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분도둑 - 당신의 기분을 엉망으로 만드는 기분도둑을 경계하라!
크리스티안 퓌트예르 & 우베 슈니르다 지음, 박정미 옮김 / 좋은생각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세상을 살아가면서 다양한 사건, 업무, 학업 등으로 인해 기분이 상할 때가 있다. 자신감을 잃고 무기력해지며 심할 경우 타인에게까지 피해를 주기도 한다. 각종 매체에서는 긍정적 마인드가 정신건강 나아가 육체건강에도 좋다고 말한다. 우리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마인드컨트롤이라는 것이 그리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 왜 기분이 나빠지는 것일까?' , '내 마음인데.. 왜 마음대로 추스리지 못할까?'.. 바로 기분도둑 때문이다.
푸념도깨비, 불신 덩어리, 똑똑한 척하는 밉상, 조바심 바이러스, 생색만 내는 떠버리, 디지털 몬스터, 타성의 노예 총 7가지로 이루어진 기분도둑은 우리가 흔히 기분이 상하게 만드는 습관이나 행동의 요소들을 의인화 하여 표현한 것이다.
각각의 기분도둑들은 사람들의 마음을 현혹하여 자신과 타인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책 '기분도둑'은 이런 도둑들로부터 마음이 상하거나 빼앗기지 않는 방어법에 대해서 알려주는 책이다.
책 전체를 본다면 기분도둑들의 행태를 파악하여 이에 관한 대처법을 설명하고 있지만 제사보다 젯밥에 더 관심이 간다고 해야 할까?...
기분도둑들에 관한 것보다는 처음 부분의 행복의 정의에 관한 부분이 더 눈길을 끌었다.
행복을 세가지의 개념론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권의주의, 소비주의적 행복론은 여타 행복을 다루는 책들에도 비슷하게 소개되고 있기 때문에 잘 알고 있었지만 마지막 '별하늘 행복론'은 신선했다.
행복이라는 것이 마치 별하늘을 보는 거와 같아서 밤이 되면 언제든지 별하늘을 볼 수 있지만 날씨나 개인적여건 등의 훼방으로 인해 볼 수 없게 된다는 것, 그리고 하늘을 보기위해 고개를 위로 쳐들어야하는 노력을 해야된다는 것 즉 행복은 항상 존재하지만 방해요소가 있어 이를 이겨내야 하고 하늘을 보기위해 고개를 쳐드는 것처럼 노력을 기울여야 온다는 것이다.
행복을 추구하는데는 100%의 대처법이 없는 듯하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대처법 즉 도둑들로부터 나의 행복을 지키기 위한 대처법에도 아쉬움이 남는다.
기분도둑들에게는 나름대로의 대처법이 존재하는데 그 중 공통되는 대처법이 그러한 기분도둑을 가진자를 상대하지 말고 회피를 하라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기분이 나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인데 내가 회피함으로 인해 제 3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회피법에 쉽게 공감이 가지 않는다.
두 번째는 상대하는 기분도둑의 증상보다 한 단계위의 증상을 보임으로써 그 사람을 당황케 혹은 그 사람과 같은 편이라는 인식을 주어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는데 그러한 충격요법이 가능할 지가 의문이다.
앞서 말했지만 완벽한 해결방법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위의 두 가지의 대처법은 개인적으로 미흡하다고 느끼기에 아쉬운 부분이였다.
행복의 방해요소들을 도둑으로 의인화하여 개념에 관해 좀더 사람들이 쉽고 가깝게 접근할 수 있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우리의 행복이 그리 어렵거나 힘들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무엇보다 이런 종류의 책들은 내용에 지루해 금방 싫증을 느낄 수 있는데 핑크빛 컬러로 표현된 우스꽝스러운 기분도둑들의 이미지들이 책 곳곳에 있어 독자들의 흥미를 유지시켜 준다는 점이 좋았다.
우울한 기분을 다스리고 싶은가? 타인으로 인해 자신의 기분이 도둑맞는 느낌이 드는가? 그렇다면 이 책을 펴보아라..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