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같이 술을 마신 사람은 입에 거품을 물고 노무현을 욕했다.
"대학 안나온 놈이라 역시 수준이 낮다" "나라가 불안해서 못살겠다" "끌어내려야 한다"
그나 나나, 무식한 김영삼과, 전두환, 노태우같은 대통령 치하에 살았던 처지에, 그리고 지난번 대통령이었던 김대중도 대학을 안나왔는데, 노무현만 동떨어지게 수준이 낮은 걸까? 그가 비난하는 근거가 왜곡으로 점철된 조선일보 기사였기에, "아, 그건 그렇게 말한 게 아니구요...이렇게 말했는데 보도가 그렇게 된 거죠" 따위의 변명을 했지만, 별 효과는 없었다. 어찌되었건 노무현이 싫다는데, 변명한들 뭐하나. 그의 말이다.
"난 조선일보 나쁜 거 너보다 더 먼저-고등학교 때-알았지만, 너 그렇게 일방적으로 편들면 안돼!"

오랜만에 만나 화기애애하게 술을 마시는 자리에서 왜 그렇게까지 증오에 찬 말들을 퍼붓는지 나로서는 이해할 길이 없었다. 내 잘못이라면 노무현을 찍은 죄밖에 없는데, 그리고 아무리 뭐라한들 노무현은 4년여 동안 더 대통령 자리에 머무를 텐데.


대선 전 '좌파 자유주의자' 변정수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대통령이 누가 된다고 해도 이 나라는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적어도 내 피부에 와 닿는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미미하다. 그리고 그게 정상적인 민주주의다]

내가 바라던대로 노무현이 대통령이 되었지만, 내가 그에 관해 생각하는 시간은 하루 20분 정도다. 뉴스는 안보지만 신문은 꼬박꼬박 챙겨보는 편인데, 신문을 읽다보면 어쩔 수 없이 그에 관한 기사를 보게 되니까. 그 나머지 시간 동안, 난 다른 일로 훨씬 더 많은 걱정을 한다. "오늘까지 논문 다 써야 되는데..." "xx교수는 왜 나한테 그런 걸 시키지?" 등등. 나뿐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럴 것이다. 대통령이 누가 되는 것보다, 자신의 상사가 그날 기분이 좋은지가 자신에겐 더 중요하지 않을까?

이회창이 되었다고 해도 이런 태도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아니, 이회창이 되었다면 내 마음이 조금 더 너그러웠을 것 같다. 노무현의 잘못에는 그를 지지한 내 책임도 있지만, 대통령이 이회창이라면 "얘는 원래 이러니까"라고 넘어가지 않았을까.

대선 전에는 상대방이 당선되면 나라가 망할 것처럼 떠들다가도, 대선 다음날부터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은, 그게 옳든 그르든간에, 대부분의 소시민이 취하는 태도일 것이다. 감사원장 임명 동의안이 부결되고, 행자부 장관 해임안이 통과된다 해도, 그건 내 삶에서 너무 멀리 있고, 아까도 말했지만 아무리 떠들어봤자 대통령은 자신의 임기를 마칠 것이다. 경제불황을 얘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규모가 커져버린 우리 경제는 이미 대통령의 손을 떠난 듯하다. 이런 내 생각과는 달리, 내가 만나는 사람들은 대선이 끝난 지  열달이 다 된 지금까지도 노무현을 욕하느라 그 귀한 술자리 시간을 허비한다.

난 이렇게 말한다. 앞으로 4년 반을 그렇게 증오 속에서 살 거냐고. 그러면 정신건강에 해롭지  않냐고. 노무현이 설령 품위없는 말을 한다 할지라도 그게 자신에게 별반 영향을 주는 것도 아니고, 우리 스스로는 삶 속에서 더한 말들도 듣고 살지 않는가? 대통령의 수준이 너무 낮다지만, 그러는 자신은 얼마나 수준이 높은지 되돌아봐야지 않을까 싶다. 내가 보기에 어제 만난 사람에게는 노무현 대통령도 과분한 것 같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