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에서 24시간 살아보기 - 2000년 전 로마인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생활 밀착형 문화사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필립 마티작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내가 배웠고 기억하는 로마의 모습은 강대국이고, 도로 정비가 잘 되고

로마의 황제가 누구였으며 어떻게 멸망했는지였다.
아마 세계사를 배운 사람들이라면 대다수 나와 비슷하게 생각할 것이다.
그것이 역사다. 기록에 의한 역사는 그 시대상 모든 것들을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로마 역사의 속 모습을 들여보는 책이라 생각한다.
로마의 하루인 24시간을 시간별로 쪼개어 그 시간에 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저마다 가지각색이다. 통합해보면 그저 로마의 하루였지만 이 책에서는

24가지 색깔의 로마를 만나게 된다.

그 당시에도 다양한 직업군이 있었으며 저마다 나름의 생활을 해나가고 있다는

것이 재밌게 다가온다.
그저 과거의 기록에 의한 인간이 아닌 그들도 21세기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과 별반

다를 것 없는 사람이었다는 것이 흥미롭다. 결국 시간이 흘러도 생존을 위한

인간의 역사는 변함없는 것이다.

자칫 단순하고 딱딱한 일상의 이야기라고 여겨질 수 있지만 지금에는

찾아볼 수 없는 무녀라든지 황제의 말은 전달하는 전령이라든지 그 시대만의

색깔을 가진 인물들도 등장하여 읽는 동안 로마의 시간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유럽의 고대 역사는 로마로 시작하여 로마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장대한 역사의 흐름 중 사소하고 작디작은 일부분이지만 그 모습을 알 수 있다는

것에 이 책은 읽어볼 만한 책이다.

역사는 승자의 역사도 아니요, 이름을 남긴 유명한 인물의 역사도 아니다. 
그 시간 그 시절을 살았던 모든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역사다. 
이 책 속의 등장했던 인물 모두 로마의 역사다.

2000년 전에도 하루의 시간은 24시간이였으며 21세기인 지금의 하루의 시간도 같은

24시간이다.
빈부의 격차, 성별의 차이 등 그 어떠한 조건도 하루 24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이 책을 읽으면서 시간이라는 개념을 다시금 생각해본다.
나는 이 책의 인물들처럼 나에게 주어진 하루를 제대로 살고 있는 것인지... 
하루를 마무리할때 그것에 대한 후회나 안타까움은 없는 것인지....
시작은 로마의 24시간을 들여다보았지만 마무리는 나의 24시간을 들여다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