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제국, 로마 - 그들은 어떻게 세계의 중심이 되었는가 지성인의 거울 슈피겔 시리즈
디트마르 피이퍼 & 요하네스 잘츠베델 지음, 이은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 고대 역사를 양분하는 것이 그리스와 로마이다.
그런데 신화에 관련된 부분을 제외한다면 우리나라에서 더 많이 관심을 가지는 것이 로마다.
다양한 미디어 믹스를 통해서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다는 것이 그것을 방증한다.

평상시에는 안 그렇지만 역사에 있어서는 한 장르에 꽂히면 그것만 파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그것이 로마가 되었는데... 워낙 로마에 관련된 서적들이 많이 출간되어 있어서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하다.

이 책은 최근에 출간되어 로마를 다루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특이하게 저자가 한 명이 아니다.
독일의 주간지인 슈피겔에서 로마에 관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글을 모아서 담은 책이다.
때문에 여러 시각에서의 로마를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책의 구성은 크게 4가지로 '군주국에서 공화국으로, 지중해 패권, 문화국가 로마, 로마 공화국의 멸망'으로 나누었다.
책의 내용은 위의 구성대로 되어 있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초기 로마에서 제국 로마가 될 때까지를 다루는 것이다. 즉 로마의 기초를 다룬다고 하겠다.

책의 내용은 대체로 재미있다. 한 사람이 아닌 여러 사람의 시각과 내용이 들어가 있어서 색다르게 느낄 수 있다.  
한가지 어색할 수 있는 것이 3번째 파트인 문화국가 로마인데 다른 3가지는 로마의 군사력을 엿볼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3번째는 문화 분야를 다룬다. 전체적인 흐름상 맞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초기 로마에 있어 군사, 전쟁이 가장 큰 화두가 되기 때문에 비중이 그렇게 나누어진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서 이 책이 욕심이 많은 책이라 느껴진다. 가장 큰 비중을 다루었으나 문화 부분까지 이 한 권에 넣고 싶었던 것이다. 내용을 읽어본다면 넣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로마의 모습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꽤나 흥미롭다. 
아쉽다고 한다면 조금 더 깊게 파고 들었 가다면...이라는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담으려다 보니 그 하나하나의 비중이 아쉽다. 물론 그것만으로도 좋지만.... 분권을 해서 2권으로 나누었다면 더 알찬 내용을 담은 책이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로마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개론서 같은 느낌을 주는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