민국은 물질적으로 풍요롭고 넉넉해졌지만 정신적, 예의적인 면에서는 크게 나아지지 못하였기에 둘 사이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이는 나라와 국민과의 소통에서 부터 시작해야 될 것이라는 것이다.
전반적인 책의 구성은 깔끔하다. 60인이라는 많은 수의 학자들이 인터뷰를 했음에도 그 구성에 있어 복잡하거나 어색한 면은 없다. 인터뷰이들의 사진까지 실려 있어 독자로 하여금 인터뷰이들의 이해를 도와준다.
또한 우리나라가 위치해 있는 각종 문화, 사회현상에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 있어 독자들에게 폭 넓은 정보를 제공한다. 많은 정보와 지식을 요구하는
독자들의 갈증을 풀어주는 것이다. 독자들에게는 안성맞춤 책이라 할 수 있겠다. 인터뷰이들의 집필세계와 갖가지 스토리가 담겨있어 이들의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책 속에 등장하는 학자들은 제각기 다른 분야에서 저명있는 인물들이기에 이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것은 어려운 일일 것이다. 이렇게 책 한권을 통해서 만날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메리트라 할 수 있겠다. 다다익선이라는 말이 딱 어울리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